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UDP & IP/Domain

박상철·2022년 4월 18일
0

Web

목록 보기
2/4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

  1. 연결지향형 서비스
  2. 대부분의 응용에서 사용하는 수송 계층 프로토콜
  3. 응용(application) 간에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
  4. 전송 여부 체크, 중복제거 등을 보장
  5.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체크

UDP(User Datagram Protocol) 프로토콜

  1. 비연결형 서비스
  2. 불특정 다수에게 데이터 전송 가능
  3. 전송 여부, 중복제거 데이터 전송 가능
  4. 전송 여부, 중복제거 등을 보장하지 않음
  5. 단순, 최소의 매커님즘을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음
  6. 빠른 전송 지원
  7. Best Effort 서비스

IP(Internet Protocol)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
IP 계층에서 데이터에 IP 주소를 붙임
IP 주소를 바탕으로 패킷이 목적지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함

IP주소(숫자 11.222.33.444) vs 도메인 네임(문자 ex: google.com) (DNS: Domain Name Server)

Domian Name Service
1. 사람이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바꿔주는 인터넷 서비스
2. 사람이 이해하는 인터넷 주소(도메인 이름)를 서버나 라우터가 아는 IP주소로 변환해줌
3.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IPv4 주소
주소의 범위는 32비트
0~255 사이의 십진수 네 개로 표현 ex)203.255.176.75 (0.0.0.0~255.255.255.255)

IPv6 주소
인터넷 주소의 고갈 문제 해결
128비트의 IP 주소 사용
16진수로 표현 됨

profile
운동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