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s] Lovable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서쿠·2025년 8월 18일
1

vibe-coding-series

목록 보기
4/7

Lovable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AI 기반 개발을 위한 완벽 가이드

이 글은 Lovable의 공식 문서인 Prompt Library을 번역하고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https://docs.lovable.dev/prompting/prompting-library

개요

AI 기반 개발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에서,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은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Lovable의 프롬프트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개발 시나리오에서 재사용 가능한 패턴과 예시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AI와 더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프로젝트 시작부터 결제 시스템 통합까지, 실제 개발 과정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프롬프트 전략을 소개합니다. 각 섹션은 특정 사용 사례를 다루며,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와 실제 예시 프롬프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시작하기

언제 사용하나요?

프로젝트의 최초 단계에서 사용합니다. 이 프롬프트는 AI가 고수준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기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새로운 앱을 시작할 때 구축하려는 것, 기술 스택, 핵심 기능을 명시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프로젝트 브리프(project brief) 역할을 합니다.

프로젝트 브리프(Project Brief)란?
프로젝트의 목표, 배경, 주요 내용, 기대 결과, 예산, 일정 등 핵심적인 정보를 담은 문서를 의미합니다.

https://asana.com/ko/resources/project-brief

사용 방법

애플리케이션 유형, 핵심 기술(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백엔드, 기타 서비스), 주요 기능이나 페이지를 개략적으로 설명합니다. 그 다음 AI에게 어디서 시작할지 지시합니다(보통 메인 페이지나 중요한 기능). 이는 프로젝트 범위와 초기 초점을 설정합니다.

Example Prompt — Start New Project:

I need a **task management** application with:
- **Tech Stack:** Next.js frontend, Tailwind CSS for styling, Supabase for auth and database.
- **Core Features:** 
  - Project and task creation, assigning tasks to users, due date reminders, and a dashboard overview.

Start by building the **main dashboard page**, containing:
- A header with navigation,
- A list of projects with their status,
- and a button to create a new project.

Provide dummy data for now, and ensure the design is clean and responsive.

한국어 번역:

다음과 같은 **작업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 **기술 스택:** Next.js 프론트엔드, 스타일링을 위한 Tailwind CSS, 인증 및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Supabase.
- **핵심 기능:** 프로젝트 및 작업 생성, 사용자에게 작업 할당, 마감일 알림, 대시보드 개요.

다음을 포함하는 **메인 대시보드 페이지** 구축부터 시작하세요:
- 네비게이션이 있는 헤더,
- 상태가 표시된 프로젝트 목록,
- 새 프로젝트 생성 버튼.

지금은 더미 데이터를 제공하고, 디자인이 깔끔하고 반응형이 되도록 하세요.

이러한 프롬프트들은 새 프로젝트를 위한 검증된 구조를 따릅니다.

  • 먼저 앱 유형과 기술 스택을 명시하고, 핵심 기능을 나열한 다음, AI에게 어디서 시작할지 알려줍니다.
    (메인 대시보드 페이지, 구체적인 내용 포함)

이렇게 함으로써 Lovable에게 프로젝트를 시작할 명확한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추가 예시입니다.

Example Prompt — Create a New Component:

Create a new component called [ComponentName] with these features: 

[list features]

- Make it responsive and accessible with proper keyboard navigation.
- Include proper TypeScript typings for props, and use Tailwind for styling.

한국어 번역:

새로운 컴포넌트 **[ComponentName]**를 다음 기능과 함께 생성하세요:

[list features]

- 반응형(Responsive) 및 접근성(Accessible)을 지원하며, 올바른 키보드 내비게이션을 포함할 것.
- Props에 대해 올바른 TypeScript 타입을 정의할 것.
- 스타일링은 Tailwind CSS를 사용할 것.

Example Prompt — Explain & Review a Function:

Explain how this function works in simple terms, highlighting its inputs, outputs, and any side effects: 

[paste function]

What edge cases does it handle or miss? How could it be improved?

한국어 번역:

아래 함수를 간단하게 설명하세요. 

[paste function]

* 특히 입력(Inputs), 출력(Outputs), 그리고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Side Effects)을 강조합니다.  
* 또한 이 함수가 처리하는 엣지 케이스와 놓치는 경우를 분석하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제안하세요.

UI/UX 디자인

언제 사용하나요?

기능은 변경하지 않고 앱의 모양과 느낌을 개선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UI 다듬기, 레이아웃 조정, 또는 특정 디자인 스타일 구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디자인 변경의 범위를 명확히 명시하고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 AI는 스타일링에 꽤 능숙하지만, 원하는 "룩"(예: 모던, 미니멀, 특정 디자인 시스템과 매칭)에 대해 안내해야 합니다.
  • 여러 변경사항이 있다면 한 번에 하나씩 처리하세요(예: 먼저 레이아웃, 그 다음 색상).
  • 로직적으로 변경되어서는 안 되는 UI 부분이 있다면 항상 언급하세요.

예시 프롬프트 - UI 전용 변경:

The app UI should be improved, **without changing any functionality**. 

- Keep all existing logic and state management as is.
- **Visual Enhancements:** Update the styling of the dashboard page: 
   - use a modern card design for each project listing.
   - improve the color scheme for better contrast.
   - increase padding for a cleaner layout.
- Ensure these changes do **not break any functionality or data flow**.

*Goal:* purely cosmetic improvements for a more polished look, with the app behaving exactly as before.

한국어 번역:

앱 UI를 **기능 변경 없이** 개선해야 합니다.

- 모든 기존 로직과 상태 관리를 그대로 유지하세요.
- **시각적 개선:** 대시보드 페이지의 스타일링을 업데이트하세요: 
  - 각 프로젝트 목록에 모던한 카드 디자인 사용.
  - 더 나은 대비를 위한 색상 스키마 개선.
  - 더 깔끔한 레이아웃을 위한 패딩 증가.
- 이러한 변경사항이 **기능이나 데이터 흐름을 깨뜨리지 않도록** 하세요.

