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
@Wikipedia - 알고리즘
📌 시간복잡도가 가장 낮은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시간복잡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
@Wikipedia - 시간복잡도
간단하게 정의하면, 알고리즘의 성능을 설명하는 것이다.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간 및 연산의 횟수를 말한다.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기준에는 수행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이 있다.
수행시간에 해당하는 것이 시간복잡도이고,
메모리 사용량에 해당하는 것이 공간복잡도이다.
cf.
저장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시간복잡도를 우선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연산 횟수의 기준은 3가지가 있다.
1. 최선의 경우 ➡ 오메가 표기법
2. 최악의 경우 ➡ 세타 표기법
3. 평균적인 경우 ➡ 빅오 표기법
📌 최악의 경우로 알고리즘의 성능을 파악한다.
why?
최선과 최악이 아닌, 평균적인 경우가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 생각되지만,
알고리즘이 복잡해질수록, 평균적인 경우를 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연산을 제거하여, 알고리즘 분석을 쉽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수항 무시
➡
➡
영향력 없는 항 무시
➡
📌 자주 사용되는 Big - O 실행 시간
< < < < < < <
cf.
항상 변수 하나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문제 상황에 따라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변수가 사용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 상수
입력에 관계없이 복잡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 선형
입력이 증가하면 처리 시간 또는 메모리 사용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 Sqare
반복문이 두 번 있는 경우
주로 입력 크기에 따라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정렬 알고리즘에서 많이 사용된다.
cf.
Reference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와 Big-O 쉽게 이해하기
알고리즘 공부 시작 방법 및 순서
빅오 표기법,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과 시간복잡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