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Room DB 알아보기

임재영·2021년 9월 21일
0

Android

목록 보기
5/10
post-thumbnail

안드로이드 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크게 텍스트 파일 SharedPreference SQLite DB 세 가지 입니다.

텍스트 파일은 지정 된 외부저장소 경로에 File 입출력을 통해 저장하는 방법이며, 내가 저장한 데이터를 다른 앱에서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보안적인 부분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SharedPreference는 내부저장소 경로의 xml 파일에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경로에 내 앱에서만 열어볼 수 있도록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data/data/앱패키지명/sharedPreferences/파일명.xml)

SQLite DB는 파일보다는 동작이 느리지만, 객체 간 관계를 기반으로 다량의 구조화 된 데이터를 편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 방법들은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속성에 따라 어떤 방법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SQLite DB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Jetpack 라이브러리인 Room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Room이란?

안드로이드 앱에서 SQLite를 추상화하여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려고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SQLite는 앱 내에서 구조화 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훌륭한 방법이지만,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습니다.

  • SQLite는 데이터모델 클래스에 대한 의존성이 강해서 모델이 변경됐을 때, 관련 된 쿼리를 모두 찾아서 수동으로 업데이트 해야합니다.
  • SQLite만 사용해서 DB를 관리하려면 SQL 쿼리와 객체 변환 간에 많은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발생합니다.

Room은 이러한 문제들을 Annotation 기법으로 자동화하여 해결합니다. (Annotation 포스팅 바로가기)


Room의 구성?

Room은 Entity DAO Database 이렇게 세 가지 요소가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됩니다.

Entity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표현합니다. 클래스에 @Entity 어노테이션을 붙여 엔터티 클래스를 정의 할 수 있습니다.

DAO (Data Access Object)

인터페이스에 @Dao 어노테이션을 붙여 정의하며, 데이터베이스 접근에 사용되는 추상 메소드들을 포함합니다.

Database

데이터베이스 홀더를 포함하는 DB의 주 진입점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클래스를 만들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RoomDatabase를 상속한 추상클래스에 @Database 어노테이션을 추가합니다.
  • 포함 할 엔터티의 목록을 어노테이션 내에 명시해야합니다.
  • 파라미터를 갖지 않고, @Dao 클래스를 반환하는 추상메소드를 포함합니다.

프로젝트에 Room 설정하기

의존성 추가

앱 모듈의 build.gradle에 다음 사항을 추가합니다.

dependencies {
	def room_version = "2.3.0"
	implementation "androidx.room:room-runtime:room_version"
	annotationProcessor "androidx.room:room-compiler:room_version"
}

위 의존성 추가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다면, 프로젝트의 build.gradle에 다음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여 없으면 추가해줘야 합니다.

buildscript {
    repositories {
        google()
        mavenCentral()
    }
}

엔터티 정의하기

  • 엔터티 클래스의 필드는 public으로 만들거나, getter setter 메소드를 제공해줘야 Room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getter setter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JavaBeans의 컨벤션을 따릅니다.)

  • 엔터티는 최소 한 개의 필드를 @PrimaryKe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기본키로 선언해야 합니다.

    • 복합키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Entity(primaryKeys={"id", "name"} 과 같이 선언할 수 있습니다.
    • Room이 Primary Key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하고 싶다면 @PrimaryKey(autoGenerate = true)와 같이 사용합니다.
  • 엔터티의 테이블 이름을 @Entity(tableName="이름")과 같이 정의 할 수 있습니다.

  • 엔터티의 필드를 테이블의 열로 만들고 싶지 않다면(단순히 앱 내에서 임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필드에 @Ignore 어노테이션을 붙이거나, @Entity(ignoredColumns="필드명")과 같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minSDK>=16 AND RoomVer >= 2.1 라면 FTS4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FTS4는 전체 텍스트 검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가상 테이블 모듈입니다.)

    @Fts4 어노테이션을 추가하고, 기본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int 자료형과 rowid라는 컬렁명을 가져야합니다.

  • @Embedded 어노테이션을 붙여 객체의 특정 필드들을 별도로 분리 된 테이블로 저장 할 수 있습니다.

