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소유권자가 동일한 + 단일 공간 / 건물 / 캠퍼스에 위치한 장치들을 연결한 네트워크.
ex) 컴공 동아리방 안의 일부 컴퓨터 ~ 경희대 캠퍼스 내의 모든 컴퓨터 연결
ex) 용인: 경희대 LAN, 삼전 LAN 등 다양한 LAN 존재
P2P: 동일 LAN에 있을 때 동작할 때만 유의미함.
동일 지역에 밀집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LAN들을 포함하고 있는 큰 규모의 네트워크
LAN + LAN + .. + LAN => MAN
ex) 서울시 네트워크, 부산시 네트워크, ..
HTTP: 주로 LAN을 넘어선 MAN/WAN 개념의 서비스 제공.
(HTTP 1.1/2/3은 성능을 올리기 위해 등장한 것)
대개 줄로 표현.
(줄간 거리가 김 -> 지연을 줄이는 것이 중요)
ex) 서울시의 MAN - 부산시의 MAN 연결 네트워크 줄
MAN + MAN + .. + MAN => WAN
(LAN이 모여 MAN이 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임)
ex) 경희대 국캠 LAN - 경희대 설캠 LAN 연결 네트워크 줄
두 캠퍼스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보통 전용 라인, 논리적으로 경희대가 소유권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는 줄을 빌려씀.
이때 (KT ..)로부터 빌린 줄 / 국캠과 설캠 LAN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줄이 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