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Relational DBMS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의 집합
-DBMS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운영하는 역할
-데이터의 무결성 : 데이버베이스 안의 데이터는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 왔던지 데이어테 오류가 있어서는 안됨. 제약조건이라는 특성을 가짐.
-데이터의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저장소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
-보안 : 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에 아무나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이나 데이터의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 접근할 수 있어야 함.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개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함.
-응용프로그램 제작 민 수정이 쉬움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통일된 방식으로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고, 유지보수 또한 쉬워짐.
-데이터의 안전성 향상 : 대부분의 DBMS가 제공하는 백업,복원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원상태로 복원 또는 복구하는 방법이 명확해짐.
계층형, 망형, 관계형
SQL개요
#SQL은 관계형 DB에서 사용되는 언어
-관계형을 배우고자 한다면, SQL은 필수요소
#SQL
-DBMS제작회사와 독립적이다.
-다른시스템으로 이식성이 좋다.
-표중이 계속 발전한다.
-데화식 언어이다.
-분산형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이다.
분석-설계-구현-시험-유지보수의 5가지 단계
-분석단계 : 시스템 분석 또는 요구사항 부석이라고 부름. 요구사항 분석은 현재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함.
-설계 단계 : 설계는 주로 시스템 설계 또는 프로그램 설계라는 용어로 부름.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정함.
-시스템 설계가 끝나고 나면 그 결과 문서들을 프로그래머에게 넘겨 주기만 하면 프로그래머는 설계서에 나온 그대로 프로그램을 작성함.
-시스템 설계가 끝나면 가장 큰 작업이 끝난 것으로 간주됨.
-분석 설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가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다.
-저장할 정보는 그냥 단편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이라는 형식에 맞춰서 넣어야 함.
-데이터 : 정보는 있으나 아직 체계화 되지 못한 상태를 말함.
-테이블 : 회원이나 제품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표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함.
-스키마 : 테이블, 뷰 들이 저장되는 저장소를 말하거나 여러 테이블, 뷰 등의 묶음으로도 말함.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스키마를 관리하는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를 말함.
-열(=컬럼=필드) : 각 테이블은 열로 구성됨.
-열 이름 : 각 열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
-데이터 유형 : 열의 데이터 유형을 말함.
-행(=로우=레코드) : 실질적인 데이터를 말함.
-기본 키(Primary Key) 열 : 기본 키(또는 주 키) 열은 각 행을 구분하는 유일한 열을 말함.
-외래 키(Foreign Key) 필드 : 두 테이블의 관계를 맺어주는 키를 말함.(외부에 있는 다른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키)
SQLStructured Language : 구조화된 질의 언어. SQL은 사람과 DBMS가 소통하기 위한 언어.
Oracle에서는 '사용자 이름 = 스키마 이름'으로 취급함
스키마 구축/관리 및 활용의 전반적인 절차
스키마(=사용자)생성 - 테이블 생성-데이터 입력 -데이터 조회/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