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native의 배경
---> 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가 됨.
데브옵스가 뭐여?
cloud native의 정의
: 클라우드 규모와 크기 조정 및 성능에 최적화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과 기술
클라우드 장점 : 서버분산 자동화 가능
it의 모든 꿈 .. it를 접목하는 이유.. 편의성을 위해서... 자동화.. 자동화.. 모든것들의 자동화를 위해서...서버분산 자동화
쿠버네티스 -- 클라우드 네이티브에 포함되어있는 서비스
쿠버네티스 자체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님
클라우드 네이티브 4대 요소
1. cicd
2. mas - 클라우드 구축사업 시작점.
3. 컨테이너
4. 데브옵스
마이크로 서비스가 아닌 한꺼번에(?)관리하면 전체적으로 갈아야함..(?)
데브옵스가 머임 ( 디벨롭+오퍼레이션 / 개발하는사람 운영하는사람 같이 묶여잇음)
3단계. 클라우드 외 서비스 포함
넷플릭스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대표사례임
db에 문제 발생으로 고객에게 dvd를 못보내는 상황.. 등으로 클라우드를 전환하게 됨.
클라우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줄이고 늘리기 가능 -> 클라우드 장점
nhn이 국내 최초로 쿠버네티스 인증을 받았다고 함
공인 쿠버네티스 서비스 제공사 자격 획득을 했다고함
os의 역할 ... 자원관리.
cncf.....
컨테이너 동작원리 - LXC 동작환경
1. namespace
쿠버네티스 --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기술.
도커 데몬 - 컨테이너를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 포함되어있음
컨테이너는 이미지가 있어야 구동됨 ~
이미지 : 컨테이너에 들어갈 상품이라고 생각하기 ~
이미지관리, 컨테이너 동작원리 -- 도커에서 핵심적으로 알아야할 개념
컨테이너서비스를 하기위한 이미지만든느게 목표함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
하드웨어 셋팅 ..
컨테이너오케스트레이션 --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마다 어플리ㅣ케ㅣ이션이 여러개임
대규모 컨테이너...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ㅣ잇도록 관리의 복성을 줄여줨
컨테이너 영억 -컨테이너 런타임..
그렇나 요소들이 굉자이 긐ㄴ
도커를 먼저 할 수 이싸고.... 이거 배우는거임(>)
쿠버네티스 이해하기
전체 항구들을 의미하는ㄴ게 클러스터깉은낚;;ㅁ임. 환경 보함\\
마스터 녿, : 워터 노드를 관리ㅏㅎ===-==파\ㅣ
마스터(클러스터 전체를관리)
노드 - 워커노드
짝수개에서 부하가 많이 걸린다? 업데이터를 하면 노드
스케줄링. 처리를 할 때 짝수개 머신이있으면 동률이 나오면 한 번 거쳐가는게 있다고홈(?)
오토스케일러 개념 - 부하 분산.
nhn에서 백업본 3개를 관리한다구하심?
인스턴스 - 이미지를 만들수 있겟금 도커를 구동시켜주는..못들음
이미지 - 백업파일..
ncr에 이미지 담음
ncr없으면 컨테이너 서비스 못 씀? ㄴㄴ아님
ncr내부 조직용
public으로 쓰면.. 인증 없이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음
레지스토리 생성에서 이미지 캐시..? 유형중에 이미지캐시 가 뭐지
push 시 자동시캔은
악성코드잇는거 올리면 받는 사람이 악성코드에 노출됨
pubsh 자동스캔하면 이런 일 없음 ..
가급적 안전하게 서비스할려면 설정으로 해야함
설정하면 io가 발생할 수 있음
vpc, subnet영향없이 쓸 수 있는. 글로벌 서비스임
/root/.docker/config.json.
권한 관리 잘해야된다??
docker pull nginx --- 퍼블릭..레지스트리...사용...
docker run -d
d는 디버깅모드로 실행하겠다는 뜻
워커노드 : 컨테이너가 구동될 때 자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함
이거 뭐 하는 작업이지?
파드.. 파드가 뭐지
클러스터
레디 부분에 1/1은.. 무슨 뜻이냐면.. 파드안에 들어가있는 ... 실행되는 컨테이너수/ 파드안에 들어있는 수
워커노드는 사설vpc로 구성되어있어서 외부로 접근 못 함.....그래서......그 뭘 설정해줘야하는데..?
앤드포인트가 뭐시여..
쿠버네티스는 앤드포인트랑 ... 알아서 잡아줌... 이걸 서비스객체?
?? 터미네이팅이 뭐지
쿠버네티스는 업뎃하면 버전별로 관리해줌..
NHN에서는 마스터노드 3개(백업본)가 만들어짐................ 업그레이드할 때 서비스 안끊기고 ..사용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