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공인IP vs 사설 IP

이기현·2021년 1월 22일
1

네트워크

목록 보기
3/5

IP Address

  • cmd에 ipconfig를 입력하면 자신의 IP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리눅스는 ifconfig)

ipconfig 결과

용어들의 뜻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더넷(Ethernet) : LAN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 중 하나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어답터 = LAN카드 = NIC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IP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 공간에서 자기 PC가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자. 보통 IP주소는 IPv4주소를 의미. IPv4는 32비트, IPv6은 128비트.

클래스: IP주소 첫 번째 자리 숫자에 따라 클래스로 나눈다. A,B,C클래스 외에 D,E클래스도 있다.

클래스 IP주소 첫 번째 자리
A 클래스 1~126
B 클래스 128~191
C 클래스 192~223

클래스는 하나의 IP주소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짖는 규약

클래스를 구분짖는 이유는 네트워크ID의 크기에 따른 분류이다.

A클래스는 166.0.0.0 즉 뒷 3 파트가 host id로써 쓰일 수 있고 B클래스는 166.166.0.0 뒤에 2 파트가 host id로 쓰인다 마지막으로 C클래스는 166.166.166.0 즉 마지막 1 파트만 host로 쓰일수 있기 때문에 C클래스는 설정할 수 있는 host의 갯수가 가장 적다.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뜻은 결국 서브넷마스크를 사용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A클래스 : 255.0.0.0 서브넷 마스크 사용
B클래스 : 255.255.0.0 서브넷 마스크 사용
C클래스 : 255.255.255.0 서브넷 마스크 사용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IP주소와 쌍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 전화번호를 구분하는 방식처럼 (ex.국번2203-일련번호2313) IP주소는 네트워크ID와 호스트 ID를 서브넷 마스크로 구분한다.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 IP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표기하는 방식

  • 네트워크 ID: 서브넷 마스크와 대응하는 부분 (서브넷 마스크에서 0이 아닌 자리의 IP). LAN영역 구분용.

  • 호스트 ID: 서브넷 마스크와 대응하지 않는 부분 (서브넷 마스크에서 0인 자리의 IP) - LAN안에서 호스트 구분용

192.168.0.13 255.255.0.0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
=> 192.168 //네트워크 ID
=> 0.13 //호스트 ID

서브넷마스크는 하나의 IP에서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눠주는 것.
기본서브넷네트워크(클래스에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가 지정되는 것) 도 물론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눠주기 때문에 서브넷마스크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 서브넷마스크는 A클래스, B클래스, C클래스의 기본 서브넷마스크에서 가질 수 있는 네트워크영역과 호스트영역을 더 쪼개서 더 효율적으로 서브네팅하는 것입니다.

현제 회사 PC ip가 172.29.19.79 라면 B클래스이기 때문에 기본서브넷마스크가 255.255.0.0 이고 172.29까지가 네트워크 ID가 되지만 따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0 으로 설정하면 172.29.19까지 네트워크 ID가 됨으로써 네트워크 영역을 늘리고 호스트 영역을 줄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 ≒ 라우터.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는 게이트웨이라고 하고,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라우터라고 한다. 말 그대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관문이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LAN영역 간 호스트-호스트 사이를 연결해 준다. 이것을 라우팅(routing)이라고 한다.

PC의 네트워크 ID와 라우터의 네트워크 ID는 동일하다.

LAN(Local Area Network)영역: 같은 네트워크 ID를 공유하는 장치들의 공간. 즉, 같은 게이트웨이 주소를 사용하는 장치들의 집합적 공간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ID가 다르다면? 다른 LAN에 있다는 것이다.

다시 정의하면, 네트워크 ID는 LAN영역 간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호스트ID는 동일 네트워크 영역 내 호스트들끼리 구분을 하는 데 쓰고. 라우터는 서로 다른 LAN - LAN 연결에 사용된다.

출발지/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다르다면? 다른 LAN 영역에 있다 => 라우팅 필요

출발지/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동일하다면? 같은 LAN영역에 있다 => 스위칭 필요

출처: https://conservative-vector.tistory.com/entry/IP주소-서브넷-마스크-게이트웨이 [에움길]

공인 IP(Public IP Address)?

전세계에서 유일한 IP인 공인 IP는 전세계 인터넷상에 접속되어 고유한 주소를 가지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그 주소로 찾아갈 수 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각 컴퓨터의 IP는 고유한 주소이다.

즉, 집으로 들어오는 IP는 공인 IP 1개이다.

사설 IP?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사용되는 주소이다. 즉,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다. 사설 IP는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네팅된 아이피 주소를 말하며 장비(AP:고유기)만 있으면 어디서든 사설 네트워크로 사설 IP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설 네트워크 주소는

A Class : 10.0.0.1 - 126.255.255.255 //로컬, 지역, 국가단위
B Class : 127.0.0.1 - 191.255.255.255 //회사, 공공기관 단위
C Class : 192.168.0.1 - 223.255.255.255 //보통 집에서 쓰는 클래스. 약 250대까지 가능
D Class :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팅용 주소 개인 및 단체사용 못함
E Class : 240.0.0.0 - 255.255.255.255 //연구목적용 개인 및 단체사용 못함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하지만, 사설 IP는 하나의 네트워크(회사 사내망, 집) 안에서 유일하다.

= 공인 IP는 외부든 내부든 해당 IP에 접속할 수 있으나, 사설 IP는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단지 내부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사설 IP에서 외부망에 연결할 때에는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NAT방식으로 공인 IP로 변환한 후 인터넷에 접속한다.

JTBC가 공인 IP 주소를 발급 받는다. JTBC 내부에서 직원들이 PC를 사용할 때에는 사설 IP를 사용한다. 사설 IP의 종류는 A,B,C클래스가 있다. 서브넷마크스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내부 네트워크에 있어서 네트워크 ID를 통해 LAN영역을 구분하다. 또한 호스트 ID를 통해서 각 호스트(기기)를 구분한다.
예를들어 JTBC 1층은 172.29.19.1 이라는 게이트 웨이, 255.255.0.0 서브넷 마스크 사용한다면 172.29는 1층의 LAN 영역이 되는 것이고, 뒤에 host id를 통해서 각 PC를 구분한다.
2층은 172.28.19.1 게이트웨이, 255.255.0.0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면 172.28이 2층의 LAN영역(네트워크 ID)가 되는 것이다.

출처: https://douxstar.tistory.com/entry/공인-ip와-사설-ip-차이 [douxstar blog]

profile
실력을 쌓아가는 하루하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