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a

정은지·2023년 4월 18일
0

Overview (100)

배우게 될 내용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과 사용상의 장점
  •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형
  • naver cloud platform의 특징
  • naver cloud platform의 주요 서비스 및 상품들
  • 클라우드 관리 콘솔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 클라우드 컴퓨팅

온프라미스(서버실에서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직접 구성함)와 반대되는 개념.
클라우드에서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

  •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 클라우드는 리소스를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1. CAPEX를 OPEX로 대체함
    :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유동적인 IT 자원 수요 상황에서 데이터센터 및 컴퓨팅 리소스를 사전 계획하여 선 투자하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쓴 만큼 비용 지불)
    CAPEX 투자 비용이 있음. OPEX 오퍼레이션 비용으로 바뀜

  2. 규모의 경제에서 얻는 이점
    : 소규모 IT 자원을 직접 구축할 경우 부수적인 투자비가 소요되며,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음
    : 대규모로 미리 준비되어 있는 클라우드에서는 규모의 경제이기에 가능한 이점들이 고객 혜택으로 돌아감
    : 메모리는 대부분 클라우드에서 구매하고 있고 바잉파우라는게 생겨서 사용자들에게 비용절감이라는 메리트가 생기게됨(?)

  3. 지속적인 기술 혁신 및 적용
    : 클라우드 사업자는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더욱 새로운 서비스 상품을 제공한다
    : 다양한 플랫폼,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써 퀄리티 높은.. 개발을 할 수 있음. 이런걸 직접 개발하지 않고 갖다 쓰기만 해서 비용을 세이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게됨

  4. 빠른 프로비저닝 및 유연한 확장
    : 클라우드에서는 몇 번의 클릭으로 단 몇분만에 서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는 직접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필요할 때 언제든지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음
    : 급격하게 서비스 트래픽이 늘어나면 빠르게 서비스 확장을 할 수 있음 --> 클라우드라서 가능함

  5. 인프라 유지 관리에 대한 부담 제거
    :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운영되는 클라우드를 사용하므로써 인프라 유지 관리의 부담을 잊고 사업 핵심에 집중할 수 있음
    : 보안담당자와 같은 사람을 고용하지 않아도 되서 인건비 절약됨.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 laaS

서비스로의 인프라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Computing, Networking, Storage 등의 it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사용함.

  • Cass

os레벨이 아닌 컨테이너 레벨의 기능들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

  • PasS/aPasS

플랫폼을 제공함.
기본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을 직접 관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플랫폼 소프트웨어들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함

  • FasS

컴퓨팅 리소스를 서버 단위가 아닌 기능 단위로 실행할 수 있으며, 서버 관리와 구성을 직접 하지 않고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음
->코드만 있으면 돌아감

  • SasS

완제품 형태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솔류션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함.
필요한 만큼, 사용한 만큼, 사용한 기간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게 Sass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특성

  1. 전세계 6개의 리전을 가지고 있음. 전세계 어디서든 네이버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음.
  2. 네이버의 다양한 ai상품들을 이용할 수 있음. (파파고, 클로바)
  3. 국내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ux/ui를 지원함.
  4. 24시간 지원함.

전체 상품 소개

클라우드 관리 콘솔.

  • 웹 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제공함

네이버 클라우드 인프라 상품군

  • VDS : 보통 클라우드라고 하면 서버 가상화를 하게된다. 물리서버위에 하이퍼바이저(vm를 관리하기위한 툴) 위에 vm이 올라가게됨.
    vds는 물리서버 하나를 고객이 사용할 수 있게함. 물리서버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있고 하이퍼바이저 위에 vm이 하나 올라가게됨. 클라우드의 장점과 물리서버의 리소스를 오롯이 사용자가 쓰기 위해서 장점만 모은 상품임
하이퍼바이저란~~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os체제를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Hybrid
  1. hybrid cloud hosting : 해당 서버와 클라우드를 같이 사용할 수 있음
  2. cloud connect : 온 프레미스 환경과 클라우드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
  3. Vmware on ncp
  • 인프라 상품군 - Server
    : VPC 플랫폼에서는 standard, high memory, high cpu 서버
    를 제공한다.
    : 다양한 버전의 운영체제와 설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CentOS, Ubuntu, Windows.. 등)

  • 인프라 상품군 - Network
    : vpc 플랫폼과 Classic 플랫폼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은 완전히 상이함
    - vpc 환경에서는 vpc를 이용하여 개인 계정만을 위한 논리적인 사설 망을 구축하며, 이용할 사설 ip을 원하는 대역으로 선택하여 만들 수 있다(rec1918 기준 대역)
    - 특징 : vpc는 자기가 네트워크를 설정함. 내 서버에 대해 ip를 임의로 부여할 수 있음. 서버생성을 하기 위헤서 vpc를 만들고 서브넷도 만들어야함.
    - 서비스 환경에 맞는 다양한 로드밸런서 방식을 제공한다.

