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모델의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이더넷, CSMA/CD, MAC 주소, 스위치, 충돌 도메인, 이더넷 표준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한다 =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
규칙(이더넷)이 필요한 이유
(1) 허브에 의해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가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보내려는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한다
(2)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 보낼 때 발생하는 충돌을 피하기 위함
: CSMA/CD를 이용,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춘다.
CSMA/CD : 요즘은 거의 사용 X
(1) CS : 데이터를 보내려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2) MA :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면 데이터를 보낸다
(3) CD :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랜 카드에 할당된 전 세계에서 유일한 번호.
데이터 링크 계층(TCP/IP의 네트워크 계층)의 프레임-이더넷 헤더에 포함된다.
MAC (Media Access Control)
: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 24비트 + 제조사가 붙인 일련번호 24비트로 구성
프레임
: 데이터 + 이더넷 헤더 + 트레일러.
: 송신 시 캡슐화가 일어나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을 만들고 물리 계층에서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이더넷 헤더
: 목적지 MAC 주소 + 출발지 MAC 주소 + 유형으로 구성
: 유형 - 이더넷을로 전송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을 식별하는 번호
트레일러 (=FCS. Frame Check Squence)
: 데이터 전송 도중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용도
수신
: 수신 컴퓨터는 목적지 MAC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와 같을 때만 역캡슐화 후 데이터를 수신한다.
: 역캡슐화 (수신 컴퓨터의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분리 )
: 동시에 여러 데이터가 수신 될 때는 CSMA/CD 규칙을 사용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스위치 (= 레이어 2 스위치 = 스위칭 허브)
: 허브와 달리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MAC 주소 학습 기능
: 프레임이 전송시, 출발지 MAC 주소가 없으면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해 MAC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하는 기능
플러딩 (flooding)
: 목적지 MAC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는 경우, 송신 포트 이외의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프레임)이 전송되는 것
MAC 주소 필터링
: 목적지 MAC 주소를 기준으로 목적지를 선택하는 것
: 불필요한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지 않도록 만든다
효율 문제로 허브보다 스위치를 주로 사용한다.
통신 방식
(1) 전이중 통신 방식
: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한다
: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를 랜 케이블로 직접 연결할 때 사용한다.
: 스위치에서 사용한다.
(2) 반이중 통신 방식
: 회선 하나로 송신 수신을 번갈아 통신한다
: 데이터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발생
: 허브에서 사용한다.
충돌 도메인 (collision domain)
: 충돌이 발생할 때 영향이 미치는 범위. 넓을 수록 네트워크가 지연된다.
: 허브는 모든 컴퓨터에 충돌의 영향이 미치기에,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넓다
: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 방식이기에 충돌 도메인의 범위가 좁다
목적지 컴퓨터의 IP 주소를 이용, MAC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
출발지 컴퓨터는 ARP 요청과 응답을 이용, MAC 주소를 얻고 이더넷 프레임을 만든다.
ARP 요청(request)
: 목적지 컴퓨터의 MAC 주소를 모를 때 수행하는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ARP 응답(response)
: 요청에 대해 지정된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가 MAC 주소를 응답으로 보내는 것
ARP 테이블
: 출발지 컴퓨터가 MAC 주소와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보관하는 메모리.
: 보존 기간을 ARP 캐시로 지정,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정보를 삭제하고 다시 ARP 요청을 한다.
이더넷은 케이블 종류와 통신 속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분류된다.
Ex. 10BASE-T
(1) 10 : 통신 속도
(2) BASE : 전송 방식. BASE의 경우, BASEBAND를 의미
(3) T : 케이블 종류. UTP 케이블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