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스택네트워크] 컴퓨터네트워크 요약1 - 네트워크 규모

EunJi·2023년 11월 5일
0

컴퓨터

  • 누군가가 지시한 일(Logical / Arithmetic)을 실행하는 장치
  • =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서 만들어낸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절차적으로 실행하는 하드웨어(장치)
  • = 프로그래머가 만든 프로그램을 통해 논리적이며 산술적인 동작을 하는 소프트웨어가 실제로 실행되는 하드웨어
  • SW + HW (틀림)
  • 즉, 우리가 프로그램을 짜서 그게 돌아갈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컴퓨터이다!

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되고,
    구현된 소프트웨어(서비스)는 컴퓨터 위에서 동작한다.
  • 컴퓨터네트워크 -> 서비스 네트워크 등장.
    따라서, 서비스 네트워크를 알기 위해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함.

정의

  • 프로그래머블한 디바이스를 모두 타겟하여 서로 0과 1을 주고받는 것
  • 컴퓨터가 둘 이상 모여 0과 1을 주고받는 것

자주 등장하는 용어

네트워크 규모

  • 들어가 있는 컴퓨터 개수
  • 객관적이고 구체적이진 않지만, 추상적인 개념에서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구분함.

LAN (Local Area Network)

  • 대부분 소유권자가 동일한 + 단일 공간 / 건물 / 캠퍼스에 위치한 장치들을 연결한 네트워크.

  • ex) 컴공 동아리방 안의 일부 컴퓨터 ~ 경희대 캠퍼스 내의 모든 컴퓨터 연결

  • ex) 용인: 경희대 LAN, 삼전 LAN 등 다양한 LAN 존재

  • P2P: 동일 LAN에 있을 때 동작할 때만 유의미함.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동일 지역에 밀집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 LAN들을 포함하고 있는 큰 규모의 네트워크

  • LAN + LAN + .. + LAN => MAN

  • ex) 서울시 네트워크, 부산시 네트워크, ..

  • HTTP: 주로 LAN을 넘어선 MAN/WAN 개념의 서비스 제공.
    (HTTP 1.1/2/3은 성능을 올리기 위해 등장한 것)

WAN (Wide Area Network)

  • 대개 줄로 표현.
    (줄간 거리가 김 -> 지연을 줄이는 것이 중요)

  • ex) 서울시의 MAN - 부산시의 MAN 연결 네트워크 줄

  • MAN + MAN + .. + MAN => WAN
    (LAN이 모여 MAN이 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임)

  • ex) 경희대 국캠 LAN - 경희대 설캠 LAN 연결 네트워크 줄
    두 캠퍼스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보통 전용 라인, 논리적으로 경희대가 소유권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는 줄을 빌려씀.
    이때 (KT ..)로부터 빌린 줄 / 국캠과 설캠 LAN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줄이 WAN

LAN + MAN + WAN

  • WAN: 한줄이 아님
    삼성전자가 빌려쓰고 있는 줄이 또 어딘가로 들어갈 수 0
    ex) 삼성전자 해외지사: 우리나라 줄(KT)가 인터넷을 타고 미국의 줄(Verizon)의 줄을 탈 수 있음.
    따라서 단일 줄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여러 줄일 수 있음.

profile
말하는 감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