  • 플랫폼 상품군 - Database
    : 장애복구 기능, 백업(자동으로 실시간 백업),

  • 어플리케이션 상품군
    : 네이버 지도, 서치트렌드, 캡쳐api 서비스.. 등을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을 통해서 내 서비스에 녹여낼 수 있음.
    - ai 상품군 : 클로바, 파파고.
    - 관리 보안 상품군..

        

하이브리고 클라우드 호스팅

: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 할 때 제약사항이 있다. 이것 때문에 클라우드도 이동해야되고, 온프라미스에 있는 레거시 인프라도 이용해야한다.?

멀티존 구성

한국 리전부터 멀티존 구성이 제공됨.
하나의 존이 무너져도 다른 존을 사용할 수 있음.
로드밸런서, db상품도 이중화됨.


Computer 상품

  1. Hypervisor : 하드웨어와 VM 사이에 VM과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화 관리 소프트웨어

클라우드에서는 타입1을 사용함.
vm같은 프로그램은 타입2같은 가상화방식을 사용함.

호스트os, 게스트os -- > 타입1에서는 이런 개념이 없음 only vm이라고 이야기함

타입2 : os가 올라가 있고 os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걸 통해서 vm을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최초의 os는 호스트os, 두 번째 os는 게스트os가 된다.

전가상화와 반가상화

  • 전가상화

    • 하드웨어 전체를 가상화하는 방식
    •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하이퍼바이저(DOMO)가 VM들에게 하드웨어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식.
    • 하이퍼바이저가 모든 리소스를 관리하는 만큼 성능적으로 오버헤드가 발생함
    • VM은 일반적인 OS를 그대로 사용가능
    • 물리적 서버의 cpu, 그래픽같이 굉장히 다양한 디바이스가 존재함. 이러한 디바이스를 가상의 디바이를 만들어서 VM들에게 제공함
    • 디바이스에 다양한 병목현상 발생.
  • 반가상화

    • 전가상화의 성능 저하를 해결하고자 모든 명령에 대해 DOMO를 통해 요청하는 방식이 아닌 하이퍼콜을 통해 직접 요청
    • 하이퍼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M의 OS가 이를 지원해야함(*OS제약발생)
    • 물리적인 디바이스를 vm에게 전달하는게 반가상화임
    • 전가상화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짐.
    • 하이퍼콜을 통해 속도를 높일 수 있음. os와 궁합도 맞아야함

서버 특징

  • G1과 G2로 구분

    • cpu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신규 cpu 라인업은 g2로 명명
    • g2는 성능이 더 좋음
    • G2의 경우 vCPU와 RAM의 비율에 따라 3가지 서버 타입 제공
    • VPC 환경에서는 G2만 제공
  • CPU

    • vCPU 단위로 할당
    • CPU의 Core가 cCPU에 맵핑되는 구조
    • Over Commit 허용
    • 스펙 언제든지 변경 가능 (온프라미스에서 cpu를 변경하는건 번거로움)
    • cpu가 2개 코어는 cpu당 10개가 있따고 하면 총 20개의 코어가 있게됨. 이 위에 vm의 vCPU가 만약에 8개다. 하면 8개라는 개념은 cpu 8개가 아니라 물리적인 코어 8개를 해당 vm에 할당하겠다는 듯.
      만약 여기에 8코어 vm 2개를 두면 총 16개의 코어를 사용하게되면서 더이상서버를 만들 수 없음 하지만 오버커밋이 있음.
    • 오버커밋. (가상으로 cpu를 나눠서 사용하는 방식) - 결과적으로 cpu에 있는 코어 수 보다 더 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
  • Memory

    • 오버커밋 허용안함
    • Over Commit 허용안함
    • 스펙 변경 가능
  • HDD

    • os 영역이 기본 할당(50gb or 100GB)
    • OS 영역은 용량 확장이나 축소 불가
    • SSD 타입과 HDD 타입으로 구분
  • GPU

    • GPU 단위로 할당(GPU Core 단위로 할당하지 않음)
    • Pass Through 방식으로 제공 (카드별로 할당함.)
    • 그래픽카드 별 서버 한대 당 매핑가능한 개수가 상이함(v100은 최대 4개, t4는 및 p40는 최대 2개)
  • network

    • 물리적으로 10기가 속도 제공. 논리적으로 vm에 할당되는 속도는 1기가에 100bps정도됨.
    • 클라우드에서는 보내는거 받는거 더해서 1기가됨.
  • 서버 타입 class G1

    micro 서버는 윈도우즈에서 제공하지 않음

  • 서버 타입 Class G2 및 vpc

    cpu : memory 비율

    • 스탠다드 1:4
    • 하이메모리 1:8
    • 하이 cpu 1:2

마이크로 서버

  • 회원가입 후 결제 정보를 등록한 월부터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상품(클래식플랫폼에서만 이용가능)
  • 테스트 용도 및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기능 테스트 용도로 적당함
  • 해외 리전은 제공안함
  • 추가 디스크 사용 불가 (ssd 타입으로 만들 수 없음)
  • 서버 사양 : 1cCPU, 1G RAM, 50G HDD (cpu1개)
  • 지원 OS : CentOS ... 어쩌고 저쩌고 (리눅스만 제공함)