*목표:* 앱이 이전과 정확히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더 세련된 모습을 위한 순수한 미용적 개선.

이 프롬프트에서 우리는 시각적 개선만 하고 앱 작동 방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말합니다. 이는 중요합니다 - AI에게 "로직을 건드리지 마라"고 알려주는 것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카드 디자인, 색상 대비, 간격)을 나열하여 AI가 UI의 어떤 측면을 조정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Enhance the visual appeal of this component

Enhance the visual appeal of this component: 

[paste component]. 

Add animations, improve spacing, create a polished look while maintaining accessibility standards and responsive behavior.

한국어 번역:

이 컴포넌트의 시각적 매력을 향상시키세요: 

[컴포넌트 붙여넣기].

애니메이션을 추가하고, 여백을 개선하며, 세련된 외관을 만들되 접근성 기준과 반응형 동작을 유지하세요.

(예시) SUBMIT 버튼 개선 TEST

Enhance the visual appeal of this component:
A primary button with label "Submit", currently styled with flat blue background and white text.

Add animations, improve spacing, create a polished look while maintaining accessibility standards and responsive behavior.

Submit 버튼에 대해서 다양한 버튼 생성


예시 프롬프트 - Create a comprehensive design system

Create a **comprehensive design system** for my application.

Should support color palette, typography scale, spacing system, and component variants. 

Include dark mode support and ensure all components are accessible (WCAG AA compliant).

한국어 번역: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포괄적인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어주세요. 

색상 팔레트, 타이포그래피 스케일, 여백 시스템, 컴포넌트 변형을 포함하고, 다크 모드도 지원해주세요. 

모든 컴포넌트는 접근성 기준(WCAG AA)을 충족해야 합니다.

Semantic Colors

Neutral Scale

Font Sizes & Line Heights

Spacing Scale

Component Variants


예시 프롬프트 - Design a responsive dashboard layout

Design a responsive dashboard layout with [describe key metrics/widgets]. 

It should work well on mobile, tablet, and desktop with appropriate layout shifts. 
Include a sidebar navigation that collapses on mobile.

한국어 번역:

[핵심 지표/위젯 설명]을 포함한 반응형 대시보드 레이아웃을 설계해주세요.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탑에서 모두 잘 작동하도록 적절한 레이아웃 전환이 있어야 합니다.
모바일에서는 사이드바 내비게이션이 접히도록 해주세요.

(예시)

반응형 UI 설계, 주요 위젯 구성, 디바이스별 레이아웃 변화, 사이드바 동작 등 다양한 요소를 테스트

  • (참고) 위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describe key metrics/widgets]로 아래 사항들을 요청했어요!!
- **Sales Performance**: Bar chart comparing monthly sales.
- **Conversion Rate**: KPI widget with percentage and trend arrow.
- **Notifications Panel**: List of recent alerts/messages.
- **Task Progress**: Circular progress indicators for ongoing projects.

예시 프롬프트 - Transform to mobile-first design

Transform this desktop-only component into a mobile-first design with responsive breakpoints: 

[paste component].

Prioritize content and interactions for small screens first, then enhance for larger screens.

한국어 번역:

이 데스크탑 전용 컴포넌트를 모바일 우선 디자인으로 전환하세요:

[컴포넌트 붙여넣기].

작은 화면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우선시하고, 이후 큰 화면에 맞게 확장하세요.

(예시)

모바일 우선 접근 방식, 반응형 브레이크포인트, UI 재배치 등을 테스트

  • (참고) 위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paste component]에 아래 사항들을 요청했어요!!
**Component Description**:
- A dashboard header with logo, search bar, and user profile dropdown.
- A 3-column layout showing:
  - Left: Navigation menu with icons and labels.
  - Center: Main content area with cards and charts.
  - Right: Notifications and quick actions.

예시 프롬프트 - Add subtle, performant animations

Add subtle, performant animations to this component to enhance user experience: 

[paste component]. 

Include enter/exit animations, hover states, and micro-interactions that provide feedback without being distracting.

한국어 번역:

이 컴포넌트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세하고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애니메이션을 추가하세요: 

[컴포넌트 붙여넣기]. 

진입/퇴장 애니메이션, 호버 상태, 방해되지 않는 피드백용 마이크로 인터랙션을 포함하세요.

(예시)

UI 애니메이션 및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모두 고려한 설계 요청

  • (참고) 위 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 [paste component]에 아래 사항들을 요청했어요!!

Component Description:

- A card-based dashboard widget showing user stats.
- Includes a header, a number counter, and an action button.

Animation Requirements:

- **Enter/Exit Animations**: Fade-in and slide-up when the component mounts; fade-out and slide-down on unmount.
- **Hover States**: Slight scale-up and shadow on hover for cards and buttons.
- **Micro-interactions**:
  - Button click should show a ripple effect.
  - Number counter should animate from 0 to target value on load.

예시 프롬프트 - Analyze and optimize the user flow

Analyze and optimize the user flow for [describe task/goal]. 

Map out each step of the journey, identify friction points, and suggest UI improvements to create a more intuitive experience with fewer steps.

한국어 번역:

[작업/목표 설명]에 대한 사용자 흐름을 분석하고 최적화하세요. 

여정의 각 단계를 시각화하고, 마찰 지점을 식별하며, 더 직관적이고 단계 수가 적은 경험을 위한 UI 개선점을 제안하세요.