@Fts4
@Entity(tableName="User")
public class User {
    @PrimaryKey
    @ColumnInfo(name="rowid")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int getUser() {
        return user;
    }

    public void setUser(int user) {
        this.user = user;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엔터티 관계 정의하기

Room에서는 * 객체 간 직접적인 관계 지정을 할 수 없지만, 엔터티 간 외래키 제약 조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Room에서는 왜 객체 간 직접 관계를 지정 할 수 없을까요?

DB에서 해당 객체 모델로 관계 매핑하는 것은 MainThread에서 수행되며, MainThread에서 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쿼리할 경우 심각한 성능 문제가 따릅니다. 프레임드랍으로 인해 화면의 버벅임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직접적인 관계는 정의 할 수 없으나, 데이터를 불러올 때 Entity를 확장하는 자바클래스에 @Relation 어노테이션을 붙여 관계 제한을 회피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Relation 어노테이션이 붙는 필드는 반드시 List or Set 타입의 변수여야 합니다.

다음은 Book 엔터티에 @ForeignKe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User라는 엔터티와의 간접적인 관계를 정의하는 샘플입니다. (샘플에서는 getter, setter를 구현하지 않기 위해 접근자를 pubic으로 선언했습니다.)

@Entity (foreignKeys=@ForeignKey(entity=User.class, 
 				parentColumns = "id",
                    		childColumns = "user_id"))
public class Book {
    @PrimaryKey
    public int bookId;
    public String title;
    @ColumnInfo(name="user_id")
    public int userId;
}

user_id라는 외래키를 통해 0개 이상의 Book 인스턴스가 하나의 User 인스턴스에 연결 될 수 있으므로, 이는 User와 Book의 일 대 다 관계를 모델링합니다.

이러한 관계를 일 대 다 관계가 아닌, 다 대 다 관계로 모델링하고자 한다면, @Entity의 foreignKeys 필드에 단일 @ForeignKey 어노테이션이 아닌, {@ForeignKey=..., @ForwignKey=...} 형태의 어노테이션 리스트를 전달하면 됩니다.


뷰 정의하기

Room 2.1 이상 버전에선 데이터베이스 View를 지원합니다. View는 쿼리를 클래스로 캡슐화 한 개념이며, SELECT 쿼리만 수행 가능합니다.

@DatabaseView ("SELECT user.id, user,name, user.departmentId, 
		department.name AS departmentName 
        	FROM user INNER JOIN department 
            	ON user.departmentId=department.id)
public class UserDetail {
	public long id;
    public String name;
    public long departmentId;
    public String departmentName;
}

그리고 이렇게 만든 뷰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Database(entities={User.class}, views={UserDetail.class}, version=1)
public abstract class MyDatabase extends RoomDatabase {
    public abstract UserDao userDao();
}

DAO를 통한 데이터 접근

  • Room에서 앱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해선 DAO를 사용해야 합니다. DAO는 DB에 접근하기 위한 추상 메소드를 포함해야 합니다.

  • DAO는 인터페이스 또는 추상 클래스로 만들며, 컴파일 타임에 정의 된 어노테이션을 프로세싱하여 각 DAO의 구현체 코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 Room은 MainThread에서의 쿼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 Builder에서 allowMainThreadQueries()를 호출하면 쿼리가 가능하나 권장하지 않습니다.
    • LiveData Flowable 인스턴스를 반환하도록 쿼리하면 MainThread에서도 예외적으로 쿼리가 가능합니다.
  • 쿼리 결과가 변경 될 때 마다 UI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고자 한다면, 쿼리 메소드 반환형으로 LiveData를 사용하면 됩니다. 컴파일 타임에 데이터 변경 시 LiveData를 갱신하는데 필요한 모든 코드들이 같이 생성 됩니다.

  • 쿼리 결과를 RxJava의 반응형 타입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앱모듈의 build.gradle에 다음 내용을 포함해야 합니다. implementation 'androidx.room:room-rxjava2:2.3.0'
    위 의존성을 포함하면 Single, Completable, Flowable, Maybe 등의 타입도 사용 가능합니다.

