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공식문서-이벤트와 Effect 분리하기

Kng_db·2023년 4월 6일
0

이벤트와 Effect 분리하기

이벤트 핸들러 같은 상호 작용을 다시 수행할 때만 다시 실행됩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달리, Effects는 prop 또는 state 변수와 같은 일부 값을 마지막 렌더링 때와 다른 값으로 읽게 되면 다시 동기화됩니다. 때로는 일부 값에 대한 응답으로 다시 실행되는 Effects와 그렇지 않은 Effects의 혼합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이를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학습내용

  •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
  • Effect는 반응형이고 이벤트 핸들러는 반응형이 아닌 이유
  • Effect 코드의 일부가 반응하지 않기를 원할 때 해야 할 일
  • Effect 이벤트란 무엇이며 Effects에서 추출하는 방법
  • Effects 이벤트를 사용하여 효과에서 최신 props 및 state를 읽는 방법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s 중 선택하기

먼저,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s의 차이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채팅방 컴포넌트를 구현한다고 상상해보세요. 요구 사항을 다음과 같습니다.
1. 컴포넌트는 선택한 채팅방에 자동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2.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채팅에 메시지를 전송해야 합니다.

이미 코드를 구현했지만, 이 코드를 어디에 놓아야 할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s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답할 때마다, 코드가 실행되어야하는 이유를 생각해야합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됩니다.

사용자 관점에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특정 “전송” 버튼을 클릭했기 때문에 발생되어야 합니다. 메시지가 다른 시간이나 다른 이유로 보내지면 사용자들은 화를 낼 것입니다. 이것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이벤트 핸들러여야하는 이유입니다.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면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만 sendMessage(message) 가 실행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Effects는 동기화가 필요할 때 실행됩니다.

컴포넌트를 채팅방에 연결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 코드는 어디에 넣어야 할까요?

이 코드를 실행해야 하는 이유는 특정 상호 작용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채팅방 화면으로 이동한 이유나 방법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들이 채팅방 화면을 보고 상호작용 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컴포넌트는 선택한 채팅 서버에 계속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앱의 초기 화면이 채팅방 컴포넌트이고, 사용자가 어떤 상호작용도 수행하지 않았더라도 채팅 서버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Effect인 이유입니다:

이 코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수행한 특정 상호작용과는 무관하게, 항상 현재 선택된 채팅 서버에 대한 활성화된 연결이 있음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앱을 열었을 때 뿐만 아니라, 다른 채팅방을 선택하거나 다른 화면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돌아와도 Effect가 현재 선택된 방과 동기화되어 컴포넌트에 항상 현재 선택된 채팅서버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됩니다. 또한, 필요할 때마다 다시 연결됩니다.

위 코드에서 useEffect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WebSocket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즉, createConnection 함수를 사용하여 WebSocket 연결을 만들고, connect 메서드를 호출하여 연결을 설정합니다. 이 때, useEffect 훅은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한 번만 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useEffect 훅은 roomId라는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roomId 상태가 변경되면, 새로운 WebSocket 연결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seEffect 훅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WebSocket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채팅방을 변경할 때마다, 해당 채팅방에 대한 WebSocket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해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값 및 반응형 로직

직관적으로, 이벤트 핸들러는 버튼을 클릭하는 등 항상 “수동”으로 트리거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ffects는 "자동"으로 동기화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만큼 자주 다시 실행됩니다.

이에 대해 더 정확하게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포넌트 본문 내부에 선언된 props, state, 변수를 반응형 값이라고 합니다. 이 예제에서 serverUrl은 반응형 값이 아니지만 roomId와 message는 반응형 값입니다. 이들은 렌더링 데이터 흐름에 참여합니다:

이와 같은 반응형 값은 재렌더링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message를 수정하거나 드롭다운에서 다른 roomId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와 Effects는 변경 사항에 다르게 반응합니다:

  •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리액티브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동일한 상호작용(예: 클릭)을 다시 수행하지 않는 한 다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변경에 "반응"하지 않고 반응형 값을 읽을 수 있습니다.
  • Effects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입니다. Effect에서 반응형 값을 읽는 경우 의존성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재렌더링으로 인해 해당 값이 변경되면 React는 새 값으로 Effect의 로직을 다시 실행합니다.

이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이전 예제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 코드 라인를 살펴보세요. 이 로직이 반응형이어야 할까요, 아닐까요?

sendMessage(message)는 반응형(reactive)이 아닙니다. 이 코드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고 "Send"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입력된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반응형(reactive)이란,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화면이 갱신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React에서 주로 상태(state)와 프로퍼티(props)를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상태가 변경되면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다시 렌더링되고 화면이 갱신됩니다.

sendMessage(message)는 handleSendClick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응형으로 동작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려면, message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서버로 자동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로직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useEffect 훅을 사용하여 message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sendMessage 함수를 호출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message가 변경되었다고 해서 메시지를 보내겠다는 뜻은 아닙니다. 사용자가 입력 중이라는 의미일 뿐입니다. 즉, 메시지를 전송하는 로직은 반응적이어서는 안 됩니다. 반응형 값이 변경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다시 실행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벤트 핸들러에 속하는 이유입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반응형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보내기 버튼을 클릭할 때만 sendMessage(message)가 실행됩니다.