(예시)
[describe task/goal]“AI 챗봇을 통한 고객 지원 질문 처리”라는 목표를 넣고 돌리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사용자 챗봇 질의 여정을 분석하고, 병목/마찰 구간을 찾고, 더 나은 UI 개선안을 제시


예시 프롬프트 - Review components for accessibility

Review these components for accessibility issues and suggest improvements: 
[paste components]. 

Check for proper keyboard navigation, screen reader support, sufficient color contrast, and appropriate ARIA attributes.

한국어 번역:

이 컴포넌트들의 접근성 문제를 검토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세요: 
[컴포넌트 붙여넣기]. 

키보드 내비게이션, 스크린 리더 지원, 충분한 색상 대비, 적절한 ARIA 속성 등을 확인하세요.

(예시)
[paste components] 자리에 실제 HTML/React 컴포넌트 코드를 넣으면, 접근성(A11y) 기준(WCAG 2.1 AA)에 따라 자동으로 진단(Audit) 리포트를 생성해줍니다.

UI 코드 → 접근성 리뷰 보고서 작성


반응형 디자인

언제 사용하나요?

  • 앱의 레이아웃이 다양한 화면 크기(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톱)에서 작동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데스크톱에서는 좋아 보이지만 모바일에서 깨진다는 것을 발견했다면, 반응형 프롬프트를 사용할 때입니다.
  • UI 집약적인 작업의 최종 단계에서도 이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방법

  • 모바일 우선 접근법을 강조하고 AI에게 모든 표준 breakpoint에서 디자인이 반응형이 되도록 요청합니다.
  • Tailwind와 같은 C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그리드/플렉스와 내장 breakpoint를 사용하도록 언급하세요.
  • 유동적인 크기 조정을 방해할 수 있는 고정 너비나 기타 요소를 피하도록 AI에게 지시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 프롬프트 - 모바일 반응성:

Our app needs to be **fully responsive** across mobile, tablet, and desktop.

- Follow a **mobile-first** strategy: prioritize the layout for small screens, then adjust for larger screens.
- Use modern UI/UX best practices for responsive design. (For Tailwind CSS, use the standard breakpoints `sm, md, lg, xl` – no custom breakpoints unless necessary.)
- Ensure every page (especially the dashboard and project detail pages) reflows properly on a small screen: elements should stack or resize as needed, text should remain readable, and no content should overflow off-screen.
- **Do not change the core design or functionality**, just make sure it flexibly adapts to different screen sizes.

After making changes, please double-check the layout at iPhone 12 dimensions and a typical desktop width.

한국어 번역:

우리 앱은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톱에서 **완전히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 **모바일 우선** 전략을 따르세요: 작은 화면을 위한 레이아웃을 우선시하고, 그 다음 큰 화면에 맞게 조정하세요.
- 반응형 디자인을 위한 현대적인 UI/UX 모범 사례를 사용하세요. (Tailwind CSS의 경우, 표준 breakpoint `sm, md, lg, xl`을 사용하세요 – 필요하지 않다면 커스텀 breakpoint는 사용하지 마세요.)
- 모든 페이지(특히 대시보드와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가 작은 화면에서 적절히 재배치되도록 하세요: 필요에 따라 요소들이 쌓이거나 크기가 조정되어야 하고, 텍스트는 읽기 가능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콘텐츠가 화면 밖으로 넘치지 않아야 합니다.
- **핵심 디자인이나 기능을 변경하지 마세요**, 단지 다양한 화면 크기에 유연하게 적응하도록 하세요.

변경 후, iPhone 12 크기와 일반적인 데스크톱 너비에서 레이아웃을 다시 확인해주세요.

📝 요청 분석

  • 목적: 앱의 모든 화면을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톱에서 문제없이 동작하게 반응형으로 개선
  • 조건:
    • 기존의 UI 디자인/기능은 절대 변경하지 않음
    • 단지 다양한 화면 크기에서 깨지지 않고 재배치/재조정되도록 보장
  • 요청:
    1. 모바일 우선 전략 적용: 작은 화면 최적화 → 큰 화면 확장
    2. 표준 breakpoint 사용: Tailwind 내장 sm, md, lg, xl
    3. 가독성/접근성 보장: 텍스트 크기, 버튼 크기 유지
    4. 플렉스/그리드 활용: 레이아웃 자동 재배치
    5. 유연한 레이아웃: 고정 width 회피, overflow 방지

다양한 창 사이즈에도 제대로 구현이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PC, 아래: Mobile)


리팩토링

언제 사용하나요?

  • 리팩토링은 개발 중 주기적으로, 특히 AI나 개발자가 많은 코드를 추가해서 상황이 복잡하거나 느려지고 있을 때 사용합니다.
  • 리팩토링은 기능은 변경하지 않고 코드를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바로, 구조, 가독성, 성능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사용 방법

  • 작업의 범위를 식별하세요: 단일 파일인지, 특정 기능인지, 전체 코드베이스인지?
  • 단일 파일이나 컴포넌트의 경우, "명확성과 효율성을 위해 이 파일을 리팩토링하되, 기능이나 출력을 변경하지 마세요"와 같이 프롬프트할 수 있습니다.
  • 리팩토링 후에도 모든 것이 동일하게 동작해야 함을 강조하세요.

예시 프롬프트 - 안전한 파일 리팩토링:

Refactor the **ProjectList component file**, but **keep its behavior and UI exactly the same**. 

Goals:
- Improve the code structure and readability (simplify complex functions, break into smaller ones if needed).
- Remove any unused variables or imports.
- Ensure the file follows best practices and is well-documented.

Do **not** introduce any new features or change how the component works for the user – this is purely a code cleanup for maintainability. If any part of the code is unclear, add a brief comment for clarification.