  • 여러개의 쿼리를 @Transac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한 개의 트랜잭션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Dao
public interface MyDao {
    @Insert(onConflict=OnConflictStrategy.REPLACE) //or IGNORE
    public void insertUsers(User... users);
    
    @Update
    public void updateUsers(User... users);
    
    @Delete
    public void deleteUsers(User... users);
    
    @Query("SELECT * from user")
    public LiveData<List<User>> loadAllUsers();
    
    @Query("SELECT * FROM user WHERE age > :minAge")
    public LiveData<List<User>> loadAllUsersOlderThan(int minAge);
    
    @Query("SELECT * FROM user WHERE region IN (:regions)")
    public LiveData<List<User>> loadUsersInRegion(List<String> regions);
}

이렇듯 Room을 사용한다면, 모든 쿼리를 손수 입력해 사용해야 하는 SQLite를 사용 할 때 보다 많은 양의 코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줄여진 코드는 컴파일 타임에 어노테이션 프로세싱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사랑해요 어노테이션)


타입컨버터 사용

때로는 Entity에 선언 된 데이터포맷과 DB에 저장되는 포맷이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객체는 Date 포맷으로 가지고 있지만, DB로 저장 될 때는 Long 타입의 타임스탬프로 변환하여 저장하고자 할 때가 이러한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TypeConverter 라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onverters {
    @TypeConverter
    public static Date fromTimestamp(Long value) {
    	return value == null ? null : new Date(value);
    }
    
    @TypeConverter
    public static Long dateToTimestamp(Date date) {
    	return data == null ? null : date.getTime();
    }
}

@Database(eitities={User.class}, version=1)
@TypeConverter({Converter.class})
public abstract class MyDatabase extends RoomDatabase {
    public abstract UserDao userDao();
}

@Entity
public class User {
    public Date birthday;
}

//매개변수로 Date를 받지만 Converter를 거쳐 Date가 Long 타입으로 변경되어 쿼리에 적용됩니다.
@Dao
public interface UserDao {
    @Query("SELECT * FROM user WHERE birthday BETWEEN :from AND :to")
    List<User> findUsersBornBetweenDates(Date from, Date to);
}

Room Migration

기존 사용하던 앱의 Room db에 변경이 발생했을 때, Database의 version을 올리고 이에 따른 변경 내용을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습니다.

static final Migration MIGRATION_1_2 = new Migration(1, 2) {
	@Override
    public void migrate(SupportSQLiteDatabase db) {
    	db.execSQL("마이그레이션 할 SQL 쿼리1..");
    }
}

static final Migration MIGRATION_2_3 = new Migration(2, 3) {
	@Override
    public void migrate(SupportSQLiteDatabase db) {
    	db.execSQL("마이그레이션 할 SQL 쿼리2..");
    }
}

Room.databaseBuilder(getApplicationContext(), MyDatabase.class, "database-name")
	.addMigrations(MIGRATION_1_2, MIGRATION_2_3).build()

마이그레이션 테스트를 위해선 각 버전의 DB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 코드를 통해 컴파일타임에 DB 스키마를 JSON 파일로 추출 할 수 있습니다.

android {
	...
	defaultConfig {
    	...
    	javaCompileOptions {
        	annotationProcessorOptions {
            	arguments = ["room.schemaLocation":"$projectDir/schemas".toString()]
            }
        }
    }
}

테스트를 위해선 반드시 스키마를 나타내는 JSON 파일을 추출하여 버전 관리시스템으로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누락 된 마이그레이션 경로 정상 처리하기
데이터베이스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어서 마이그레이션 해야 하는 상황에 마이그레이션이 실패할 경우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이 상황에서 앱이 중단 될 수 있는데, 앱의 중단을 막기 위해 다음 메소드를 DB 생성 시 빌더에서 호출 할 수 있습니다.

Room.databaseBuilder(getApplicationContext(), MyDatabase.class, "database-name")
	.fallbackToDestructiveMigration()
	.build()


참고 자료

Room 구조 이미지 출처
Room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아키텍처를 알아야 앱 개발이 보인다 - 옥수환

profile
어제의 나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