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de 7기로 수업을 받고있는 슈퍼개발자,

춤추는망고입니다.

( 춤 안춥니다. )





- 이 글은 WeCode 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는 글입니다.

( 코딩나라에서 살아남기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













WeCode 2주차의 셋째날인 오늘,

제가 소개할 내용은 !





Mango 도 Pyango 로 만들어버릴

Python 입니다.







이번 글에선,

지난글에서 Python 의 자료형을 이해한 여러분에게

' 그것을 쓰는 수 만가지 방법; '




에 대해 소개합니다.







오늘 내용은 정리할 부분과 그냥 보고 넘어갈 부분이 나뉘어있슴다...

사실 엄청 자주 활용하는 부분은 얼마 안되요...

하지만, 정말 중요합니다!






그 외에도 엄청난 분량부자들이 있는데,

마르고 닳도록, 보게되실겁니다...

( 즐겨찾기 ㄱㄱ! )
























서론이 길었네요.






이번 글은 직접 해보시기바랍니다.















자료형으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들을 보게되실겁니다.

( 까먹으면 찾아보세요... )
( 어차피 자주쓰는거만 잘 외워짐 )





















설명보다는 실전입니다!

operator ( 연산자 )

실행 우선순위 !

()	**	( *   /   % )	( +   - )







arithmetic : 산술연산자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제곱 ** , 몫 // , 나머지 %




assignment : 할당연산자

= , += , -= , *= , /=
예 ) a += b -> a = a + b




comparison : 비교연산자

== , < , > , <= , >=




logical : 논리연산자 ( 결과값으로 boolean 출력 )

and , or , not




membership : 포함연산자
( look up : 포함여부를 확인하다 )

in , not in




sequence 정보용 연산자 ( string / list / tuple )

concatenation : + / 연쇄 연산자
Repetition : * / 반복 연산자

연산자의 양 옆이 연산의 대상이 된다

는 것은 다들 아시죠?

( 1 + 1 모르시는거 아니자나요; )



























원하는 정보를 제대로 찝어내고, 도려낼줄 알아야

진정한 파이썬의 고수!





















index

정보들의 주소값 ( 색인 ) [ sequence 자료형에서 사용 ]

범위 : 0 ~ n / -n ~ -1
변수[ i ] : i 주소값의 정보
변수[ i : j ] : i ~ ( j - 1 ) 사이의 정보
		( 비어있으면, 각 끝점 )

[ 원하는 정보값 얻기 ]






slice

필요한 구간의 정보에 대한 index 값을 지정하여 따로 추출
[ sequence 자료형에서 사용 ]

기본적으로 인덱싱에서의 index 지정방식과 같음
시작점, 종료점, 건너뛰기값을 설정하여 사용
list [ 첫값 : 끝값 : n ] = ( n - 1 ) 칸씩 건너뛰고 값 지정

[ 원하는 여러 정보값 얻기 ]






escape

기호를 문법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법



기호 앞에 ' \ ' 를 붙여 사용한다.



자주 쓰이는 escape code 5종 세트!

\n :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문법에 얽힌 기호들 사용하기 ]






docstring

줄바꿈있는 문자를 그대로 표시하는 방법

" 이나 ' 를 3개 사용

[ 여러줄인 문자열 그대로 표현하기 ]






format

여러 위치에 이름, 값을 지정하여 긴 string 에 정보를 주입하는 방식

% 방식 : 위치지정을 %로 하고, 값지정을 %( 값 )
( 밑의 {} 포맷팅에 비해 느려서, 자주 사용하진 않음 )
함수 방식 : {} 로 위치 지정,
	  문자열 끝에 .format ( 값 ) 으로 값 지정
f 문자열 방식 : 문자열 앞에 f 를 붙여서 사용, 변수값 참조 가능
	     ( literal string interpolation 이라고도 함 )






+ 함수, f 문자열 방식 formatting 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들

사용하기 위한 기본 조건들
1. 표현식 앞에 : 를 붙여야 함
2. { } 에 내용을 적지 않아도 사용가능
3. 표현식 앞에 기호를 써주면, 여백 ( 기본값 ) 대신 지정한 기호로 채워줌

정렬 : () 안의 표현식을 사용.
      n 의 값에 들어온 숫자값대로 자릿수를 맞춤.