한국어 번역:

**ProjectList 컴포넌트 파일**을 리팩토링하되, **동작과 UI를 정확히 동일하게 유지**하세요.

목표:
- 코드 구조와 가독성 개선 (복잡한 함수 단순화, 필요시 더 작은 함수로 분할).
- 사용하지 않는 변수나 import 제거.
- 파일이 모범 사례를 따르고 잘 문서화되도록 보장.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거나 사용자에게 컴포넌트가 작동하는 방식을 변경하지 **마세요** – 이는 유지보수성을 위한 순수한 코드 정리입니다. 코드의 어떤 부분이 불분명하다면, 명확성을 위한 간단한 주석을 추가하세요.

📝 요청 분석

  • 목적: ProjectList 컴포넌트 파일의 리팩토링
  • 조건:
    • UI나 동작(behavior)은 절대 바꾸지 않음
    • 사용자 입장에서는 결과물이 똑같아야 함
  • 요청:
    1. 코드 구조 개선: 복잡한 함수 단순화, 필요한 경우 작은 함수로 분리
    2. 불필요한 코드 제거: 사용하지 않는 변수나 import 삭제
    3. 베스트 프랙티스 적용: React 컴포넌트 작성 관례, 일관된 스타일 유지
    4. 가독성 향상: 코드 흐름을 더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리팩토링
    5. 주석 추가: 모호한 부분이 있으면 간단한 설명 주석 보강

위와 같은 방식으로 기존 코드의 리팩토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범위 제한 / 파일 잠금

언제 사용하나요?

  • 때로는 AI가 프로젝트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고 다른 모든 것은 그대로 두기를 원할 때가 있습니다.
  • 특정 파일이나 영역을 "잠가서" AI가 다른 작업을 하는 동안 수정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 수동으로 작성한 코드가 있거나 AI가 다른 작업을 하는 동안 변경되지 않기를 원하는 안정적인 컴포넌트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사용 방법

  • 프롬프트에서 AI가 특정 파일이나 컴포넌트를 변경하지 않도록 명시적으로 지시합니다.
  • "인증 파일을 편집하지 마세요" 또는 "HomePage 컴포넌트를 변경하지 마세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또한 AI가 변경 사항을 집중해야 할 곳을 명확히 하세요.

예시 프롬프트 - 변경 범위 제한:

Please **focus only on the Dashboard page** for this change. 

- Do **not modify** the `LoginPage.tsx` or `AuthProvider.tsx` files at all (authentication is working well, and we want to keep it intact).
- Concentrate your code edits on `Dashboard.tsx` and related dashboard components **only**.

Task: Add a new section to the Dashboard that shows "Tasks due this week". Make sure to fetch the relevant tasks from the database. 

*(Again, no changes to login or auth files – those are off-limits.)*

한국어 번역:

이 변경사항에 대해서는 **대시보드 페이지에만 집중**해주세요.

- `LoginPage.tsx` 또는 `AuthProvider.tsx` 파일을 전혀 **수정하지 마세요** (인증이 잘 작동하고 있어서 그대로 유지하고 싶습니다).
- `Dashboard.tsx`와 관련된 대시보드 컴포넌트에**만** 코드 편집을 집중하세요.

작업: 대시보드에 "이번 주 마감 작업"을 보여주는 새로운 섹션을 추가하세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작업을 가져오도록 하세요.

*(다시 말하지만, 로그인이나 인증 파일은 변경하지 마세요 – 그것들은 금지구역입니다.)*

계획 수립

언제 사용하나요?

  • 복잡하거나 다단계 구현에 뛰어들기 전에, 또는 하위 작업으로 나눌 수 있는 큰 기능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 계획 프롬프트는 코드 작성 전에 AI가 접근법을 개요화하도록 하여, 잘못된 경로로 코드 생성 크레딧을 소모하지 않고 계획을 확인(그리고 조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사용 방법

  • AI에게 계획이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합니다.
  • "X를 위한 단계별 계획을 개요화하세요" 또는 "코딩하기 전에, Y를 구현하기 위해 취할 단계들을 나열하세요"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계획을 받은 후, 이를 논의하고(AI에게 각 단계가 왜 필요한지 설명하게 할 수도 있음) 단계별로 구현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시 프롬프트 - 기능 구현 계획:

Before writing any code, **plan 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Notifications feature.

- List each step required to add email notifications when a task is overdue.
- Consider both frontend (UI changes, if any) and backend (creating scheduled checks or triggers) aspects.
- Ensure the plan keeps the current functionality stable – we can't break anything existing.
- Provide the plan as an ordered list (1, 2, 3, ...), with a brief explanation of each step.

Once you outline the plan, pause for review. **Do not make any code changes yet.**

한국어 번역: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새로운 알림 기능의 **구현을 계획**하세요.

- 작업이 지연될 때 이메일 알림을 추가하는 데 필요한 각 단계를 나열하세요.
- 프론트엔드(UI 변경사항이 있다면)와 백엔드(예약된 확인이나 트리거 생성) 측면을 모두 고려하세요.
- 계획이 현재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세요 – 기존의 것을 깨뜨릴 수 없습니다.
- 각 단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순서가 있는 목록(1, 2, 3, ...)으로 계획을 제공하세요.

계획을 개요화한 후, 검토를 위해 잠시 멈추세요. **아직 코드 변경사항을 만들지 마세요.**

📝 요청 분석

  • 목적: 큰 기능이나 다단계 구현을 코드 작성 전 계획으로 구조화
  • 조건:
    • 코드 작성은 하지 않고 계획만 수립
    • 현재 기능 안정성을 해치지 않음
    • 단계별 설명 포함
  • 요청:
    1. 단계별 구현 계획을 순서 있는 리스트로 작성
    2. 각 단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 포함
    3. 프론트엔드/백엔드 관점 모두 고려
    4. 계획만 작성하고 실제 코드 생성은 보류

Stripe 설정

언제 사용하나요?

