윈도우 사용자 계정을 영어로 바꾸어도 사용자 폴더가 한글 일 때

김현지·2023년 6월 2일
0

TroubleShooting

목록 보기
3/4

Try1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all/window-10-%EC%82%AC%EC%9A%A9%EC%9E%90/36ed8097-410c-4547-a6ff-f71976284f60

저 방법대로 했었을 때 내 경우에는 계정명은 영어로 변경할 수 있었지만,
결국 기존에 root폴더처러 사용하던 User폴더 내의 한글 폴더의 이름은 Access denied.되어 변경할 수 없었습니다.ㅠ_ㅠ
아마 기존에 설치된 수많은 파일들의 경로를 전부 변경하였다간 다른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을거 같아서 조금 납득이 되었습니다.
우선 저 링크에서 제게 도움이 된 것은 보안상의 이유로 비활성화된 administrator계정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이었습니다.

  1. Windows 로고 키 + r 키를 눌러 실행 창에 cmd 입력
  2.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입력 (혹은 복붙)

Try2

Window 새 계정 생성 후 개발관련 프로그램 등등.. 재 설치

처음엔 기존 계정에서 그냥.. IDE나 CMD, PowerShell의 root경로를 바꿀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혹은 그냥 전체 포맷 해 버릴까 싶었다가, Try1을 하면서 잠시 administrator계정에 접속해서 카톡을 실행했을 때 톡서랍이 나오는걸 보고 새 계정을 하는게 시간 절약하기에 좋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기존 폴더에서 개발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은 다 지워서 저장 공간을 확보
  2. administrator계정으로 windows 접속하여 계정 > 기타사용자 에서 새 사용자 계정(꼭 영어로 작성하세요!!)로 생성
  3. cmd에서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입력 후 exit 입력
  4. 새로 생성한 계정으로 windows 접속 하여 각종 설치 진행

cmd나 vsc터미널 등 모두 경로가 영어로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코딩이나 클라우드 등 IT학습용으로 컴퓨터를 구매하셨다면 부디 OS 계정명을 한글로 하지 않으시길 추천합니다!ㅎㅎ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