	왼 쪽 ( <n ) : 치환되는 값을 왼쪽으로
	오른쪽 ( >n ) : 치환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가운데 ( ^n ) : 치환되는 값을 가운데로

	예 ) "{0:>5}".format("hi") => '   hi'
	    "{0:!>5}".format("hi") => '!!!hi'

소수점 표현 : ( .n ) 의 표현식을 사용.
	   n 의 값에 들어온 숫자값 대로 소수점 자릿수를 표현.
	   . 앞에 숫자를 넣으면, 숫자값대로 자릿수를 맞춤

       	예 ) y = 3.42134234
	    "{0:8.4f}".format(y) => '  3.4213'
	    "{0:!8.4f}".format(y) => '!!3.4213'

[ 여러 상황에 맞춰 사용가능한 대입하기 ]






set 자료형 응용

( 비교목록이라고 소개했던만큼, 대단한 자료형입니다! )

set ( 자료형 )

-> container, dictionary 자료형을 set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명령



1. 비교하고자 하는 자료형들을 변환해주는데 씀
2. dictionary 를 변환하면, key 값만 인식

+ set 자료형에 대한 함수

  1. 기호( &, | , - ) 를 쓰면, 양쪽 다 set 상태여야함
  2. 구문으로 쓰면 우항에 오는 비교대상이 set 이 아니여도 작동함
intersection : & / 교집합 
union : | / 합집합
difference : - / 차집합


















여기까지는 모두, 아무내용이나 넣어서 시험해보셔야 합니다.

꼭!









이 밑은 설명을 이해할정도로만 읽어보셔도 괜찮아요 ㅎ





















호출형 메소드 백과사전






( 자주 쓰이는 알짜베기 모음! )






sequence 자료형 메소드 ( sqc 로 표현 )

참고로 sequence 는 ' 순서있게 나열된 ' 이란 뜻입니다!
( 문자형이나 순서있는 container 가 해당되요! )

len ( sqc ) : element 개수
sqc . count ( 값 ) : 값의 개수
sqc . find ( 값 ) : 값이 처음으로 나온 index 값
" 값 " . join ( sqc ) : sqc 사이에 값을 삽입






문자형 메소드 ( str 로 표현 )

str . upper : 대문자로 변환
str . lower : 소문자로 변환
str . strip : 여백을 모두 지움 ( strip 앞에 l 이나 r 을 붙여,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지정 )
str . replace ( i , j ) : i 에 바뀔부분, j 에 바꿀내용을 지정
str . split ( ) : ( ) 안의 값을 기준으로 str 의 내용을 쪼개어, 요소별로 list 에 넣음






list 자료형 메소드 ( lis 으로 표현 )

lis [ index 값 ] = 값 : index 값 위치의 값 변경
del lis [ index 값 ] : index 값 위치의 값 삭제
lis . append ( 값 ) : list 마지막에 값을 추가
lis . sort ( ) : 요소들을 순서대로 정렬해줌
lis . reverse ( ) : 요소의 순서를 뒤집음
lis . index ( 값 ) : 값의 index 값 반환
lis . insert ( a, b ) : a 위치에 b 를 삽입
lis . remow ( 값 ) : 가장 처음에 있는 값을 삭제
lis . pop ( ) : 맨 마지막에 있는 값을 출력하고 삭제
lis . count ( 값 ) :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
lis . extend ( list ) : lis + list






set 자료형 메소드 ( set 로 표현 )

set . add ( 값 ) : 값 1개 추가
set . update ( list ) : 값 여러개 추가 ( list 에 담아서 )
set . remove ( 값 ) : 값 삭제 ( 여러개는 불가능 )






dictionary 자료형 메소드 ( dict 로 표현 )

dict [ key ] = value : 정보 추가
del dict [ key ] : key 에 대한 정보 삭제
dict . clear ( ) : 딕셔너리 모두 삭제
dict . get ( key ) : key 값의 value 반환
key in dict : key 포함여부 -> boolean 데이터형 반환
dict . keys ( ) : dict_keys ([ key list ]) 라는 객체를 리턴해줌
( key list )
dict . values ( ) : dict_values ([ value list ]) 라는 객체를 리턴해줌
( value list )
dict . items ( ) : dict_items ([ item list ]) 라는 객체를 리턴해줌
( item list ) ( <- key value pair 모음 )






마지막에 나온 dict _ ~~~ 객체를 활용해보기!

dict _keys, dict _values, dict _items 등은 리스트로 변환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반복 ( iterate ) 구문 ( 예 : for문 ) 을 실행할 수 있어요~



dict _ 객체는
list 고유의 append, insert, pop, remove, sort 함수는 수행할 수 없어요.
-> list ( dict . ~~~ ( ) )를 사용하면 됨
( 자료형 변환은 다른내용과 함께 뒤에서 다룰거에요! )
























여기까지!



























고생하셨습니다...












( 정리하느라 죽는줄; )

















요정도면,

정보 다루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

은 준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아니라구요?;; 열심히했는데 ㄷㄷ ㅠ )















이번 글까지 아주아주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정리를 마쳤습니다.

이 이후에 올 내용들은 좀 더 정리가 필요해서,

시리즈 업데이트는 한동안 미뤄질 것 같습니다.

다음 글까지 숙제는

구글링으로 튼튼한 기초 다지기!

입니다.
( 살인적인 분량... 죽어버리겟자너... )






다음글까지 잘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띵언과 마무리 인사로 끝낼게요 ㅎ




































어떤일이든, 항상 때가 있다.

아직 오지 않았을 뿐이다.






감사합니다. ( _ _)

( 조금 먼 시간 뒤에 다시 뵈욥! )

profile
지금까지 이런 망고는 없었다. 이것은 개발자인가 춤추는망고인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