  • Stripe를 사용하여 앱에 결제 기능을 통합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Lovable은 Stripe와의 통합 지점을 가지고 있지만, 키, 웹훅, 체크아웃 UI 설정이 필요합니다.
  • 프롬프트는 Stripe API 연결의 보일러플레이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https://stripe.com/

💸 (참고) Stripe란?

  • Stripe는 기업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에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온라인 결제 인프라 플랫폼입니다.
  • 개발자가 웹사이트나 앱에 Stripe의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결제 과정을 간소화하고 전 세계 어디서든 결제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용 방법

  • Stripe가 필요로 하는 세부사항을 제공하세요:
    • 모드(테스트 또는 라이브), 제품 또는 가격 정보, 결제 후 리디렉션 URL.
  • 또한 UI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지시하세요(예: 체크아웃 폼/모달).
  • 민감한 키는 안전하게 제공될 것이라고 언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프롬프트에 하드코딩되지 않음) - 일반적으로 환경 변수나 Lovable의 비밀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Stripe 결제 통합:

I want to **add Stripe payments** to the app.

- Use **Stripe in test mode** for now.
- We have a product in Stripe with ID `prod_12345` and a price ID `price_67890` (one-time purchase).
- Implement a checkout button on the **Pricing page** that starts a Stripe checkout for that product.
- After successful payment, redirect the user to `/payment-success`. If the payment is canceled, redirect to `/payment-cancelled`.

Important:
- Assume API keys and webhook secrets are configured securely (do **not** hard-code them).
- Do **not** modify any other pages or features unrelated to payments.

Once done, provide any webhook endpoint setup instructions I need 
(e.g., URL to add in Stripe dashboard for post-payment events).

한국어 번역:

앱에 **Stripe 결제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 지금은 **테스트 모드에서 Stripe**를 사용하세요.
- Stripe에 ID가 `prod_12345`인 제품과 가격 ID `price_67890`(일회성 구매)이 있습니다.
- **가격 페이지**에 해당 제품에 대한 Stripe 체크아웃을 시작하는 체크아웃 버튼을 구현하세요.
- 결제 성공 후, 사용자를 `/payment-success`로 리디렉션하세요. 결제가 취소된 경우, `/payment-cancelled`로 리디렉션하세요.

중요사항:
- API 키와 웹훅 시크릿이 안전하게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세요 (하드코딩하지 **마세요**).
- 결제와 관련 없는 다른 페이지나 기능을 **수정하지 마세요**.

완료되면, 필요한 웹훅 엔드포인트 설정 지침을 제공하세요 
(예: 결제 후 이벤트를 위해 Stripe 대시보드에 추가할 URL).

📝 요청 분석

  • 목적: Stripe API를 앱에 안전하게 통합하여 결제 기능 추가
  • 조건:
    • Stripe API 키/웹훅 시크릿은 하드코딩 금지 (환경 변수 활용 가정)
    • 테스트 모드 우선 사용
    • 결제 성공/취소 후 리디렉션 경로 지정
    • 결제와 무관한 기능은 수정하지 않음
  • 요청:
    1. Stripe Checkout 버튼 구현 (특정 product/price ID 사용)
    2. 결제 성공 시 /payment-success로 이동
    3. 취소 시 /payment-cancelled로 이동
    4. Stripe 대시보드에 등록해야 할 웹훅 엔드포인트 지침 제공

🔑 API KEY는 그럼 어떻게 처리하는가!

Stripe와 같은 결제 시스템의 API 키는 직접 코드에 하드코딩하면 안 되고, 반드시 환경 변수 또는 Lovable의 비밀 저장소(Secrets)에 넣어야 합니다.

1. 키의 종류

  • Publishable key (pk_...) → 프론트엔드에서 사용 (Stripe.js 초기화)
  • Secret key (sk_...) → 서버/Edge Function에서만 사용 (세션 생성, 구독 관리)
  • Webhook signing secret (whsec_...) → Stripe 웹훅 이벤트 검증 시 사용

2. 저장 방법

  • 개발 환경: .env 파일 (예: .env.local)
  • 배포 환경: Lovable/Supabase Secrets 또는 서버의 환경 변수 관리 기능
STRIPE_SECRET_KEY=sk_test_***
STRIPE_PUBLISHABLE_KEY=pk_test_***
STRIPE_WEBHOOK_SECRET=whsec_***

3. 사용 흐름

  1. 프론트엔드에서 결제 요청 버튼 클릭
  2. 서버(API 라우트 또는 Supabase Edge Function)가 Secret key로 Checkout 세션 생성
  3. 클라이언트는 반환된 session.url로 Stripe 결제 페이지 리다이렉트
  4. Stripe가 결제 완료 후 Webhook을 통해 서버에 알림 → 서버가 DB 업데이트, 구독 상태 활성화

4. 왜 이렇게 하나?

  • 비밀 키가 프론트 코드에 노출되지 않음 → 유저가 확인할 수 없음
  • Stripe의 결제 UI에서 카드 정보를 처리하므로, 서버가 직접 민감 데이터(PAN 번호)를 다루지 않음
  • 웹훅 기반으로 신뢰 가능한 이벤트 처리 가능 → 구독형 서비스 관리 안정화

👉 이렇게 하면 Stripe를 Lovable/웹앱 환경에 안전하게 붙일 수 있고, 구독형 시스템까지 확장 가능합니다.


Supabase 및 백엔드

  • Supabase를 사용한 백엔드 작업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Row Level Security 정책 구현, Edge Function 생성 등이 포함됩니다.
  • 이러한 작업들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https://supabase.com/

예시 프롬프트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Design a database schema for [describe your application] with these entity relationships: 
[describe relationships].

Include foreign key constraints, indexes for performance, and proper data types with considerations for scalability.

