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computing

이시우·2021년 2월 12일
0

컴퓨터 지식

목록 보기
5/17

cloud computing 이란 ?

  • 구름(인터넷) 위에 설치된 컴퓨터를 이용해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다.
  • 내 컴퓨터 (Local)는 필요하지만 구름(인터넷)를 이용해 거대한 컴퓨터에 연결, 작업을 대신하는 것이다.
  • 내 컴퓨터가 혼자 처리할 수 없는 작업을 인터넷 너머에 있는 거대한 컴퓨터(고성능)로 처리하는 것이다.

장점

1. 비용 절감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 유지 비용을 아낄 수 있다.
  • 장비를 구비하면 지속적으로 교체해주고 관리자가 필요하며, 냉각비, 전기세 등 부가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매우 크다.
  • cloud computing을 이용하면 클라우드 운영사에 클라우드 사용료만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2. 확장성

  • 클라우드 운영사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의 확장이 용이하다.
  •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마다 추가되는 비용이 있지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이미 검증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3. 속도와 생산성

  •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패치, IT관련 작업 등 래킹과 스태깅(racking and stacking)이 필요하지 않아 개발자들이 비지니스 모델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 단 몇 분 만에 기술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으며 이전보다 빠르게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단점

대부분 일어날 가능성이 적은 일이지만, 한 번 다뤄봤다.

1. 보안

  • 클라우드를 관리하는 회사가 망하거나, 변심하거나, 관리를 소홀히 한다면 저장해둔 데이터들이 사용자 본인이 아무리 관리를 철저하게 한다 해도 하루아침에 사라지거나, 전혀 상관없는 제3자에게 공개될 수 있는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 아무래도 직접 운영 것 보다 보안에 취약하다. 운영사에서 내 데이터를 사용할수도 있다던가...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꼭 필요한 데이터는 따로 저장해 두는 것이 좋다.

2. 데이터의 유실

  • 유저는 모든 데이터를 클라드 운영사 서버에 저장하기 때문에 그 데이터가 어느 지역 어느 서버에 있는지 알 수 없다.
  • 만약 천재지변이나 운영사의 문제로 서버에 문제가 생긴다면 순식간에 데이터가 날라갈 수 있다.

3. 통제권

  • 내 데이터를 운영사의 서버에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하고 개별적인 통제권이 없다.
  • 공권력의 유입이나 운영사의 정책에 맡지 않는 데이터라면 내 의지와 상관없이 공개 및 삭제될 수 있다.

클라우드의 종류

1. 공용 클라우드

  • 아마존,마이크로 소프트 같은 운영사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 및 스토리지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이다.
  • 운영사가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기타 지원 인프라를 소유하고 관리한다.
  • 사용자는 비용을 지불하고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에 액세스하고 계정을 관리한다.

2. 프라이빗 클라우드

  • 단일 비지니스 또는 조직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클라우드 이다.
  • 회사의 실제 온사이트 데이터 센터 내에 배치하며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호스트하기 위해 타사 서비스 공급자에 비용을 지불하기도 한다.
  • 서비스와 인프라가 개인 네트워크에서 유지 및 관리되는 클라우드다.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에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다.
  • 서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비지니스에 더 높은 유연성과 개발 옵션을 제공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