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전공을 졸업했지만 20살때부터 서비스직 아르바이트를 하였고 졸업해서도 이 직종이 맞다고 판단하여 쉼 없이 일을 하였다.
2015년도에 졸업때만 해도 개발직군이 빛을 보지 못했는데 2020년 접어들면서 체감상 개발자 열풍이 불어온거 같았다. 그 때만 해도 매장(현장)쪽으로만 일을 해서 직종을 전환 하리라고는 생각지도 않았다. 왜냐면 월급 제때나오고 나름 만족하면서 살았었으니깐...
그러다 2021년 9월에 모빌리티 회사 플랫폼운영팀에서 CS업무로 이직을 해서 일을 하게 되었고, 고객CS 뿐만 아니라 서비스운영까지 일을 하다보니 앱서비스 런칭 전에 시범서비스 진행을 구글 시트 수기로 진행하였다. 그러다 보니 "수기로 하는 일을 시스템화 하는게 오래 걸리고 어려운건가?"라는 의문점으로 시작해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소모적일 뿐 내 커리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기 시작했다.
그래서 더 늦기전에 전공을 살려 일을 해보자 결심을 하게 되었고, 친구가 조언도 이것저것 해줘서 2022년 1월 인프런 강의부터 다시 복기하기 시작했다.
프론트보다는 백엔드 서버 개발이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였고 국비지원 찾아보던 중에 패스트캠퍼스에서 진행하는 백엔드 과정을 신청하였다.
패스트캠퍼스 국비지원 강의명 : [핀테크 서비스 백엔드 개발자 양성 과정]
본 과정 : 2022년 3월 28일 개강(7개월) 13:00~22:00
교육내용 :
교육 기간 | 교육내용 |
---|---|
8주 | •Git/Github을 활용한 코드리뷰 |
•컴퓨터사이언스 핵심 | |
•컴퓨터의 이해, 소프트웨어 공학 | |
•네트워크 및 웹의 이해 | |
•컴퓨터구조 | |
•알고리즘/자료구조 | |
•운영체제/네트워크 | |
14주 | Java 프로그래밍 / OOP / Spring(Spring Boot) |
8주 | 개발 프로젝트 |
디자인(figma), 백엔드(springboot),프론트엔드(react) 총 3개 과정의 교육생이 투입 | |
1~10명 내외의 교육생 팀을 이뤄 기업과 1대1 매칭.전문가(현직자)의 코칭 하에 프로젝트를 진행 |
처음에 신청서를 내고, 기초소양평가, AI면접까지 치르고 나서 그 후 프리코스 과정 수료 안내가 와서 현재는 수강 신청해서 대기 하고 있는 상태이다.
Pre-course : 2022년2월9일 ~ 3월16일(5주과정)
강의명 : 패스트캠퍼스 K-디지털 크레딧 '프로그래밍 첫걸음 시작하기'
교육내용 : HTML/CSS/JavaScript
원래는 직장 다니면서 하려했지만 올해 안에 전향하고자 1월까지만 회사를 다니고 길면 1년 짧으면 해당 과정 수료 후에 이직 하려고 한다.
정보처리기사도 올해 1차 필기시험 신청 완료하여 본 과정 들어가기 전에 필기 합격을 만들어 놓을 예정이다.
2022년3월5일(토) 13:00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늦은만큼 조바심도 나고 조급해진 것은 맞지만 올해 상반기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
안녕하세요 eita님! 블로그 잘 보았습니다! 질문 한가지 물어봐도 될까요?
저도 컴공 전공자이고 현재 취준중입니다. 졸작으로 자바스프링 웹 프로젝트를 한 경험이 있긴 한데, 백엔드 부분의 실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학부생 수준으로 한거라 제대로 배워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혹시 지금은 본 과정 진행중시건가요? 해당 코스의 백엔드 과정 후기가 별로 없어서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내용은 어떠신지 그리고 강사님 실력이 어떠신지 물어봐도 될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