한국어 번역:

다음 엔티티 관계를 가진 [애플리케이션 설명]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세요: 
[관계 설명]. 

성능을 위한 인덱스, 외래 키 제약조건, 확장성을 고려한 적절한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세요.

📝 요청 분석

  • 목적: Supabase 기반으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백엔드 구현
  • 조건: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관계형 설계 원칙 준수
    • 성능을 위한 인덱스 포함
    • 외래 키 제약조건 반영
    • 데이터 타입은 확장성 고려
    • 보안 강화를 위해 RLS(Row Level Security) 등도 향후 고려 가능
  • 요청:
    1. 엔티티/관계 기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2. 성능(인덱스), 무결성(외래키), 확장성(데이터 타입) 고려
    3. 애플리케이션 설명과 관계를 기반으로 ERD 수준 설계 제공

추가 프롬프트

컴포넌트 비주얼 개선

[프롬프트]

Enhance the visual appeal of this component: 
[paste component]. 

Add animations, improve spacing, create a polished look while maintaining accessibility standards and responsive behavior.

[분석]

  • 목적: UI 가독성·일관성 향상 및 마이크로 인터랙션 추가
  • 범위: 스타일 레이어(레이아웃/타이포/간격/애니메이션)만 변경, 로직 불변
  • 산출물: 수정된 컴포넌트 코드, 접근성 점검 목록(ARIA, 콘트라스트), 반응형 규칙
  • 체크리스트: spacing scale 적용, focus/hover 상태 정의, prefers-reduced-motion 대응, 키보드 탭 순서 보장, Tailwind/utility class 정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프롬프트]

Design a database schema for [describe your application] with these entity relationships: 
[describe relationships]. 

Include foreign key constraints, indexes for performance, and proper data types with considerations for scalability.

[분석]

  • 목적: 관계·무결성·성능을 고려한 스키마 초안 확정
  • 범위: 엔터티/릴레이션, FK/UK, 인덱스, enum/domain/type 선정
  • 산출물: DDL 스크립트, ERD, 인덱스 전략(복합/부분/GIN), 파티셔닝 고려 사항
  • 체크리스트: 정규화 수준(3NF±), soft-delete/감사 컬럼, 시계열 파티션, UUID vs BIGINT, 다국어/통화 컬럼, RLS 전제 시 테넌트 키 포함

데이터 페치 서비스 구현

[프롬프트]

Create a service to fetch data from [API name] and implement caching, error retry logic, and request throttling. 

Set up proper TypeScript interfaces for the response data and handle API versioning gracefully.

[분석]

  • 목적: 안정적·예측 가능한 API 클라이언트 계층 구현
  • 범위: fetch/axios 래퍼, 캐시(LRU/TTL), 재시도(backoff/jitter), 스로틀(토큰버킷)
  • 산출물: TS 서비스 모듈, DTO/타입 정의, 버전 추상화 레이어(v1/v2), 에러 매핑
  • 체크리스트: idempotency, 429/5xx 처리, ETag/If-None-Match, AbortController, 테스트용 mock 어댑터

행 수준 보안 정책 설정

[프롬프트]

Create Row Level Security policies for a multi-tenant application with these tables: 
[list tables]. 

Implement proper user isolation, role-based access, and handle hierarchical data access with considerations for performance.

[분석]

  • 목적: 테넌트 기반 격리 + 역할별 접근 제어
  • 범위: ENABLE RLS, POLICY 정의(SELECT/INSERT/UPDATE/DELETE), 하위 리소스 계층 접근(조직→프로젝트→리소스)
  • 산출물: SQL 정책 스크립트, 역할 매핑 테이블, 인덱스(tenant_id, role 조합)
  • 체크리스트: auth.uid() 매핑, 조인 기반 정책 성능(부분 인덱스/Materialized View 고려), 복합 키(tenant_id+id)

Supabase Edge Function 개발

[프롬프트]

Create a Supabase Edge Function to handle [describe functionality] with proper error handling, input validation, and security checks. 

Include rate limiting and proper environment variable usage.

[분석]

  • 목적: 경량 서버리스 엔드포인트로 비즈니스 로직 캡슐화
  • 범위: 입력 검증(Zod/valibot), 인증/권한, 레이트 리미팅(슬라이딩 윈도/토큰 버킷)
  • 산출물: Edge Function 코드, 환경 변수 스키마, 관측(로그/트레이스)
  • 체크리스트: 서명 토큰 검증, CORS, 타임아웃/재시도, 비밀값은 Deno.env/Vault, PII 로그 마스킹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프롬프트]

Implement real-time data synchronization for [describe feature] using Supabase subscriptions. 

Handle connection management, graceful degradation when offline, and conflict resolution.

[분석]

  • 목적: 변경 스트림 기반 실시간 UI 반영
  • 범위: Realtime 채널 구독, 네트워크 상태 감지, 오프라인 큐/재동기화
  • 산출물: 구독 핸들러, optimistic update/rollback 로직, 충돌 해결 정책(last-write-wins/CRDT 대안)
  • 체크리스트: 배압 처리, 구독 스코프(tenant/channel), 재연결 백오프, 스냅샷+증분 동기

고급 검색 기능 구현

[프롬프트]

Implement a robust search feature for [describe content type] with filtering, sorting, and highlighting of matched terms. Include typeahead suggestions, recent searches, and proper handling of no-results scenarios.

[분석]

  • 목적: 고성능·사용성 중심 검색 UX 제공
  • 범위: 쿼리 파서, 서버/클라이언트 필터, 정렬 키 인덱스, 하이라이트(워드 경계)
  • 산출물: 검색 API, 제안(Typeahead) 엔드포인트, 최근 검색 저장/삭제, 빈 결과 UX
  • 체크리스트: 부분 일치 vs prefix 인덱스, Trigram/GIN, stopword/스테밍, XSS-safe 하이라이트, 성능 가드레일(limit/timeout)

데이터 테이블 그리드 구현

[프롬프트]

Create a data table/grid for [describe data] with sorting, filtering, pagination, column resizing, and row selection. 

