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모체 Checklist table 분해
checklist → basic info / progress info / stats info로 분해
⇒ 잘못된 modifiedDate update를 막기 위함. #Record
⇒ basic info가 변경되었을 때 modifiedDate가 변경되어야 하는데 Spring의 @LastModifiedDate 라는 속성으로 인해 다른 종류의 info가 변경되었을때도 같이 변경됨.
youtube 상위 비디오를 수집하는 chrome extension 개발 및 테스트를 진행함.
html 코드에서 css Selector를 통해서 해당 video-id를 가져오는 작업을 함.
하지만 “m.youtube.com” & “youtube.com” 모바일과 데스크탑 버젼의 html 코드가 달라서 따로 만드는 작업을 하느라 시간이 꽤 걸림.
웹 상에서 개발자 도구에서 콘솔 창에서 진행하는 css selector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특정 원소의 자식을 css selector를 통해서 가져오려고 해도 null 값으로 나옴.
const video = document.querySelector("#contents ytd-rich-item-renderer")
result = video.querySelector("#video-title")
해당 코드의 result가 null로 나온다는 문제가 발생함.
따라서 해당 코드가 문법적으로 잘못된 줄 알고 여러 방법을 찾다가 결국 해당 문법이 옳고 개발자 도구 콘솔 창 자체의 문제점이라는 것을 확인함.
⇒ javascript에서 해당 코드를 입력하면 제대로 자식 원소가 리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