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전역변수,메서드로 구성)
코딩능력 : 배열,if조건,이중포문 *중요 + 재미 현제 완벽히 이해해야 한다
컴퓨터 작동 원리 / 나중에
-네트워크,운영체제(윈도우,리눅스)중요
-운영체제 자원관리 cpu관리,ram관리
-네트워크 통신 동작원리(OSI 7 Laters)중요
한정된 자원을 잘 활용하는것
코드는 명령문
스레드는 명령문을 실행하는것
JVM(자바 버츄얼 머신)영역
아래의 영역으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것
heap영역 : 객체를 관리하는곳
코드영역 : 코드의 명령문이 있는곳(
메소드영역 : 호출되는 메소드와 실행하는메소드로 구분
스레드(ctrl+f11)가 실행될때 heap영역과 메소드영역을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생각한다
스레드가 실행할때 메인 메소드부터 실행된다
스래드가 여러개 실행되는것을 멀티 스레드라고 부른다
형태 : 메서드명( ){ }
-메소드의 일종
-하나만 있다
-리턴타입이 없다
메서드 공부
정의와 호출로 구분
정의는 접근제어자 리턴타입 메서드명 (매개변수 정의)
호출은 메서드명(매개변수)
객체는 변수가 중요하다
메서드을 거쳐서 움직이는게 안전하다
내부의 자원을 보호하는것이 접근 제어자
참조변수의 특징
참조변수의 주소값이 변하면 기존의 주소값은 더 이상 참조하지 않는 객체가된다
선언문 : 참조타입,원시타입
객체를만드는 연산자 new,객체의 주소를 가지는것은 참조변수의값
클레스는 전역변수와 메서드로 구성
참조타입변수 여러개가 같은 주소값을 가지고있다면 같은 객체를 공유하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