Include features for exporting data and customizing visible columns.

[분석]

  • 목적: 대용량 데이터 탐색·조작 UI 표준화
  • 범위: 서버/클라 페이징, 정렬/필터 상태, 컬럼 가시성/폭 제어, 선택 상태 관리
  • 산출물: 재사용 가능한 Table 컴포넌트, CSV/Excel 내보내기, 상태 영속(LocalStorage/URL)
  • 체크리스트: 가상 스크롤, 접근성 그리드 롤, Sticky 헤더, 열 정의 타입 안전성, export 시 권한 필터

데이터 임포트/익스포트 시스템

[프롬프트]

Build a system for importing and exporting [describe data] in various formats (CSV, JSON, etc.). 

Include validation, progress indicators, error handling, and the ability to map fields during import.

[분석]

  • 목적: 대량 데이터 온보딩/백업 파이프라인
  • 범위: 스키마 검증, 미리보기, 필드 매핑, 부분 실패 리포트, 트랜잭션/배치
  • 산출물: 업로드 파서, 매핑 UI, 에러 CSV, 진행률 표시(Chunked)
  • 체크리스트: 인코딩/구분자 처리, 대용량 스트리밍, 중복 키 정책, 롤백/부분 커밋 전략, 감사 로그

대시보드 차트 구현

[프롬프트]

Create a set of interactive charts for [describe data/metrics] using Recharts. 

Include different visualization types (bar, line, pie), time period selection, drill-down capabilities, and responsive behavior.

[분석]

  • 목적: KPI 가시화 + 탐색형 인터랙션 제공
  • 범위: 시계열/범주형 차트, 기간 선택, 드릴다운(계층/디테일), 반응형 레이아웃
  • 산출물: 차트 컴포넌트 세트, 툴팁/줌/브러시, 데이터 어댑터
  • 체크리스트: 빈 데이터 처리, 축 포맷(로케일/단위), 접근성 대체 텍스트, 성능(메모이제이션/샘플링)

오프라인 동기화 전략

[프롬프트]

Implement a strategy for synchronizing offline data changes with a backend when connectivity is restored. 

Handle conflict resolution, optimistic UI updates, and provide visual indicators for sync status.

[분석]

  • 목적: PWA/불안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일관성 확보
  • 범위: IndexedDB/kv 저장, changeset 큐, 재동기화 스케줄러, 충돌 정책
  • 산출물: 오프라인 큐 엔진, 상태 배지(queued/syncing/failed), 재시도/백오프
  • 체크리스트: 멱등 키, 시퀀스 넘버/버전 필드, 서버 타임스탬프 우선, 배치 업로드

멀티스텝 폼 위자드

[프롬프트]

Create a multi-step form wizard for collecting [describe data] with validation, progress tracking, the ability to save drafts, and a summary review before submission. 

Handle conditional form fields based on previous answers.

[분석]

  • 목적: 복잡 입력의 이탈 감소 및 데이터 품질 제고
  • 범위: 단계 라우팅, 조건부 필드, 실시간/최종 검증, 임시 저장(draft)
  • 산출물: Wizard 컴포넌트, 검증 스키마, 요약/확인 단계, 재개(resume) 기능
  • 체크리스트: 접근성(Form role/label), 오토세이브, 서버 검증 에러 매핑, 진행률 보정(조건부 단계)

워크플로우 관리

효과적인 워크플로우 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성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Git 연동, 테스팅 전략, 배포 파이프라인 등을 포함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 GitHub 연동 및 워크플로우:

Connect this Lovable project to GitHub and set up a good workflow for contributions. 

Include branch protection rules, PR templates, and CI/CD workflow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preview deployments.

한국어 번역:

이 Lovable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하고 기여를 위한 좋은 워크플로우를 설정하세요.

브랜치 보호 규칙, PR 템플릿, 자동 미리보기 배포가 포함된 CI/CD 워크플로우 구성을 포함하세요.

📝 요청 분석

  • 목적: GitHub과 연동된 협업/배포 워크플로우 체계화
  • 조건:
    • 협업 프로세스 정립: 브랜치 전략, PR 템플릿, 리뷰 프로세스
    • 자동화된 CI/CD 구성
    • PR 시 자동 미리보기 배포 포함
    • 브랜치 보호 규칙 설정
  • 요청:
    1. GitHub 연결 및 리포지토리 관리 설정
    2. 브랜치 보호 규칙 정의
    3. PR 템플릿 제공
    4. CI/CD 파이프라인 구성 → 자동 테스트/배포
    5. PR마다 Preview 환경 자동 배포

추가 프롬프트

컴포넌트 리팩터링

[프롬프트]

Refactor this large component into smaller, more manageable components: 
[paste component]. 

Extract reusable parts, implement proper prop passing, maintain state management, and ensure the refactoring doesn't break existing functionality.

[분석]

  • 목적: 복잡도 감소·재사용성 향상·테스트 용이성 확보
  • 범위: UI/비즈 로직 분리, 하위 컴포넌트 추출, props/컨텍스트 정리, 효과/메모·성능 최적화
  • 산출물: 분리된 컴포넌트 트리, 스토리북/테스트, 변경 영향도 체크리스트
  • 체크리스트: 동등 렌더 보장(Snapshot/Playwright), 상태 상향/하향 전략, 이벤트 버블링 유지, CSS scope 안전

테스트 전략 수립

[프롬프트]

Suggest a testing strategy for [component/feature] including what to test and how. 

Include unit tests for business logic, integration tests for data flow, and UI tests for critical user flows with best practices for mocking dependencies.