효과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입니다.

이제 이 라인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roomId가 변경되었다는 것은 다른 룸에 연결하고 싶다는 의미입니다. 즉, 방에 연결하기 위한 로직은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이러한 코드 라인은 반응형 값을 “따라잡고”, 값이 달라지면 다시 실행되기를 원합니다. 이것이 바로 Effect에 속하는 이유입니다:

Effects는 반응형이므로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및 connection.connect()
코드는 roomId의 모든 고유값에 대해 실행됩니다. Effect는 현재 선택된 방에 따라 채팅 연결을 동기화합니다.


Effects에서 비반응성 로직 추출하기

반응형 로직과 비반응형 로직을 함께 사용하려는 경우 상황이 더 까다로워집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팅에 연결할 때 알림을 표시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props에서 현재 테마(dark or light)를 읽어 올바른 색상으로 알림을 표시합니다:

그러나, theme는 반응형 값이며(리렌더링의 결과로 변경될 수 있음), Effect에서 읽는 모든 반응형 값은 종속성으로 선언해야 합니다. 이제 theme를 Effect의 종속성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이 예제를 실행하면서 이 사용자 경험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roomId 가 변경되면, 예상한대로 채팅이 다시 연결됩니다. 하지만 theme도 종속성이기 때문에 dark 테마와 light 테마 사이를 전환할 때마다 채팅이 또다시 다시 연결됩니다. 좋지 않죠!

다시 말해, 이 라인이 반응형 Effect안에 있더라도 이 라인이 반응형 Effect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 비반응형 로직을 주변의 반응형 Effect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Effect 이벤트 선언하기

⚠ 이 섹션에서는 아직 안정된 버전의 React로 출시되지 않은 실험적인 API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비반응형 로직을 Effect에서 추출하려면 useEffectEvent라는 특수 Hook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onConnectedEffect Event라고 불리며, Effect 로직의 일부이지만 이벤트 핸들러처럼 동작합니다. 그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으로 동작하지 않으며, 항상 props와 state의 최신 값을 "확인"합니다.

이제 Effect 내부에서 onConnected Effect Event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Effect의 종속성 목록에서 onConnected제거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Effect Event는 반응형 이벤트가 아니므로 종속성에서 생략해야 합니다.

새 동작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Effect Event는 이벤트 핸들러와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이벤트 핸들러는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되는 반면, Effect Event는 Effect에서 사용자가 트리거한다는 점입니다. Effect Event를 사용하면 Effect의 반응성과 반응형으로 동작해서는 안 되는 코드 사이의 "사슬을 끊을 수 있습니다".

Effect Event로 최신 props 및 state 읽기

⚠ 이 섹션에서는 아직 안정된 버전의 React로 출시되지 않은 실험적인 API에 대해 설명합니다.

Effect Event를 사용하면 억제하고 싶을 수 있는 많은 종속성 linter 패턴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방문을 기록하는 Effect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나중에 사이트에 여러 경로를 추가합니다. 이제 Page 컴포넌트는 현재 경로가 포함된 url프로퍼티를 받습니다. logVisit 호출 시 url을 전달하고 싶지만 종속성 linter가 불평합니다:

코드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세요. 각 URL이 서로 다른 페이지를 나타내므로 서로 다른 URL에 대해 별도로 방문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이 logVisit 호출은
url에 반응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경우 종속성 linter를 따르고 url을 종속성으로 추가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이제 모든 페이지 방문 기록 시 장바구니에 있는 품목의 수를 포함하려고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Effect 내부에서 numberOfItems를 사용했기 때문에, Linter는 이를 종속성으로 추가하라고 요청합니다. 그러나 logVisit 호출이 numberOfItems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무언가를 넣고 numberOfItems가 변경되는 것이 사용자가 페이지를 다시 방문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즉, 페이지 방문은 어떤 의미에서 “이벤트”입니다. 이는 정확한 순간에 발생합니다.

코드를 두 부분으로 나눕니다:

여기서 onVisit는 Effect Event입니다. 그 안의 코드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경 시 주변 코드가 다시 실행될 것을 걱정할 필요 없이 numberOfItems(또는 다른 반응형 값!)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ffect 자체는 반응형으로 유지됩니다. Effect 내부의 코드는 url 프로퍼티를 사용하므로, Effect는 다른 url로 다시 렌더링할 때마다 다시 실행됩니다. 그러면 onVisit Effect Event가 호출됩니다.

결과적으로 url이 변경될 때마다 logVisit을 호출하고 항상 최신 numberOfItems를 읽게 됩니다. 그러나 numberOfItems가 자체적으로 변경되면 코드가 다시 실행되지 않습니다.