Compact 타입

  • 유료 서버 중 낮은 사양의 서버
  • 작은 웹서버 용도로 적당함

Standard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서버 타입

High Memory 타입

  • 대용량 메모리가 필요한 경우
  • 서버 사양 및 지원 OS
  • 게임서버 등에 사용할 수 있음

VDS Server

  • vm이 1개만 올라감
  • 오버커밋이 발생하지 않음
  • 타 vm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사용함

Bare Metal Server

  • 하이퍼바이저 없이 하드웨어의 자원을 그대로 사용
  • 오라클과 같이 라이센스상 클라우드에 대한 제약이 있는 경우 사용
  • 물리서버의 모든 성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클라우드의 장점을 사용할 수 있음. 서버 호스팅과 비슷하지만 비용적으로는 내가 쓴 만큼만 내서 물리서버의 특징 + 클라우드의 장점을 양립시킨 상품임
  • vm에다가 라이센스를 설치하게 되면, 비용이 비효율적이게됨. vm성능이 코어당 물리서버 코어보다 성능이 떨어짐. 베어 메탈에 서버를 설치하게 되면, 코어를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고, 코어가 줄어들어서 라이센스 비용도 낮출 수 있게됨. 라이센스 비용을 아낄 수 잇는 방법 : 베어메탈서버

GPU Server

  • 딥 러닝을 위한 GPU 서버 팜.

Preinstall image

  • 휴대폰을 샀을 때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이 깔려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서버에 어플리케이션을 올려서 제공
  • DBMS
    - MY SQL, MariaDB
  • APPLICATION
    - WordPress
    • Pinpoint
    • 톰캣 아파치 머 이런거 위에 포함되어있음

서버 Operation

서버 Operation - 서버 생성 1

  • 리전 선택 혹은 VPC 및 Subnet 선택
    • 서버를 생성할 리전 선택(vpc는 한국 리전에서만 제공됨)
    • 서버를 생성할 vpc와 subnet 선택
  • 부팅 디스크 이미지 선택
    - 디스크, 이미지 타입 선택
  • os 선택
    - os 이미지 선택
  • 서버 설정
    - 존, 스토리지 종류, 서버 세대(g1, g2), 서버 타입(하이메모리 등), 요금제 선택

서버 Operation - 서버 상태 값

  • 생성시
    - 생성중, 부팅중, 설정중, 운영중(실제로 서버 접속 가능)
  • 정지시
    - 종료중, 정지(서버반납가능)
  • 시작시
    - 부팅중, 운영중

서버 Operation 1

  • 서버 스펙 변경
    • 동일한 서버 타입에 한하여 CPU, Memory 스펙 변경 가능
    • 반드시 정지된 상태에서 변경
    • 다른 서버 타입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미지로 다른 타입의 서버 생성
      • ex) High CPU 타입 내에서는 스펙 변경이 바로 가능(2core 4GB -> 8core 16GB)
      • ex) High CPU 타입 -> High Memory 타입으로 스펙 변경 시 내서버 이비지 생성이 필요
  • 내서버 이미지 생성
    • 서버의 현재 상태를 이미지로 생성
    • 이미지 생성시 반드시 정지된 상태에서 변경
    • 타 리전에 서버 생성시에는 먼저 대상 리전으로 복제
  • 유사 서버 생성
    • 선택한 서버와 동일한 스펙의 서버 생성시 사용
    • 서버 이미지, 스토리지, 서버 타입, 요금제, zone, 인증키, ACG 정보를 동일하게 적용

서버 Operation 2

  • 스토리지 생성
    • os영역 50GB에 추가적으로 디스크 생성시 사용
    • 최소 10GB에서 최대 2TB까지 디스크 생성 가능
    • 서버 한 대에 최대 15개의 추가 스토리지 부착가능
    • 생성된 스토리지는 용량 증설 가능
  • 스토리지 용량 변경
    - 스토리지에 대해 용량 증설 가능
    • 용량 증설은 서버 정지 혹은 연결 해제 후 가능
    • 용량 증설 후 데이터 삭제 없이 해당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볼륨 관리 툴을 이용하여야만함,.
  • 물리 배치 그룹 관리
    • 서버들은 최대한 다른 클러스터에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 분산 결과에 대해 보장하지 않는 BEST-Effort 방식

서버 Operation 3

  • 반납 보호 설정
    • 사용자 부주의로 서버가 반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
  • 상세 모니터링
    • 서버들의 모니터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모니터링하는 기능
    • 상세 모니터링 설정 시 해당 서버는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정보 확인 가능
  • 네트워크 모니터링 설정
    • 서버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
    • 네트웍 트래픽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정보확인가능
  • 서버 이름 변경
    • MC(Main Console)에서 보여지는 서버 이름 변경
    • 실제 서버 내부에서 호스트명이 변경되지는 않음

서버 Operation 4

인증키 변경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