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SP] 전사아키텍처(EA) 이해 오답노트

이선아·2021년 11월 22일
2

🔹 EA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④ EA 도입의 핵심은 통합성과 상호운영성의 제고이다. 따라서 모든 기업은 EA 도입의 핵심 목적으로 통합성과 상호운영성을 설정한다.

EA 도입의 일반적인 목적은 IT 투자 효과를 높이고 통합성과 상호운용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목적은 기업의 특정이나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전사의 정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전사는 기업이나 기관과 동일한 의미이다.

전사의 범위는 기업의 규모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전사에 대한 개념으로 틀린 것은?

② 전사란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고객, 상품, 서비스가 존재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 및 기술을 보유하며, 이에 관련한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할 조직의 집합체" 로 정의된다. 따라서, 한 개의 기업 및 기관을 여러 개의 전사로 구분할 수는 없다.

전사는 하나의 기업 또는 기관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기업이 여러 개의 전사로 구성될 수 있다.


🔹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④ 오픈그룹의 EA 프레임워크(TOGAF)는 목표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 및 계획자, 소유자, 설계자, 개발자 관점의 구체적인 아키텍처 모델(매트릭스)을 제공한다.

TOGAF에서는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의 관점으로 보아서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제시하는 곳은 미국 재무성 프레임워크(TEAF) 또는 한국전산원 프레임워크.


🔹 EA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EA 프로세스는 EA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절차로서 IT 관리체계 전반에 걸친 모든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EA 프로세스는 IT 관리 프로세스에서 EA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정의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전사아키텍처 정보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② EA 산출물과 EA 정보 구성요소는 같은 구조이다.
④ EA 정보는 상세하게 관리할수록 투자효과가 크다.

EA 산출물고 EA 정보 구성요소는 다르다. 또한 관리할 EA 정보를 무조건 상세하게 정의한다고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상세한 산출물을 정의해 놓고 제대로 관리할 수 없다면 오히려 비용이 증가하여 역효과가 날 것이다.


🔹 목표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② 목표 아키텍처 정보 구축 할 때는 먼저 비지니스 아키텍처(BA)를 정의하고, 타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는 기업의 미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정의를 포함하고 비즈니스 아키텍처의 수준에 따라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수준이 결정되므로 BA를 먼저 정의하고 BA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목표 아키텍처 정보 구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④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고 비즈니스와 기술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목표 아키텍처를 EA 도입 초기부터 상세 수준까지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 아키텍처는 비용대비 효과를 고려하고 비즈니스와 기술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EA 도입 초기에는 상위 수준(개념 수준 정도)까지만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효과적인 EA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부적절한 것은?

② EA 관련 제반 이해당사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선진 참조모델을 교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효과적인 전사아키텍처의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의된 EA 조직체계, 프로세스체계 등을 문서화하여 전 조직이 준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또한 주기적 점검으로 개선점을 도출하여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개선해 나가야하며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EA 관련 제반 이해당사자들에게 지속적인 선진 참조모델 교육은 필수 사항이라고 할 수 없다.


🔹 EA 관리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② EA 프로젝트 관리도구

EA 프로젝트 관리도구는 초기 EA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지만 EA 관리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는 아니다.


🔹 EA 정보의 활용 사례로써 IT 기획관리 업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② 중복을 배제한 효과적인 시스템 투자계획 수립에 활용한다.

IT 기획관리 : 업무 프로세스 혁신, 정보화 계획
IT 구축관리 : 프로젝트 계획, 시스템 개발
IT 운영 및 통제 : 시스템 운영, IT 통제


🔹 EA 정보의 핵심적 활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기업 전략 수립 : 경영환경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상품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EA 정보의 핵심적 활용으로는 정보화 계획 수립, 시스템 개발, IT 통제가 있다.


🔹 EA와 관련하여 DA가 이루어야 할 3가지의 통합성과 거리가 먼 것은?

③ 현행 아키텍처와 목표 아키텍처의 불일치성을 제거한다.

EA와 DA(데이터아키텍처) 간의 3가지 통합성은 범위 통합성(EA 범위 전체에 대한 각 모델 내의 불일치성을 제거), 수평 통합성(관련된 도메인 간의 불일치성을 제거), 수직 통합성(관련된 관점 간의 불일치성 제거) 등이다. 현행 아키텍처와 목표 아키텍처의 불일치성을 제거하는 것은 이행계획에 대한 것이다.


🔹 아키텍처 매트릭스의 시점과 데이터아키텍처 산출물의 연결이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계획자 : 데이터 표준

계획자 관점에는 전사 데이터 영역 모델 및 데이터 원칙,
책임자 관점에는 개념 데이터 모델,
설계자 관점에는 논리 데이터 모델,
개발자 관점에는 물리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 객체가 포함된다.

profile
깃허브 놀러오세용 -> Tistory로 블로그 이전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