🗒️ Note

매개변수 없이 onVisit()을 호출하고 그 안에 있는 url을 읽을 수 있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const onVisit = useEffectEvent(() => {
    logVisit(url, numberOfItems);
  });

  useEffect(() => {
    onVisit();
  }, [url]);

이 방법도 작동하지만 이 url을 Effect Event에 명시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Effect Event에 인자로 url을 전달하면 다른 url을 가진 페이지를 방문하는 것이 사용자 관점에서 별도의 "이벤트"를 구성한다는 의미입니다. visitedUrl 은 발생한 “이벤트”의 일부입니다:

  const onVisit = useEffectEvent(visitedUrl => {
    logVisit(visitedUrl, numberOfItems);
  });

  useEffect(() => {
    onVisit(url);
  }, [url]);

Effect Event가 명시적으로 visitedUrl을 "요청"하기 때문에 이제 Effect의 종속성에서 실수로 url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url 종속성을 제거하면(별개의 페이지 방문이 하나로 계산되게 함) linter에서 이에 대해 경고합니다. onVisiturl에 대해 반응하기를 원한다면, (반응하지 않는) Effect Event 내부에서 url을 읽는 대신 Effect에서 url전달합니다.

이는 Effect 내부에 비동기 로직이 있는 경우 특히 중요합니다:

  const onVisit = useEffectEvent(visitedUrl => {
    logVisit(visitedUrl, numberOfItems);
  });

  useEffect(() => {
    setTimeout(() => {
      onVisit(url);
    }, 5000); // Delay logging visits
  }, [url]);

여기서 onVisit 내부의 url은 (이미 변경되었을 수 있는) 최신 url에 해당하지만 visitedUrl은 원래 이 Effect(및 onVisit 호출)를 실행하게 만든 url에 해당합니다.

[DEEP DIVE] 대신 종속성 Linter를 억제해도 괜찮나요?

기존 코드베이스에서는 때때로 다음과 같이 Lint 규칙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seEffectEvent가 React의 안정적인 API가 된 후에는 Linter를 억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규칙을 억제하는 첫 번째 단점은 코드에 도입한 새로운 반응형 종속성에 Effect가 "반응"해야 할 때 React가 더 이상 경고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앞의 예제에서 url을 종속성에 추가한 이유는 React가 이를 상기시켜줬기 때문입니다. Linter를 비활성화하면 해당 Effect를 이후에 수정할 때, 더 이상 이러한 경고를 받지 않게 됩니다. 이것은 버그로 이어집니다.

다음은 Linter를 억제하여 발생하는 혼란스러운 버그의 예입니다. 이 예제에서 handleMove 함수는 커서를 따라갈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canMove state 변수 값을 읽어야 합니다. 그러나 canMovehandleMove 내부에서 항상 true입니다.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이 코드의 문제는 종속성 Linter를 억제하는 데 있습니다. 억제를 제거하면 이 Effect가 handleMove 함수에 종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andleMove 는 컴포넌트 본문 내부에서 선언되어 반응형 값이 되기 때문입니다. 모든 반응형 값은 종속성으로 지정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 낡을 수 있습니다!

원래 코드의 작성자는 Effect가 어떤 반응형 값에도 의존하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React에 "거짓말"을 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canMove가 변경된 후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하지 않은 이유입니다(그리고 handleMove도 함께).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스너로 첨부된 handleMove는 초기 렌더링 중에 생성된 handleMove 함수입니다. 초기 렌더링 중에 canMovetrue였기 때문에 초기 렌더링의 handleMove는 영원히 그 값을 보게 됩니다.
Linter를 억제하지 않으면 오래된 값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useEffectEvent를 사용하면 Linter에 "거짓말"을 할 필요가 없으며 코드가 예상대로 작동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useEffectEvent가 항상 올바른 해결책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반응하지 않으려는 코드 줄에만 적용해야 합니다. 위의 샌드박스에서는 canMove와 관련하여 Effect의 코드가 반응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Effect Event를 추출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Linter를 억제하는 다른 올바른 대안에 대해서는 Effect 종속성 제거하기를 읽어보세요.

Effect Event의 제한사항

⚠ 이 섹션에서는 아직 안정된 버전의 React로 출시되지 않은 실험적인 API에 대해 설명합니다.

Effect Event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 Effect 내부에서만 호출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컴포넌트나 Hook에 전달하지 마세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Effect Event를 선언하고 전달하지 마세요:

대신 항상 Effect Event를 사용하는 Effect 바로 옆에 Effect Event를 선언하세요:

Effect Event는 Effect 코드의 비반응성 "조각"입니다. Effect Event는 이를 사용하는 Effect 옆에 있어야 합니다.


요약

  • 이벤트 핸들러는 특정 상호 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실행됩니다.
  • Effect는 동기화가 필요할 때마다 실행됩니다.
  • 이벤트 핸들러 내부의 로직은 반응형이 아닙니다.
  • Effect 내부의 로직은 반응적입니다.
  • 비반응적 로직을 Effect에서 Effect Event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Effect 내부에서만 Effect Event를 호출하세요.
  • Effect Event를 다른 컴포넌트나 Hook에 전달하지 마세요.
profile
코딩 즐기는 사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