[분석]

  • 목적: 리스크 기반 커버리지 확보와 회귀 방지
  • 범위: 단위(순수 로직), 통합(API/스토어), E2E(핵심 플로우), 목킹/픽스처 표준
  • 산출물: 테스트 피라미드, 샘플 테스트, 커버리지 목표, CI 연동
  • 체크리스트: 시나리오 명세서→테스트 케이스 추적성, flaky 방지, 테스트 데이터 격리, 성능/접근성 smoke

비동기 함수 에러 처리 강화

[프롬프트]

Implement comprehensive error handling for this async function: 
[paste function]. 

Include retry logic, fallback mechanisms, proper error reporting, user-friendly error messages, and logging for debugging purposes.

[분석]

  • 목적: 장애 내성·관측 가능성 강화
  • 범위: 재시도(backoff/jitter), 폴백(캐시/대체 경로), 사용자 메시지/토스트, 구조화 로깅
  • 산출물: 강화된 함수, 에러 카탈로그(분류/코드), 로거/트레이서 훅, 알림 연동
  • 체크리스트: 타임아웃/취소, 동등 에러 합치기, PII 비노출, SLO/알람 기준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프롬프트]

Set up a deployment pipeline for this application that includes staging and production environments, automatic database migrations, environment-specific configurations, and rollback capabilities.

[분석]

  • 목적: 예측 가능한 배포와 신속한 롤백
  • 범위: 환경 분리(.env/secret), 마이그레이션 자동 적용/검증, 헬스체크/카나리
  • 산출물: CI/CD 정의, 마이그레이션 스텝, 롤백 스크립트/스냅샷, 배포 체크리스트
  • 체크리스트: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안전망(락/배치/리허설), feature flag, 관측(로그/메트릭/트레이스), DB 스키마 호환성(blue-green)

사용자 플로우 분석 및 최적화

[프롬프트]

Analyze and optimize this user flow: [describe flow]. 

Suggest improvements for user experience, reduce friction points, implement progressive enhancement, and ensure accessibility throughout.

[분석]

  • 목적: 전환율·완료율 개선 및 이탈 감소
  • 범위: 퍼널 분석, 마찰 지점 추출, 단계 축소/자동완성, 점진적 향상(자바스크립트 비활성 시 폴백)
  • 산출물: 개선 제안서(AS-IS/TO-BE 플로우), 와이어프레임, 실험 설계(A/B), 접근성 점검표
  • 체크리스트: 입력 최소화, 오류 복구 UX, 로딩 인디케이터/낙관적 UI, 키보드/리더 대응, 계측 이벤트 정의

Chat 모드 vs Default 모드 사용법

언제 사용하나요?

  • Lovable에는 프롬프트를 위한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 Default 모드(프로젝트에 즉시 변경사항을 적용)
    • Chat 전용 모드(당신이 지시할 때까지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대화와 같은 방식)
  • 각각을 언제 사용할지 아는 것은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직접적인 코딩 작업에는 Default를, 브레인스토밍, 디버깅, 또는 실행하기 전에 변경사항을 논의하고 싶을 때는 Chat 모드를 사용하세요.

사용 방법

  • Default 모드는 구축하거나 만들고자 하는 잘 정의된 기능이 있을 때 좋습니다.

    • 지시를 내리면 Lovable이 가능하다면 한 번에 수행합니다.
  • 반면 Chat 모드는 코드베이스를 즉시 변경하지 않고 앞뒤로 대화하거나 분석하고 싶을 때("이것이 왜 작동하지 않나요?" 또는 "X를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와 같은 질문) 유용합니다.

    • Chat 모드에서 AI는 분석이나 계획으로 응답하며, 준비가 되었을 때 보통 명시적으로 "진행해서 구현하세요"라고 말해야 합니다.

이러한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AI와 더 나은 협업을 통해 고품질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프롬프트 전략을 선택하여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세요.


지식 베이스 및 PRD 작성

언제 사용하나요?

프로젝트 시작 시와 단일 프롬프트에 담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컨텍스트를 AI에게 제공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Lovable에서 지식 베이스는 프로젝트 설정의 특별한 공간으로, 배경 정보, 요구사항, 프롬프트 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가이드라인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요구사항 문서(PRD)는 앱의 목적과 사양에 대한 포괄적인 요약으로, 본질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것의 청사진입니다.

사용 방법

프로젝트에 대한 핵심 정보로 Lovable의 지식 베이스를 채우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개요 및 목표: 프로젝트가 무엇이고 해결하는 문제
  • 사용자 플로우: 사용자가 앱을 탐색하거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 핵심 기능 및 범위: 범위 내 기능들 (그리고 기능 확장을 피하기 위해 범위 외 항목들도 언급)
  • 기술 스택: 사용할 기술, API, 서비스들
  • 디자인 가이드라인: 특정 UI/UX 지침 - 브랜딩, 색상 스키마, 레이아웃, 접근성 요구사항
  • 백엔드 세부사항: 데이터 모델, 핵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Stripe나 Supabase와 같은 통합 개요

예시 프롬프트 - 지식 베이스 활용:

User: 
Before you write any code, please review the Knowledge Base and share your understanding of my project.

AI (likely response): 
"Sure. Based on the Knowledge Base: You're building a task management app for teams. The app flow is Users sign up -> see a dashboard -> create projects and tasks. The tech stack is Next.js for frontend, Supabase for backend (authentication and database). Core features include project creation, task assignments, and a reporting dashboard. In-scope features: task CRUD, user roles, email notifications; Out-of-scope: real-time collaboration. The design should follow a clean corporate style with Tailwind CSS, and it needs to be responsive. Backend uses Supabase with row-level security for multi-tenant data separation..."

한국어 번역:

사용자: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지식 베이스를 검토하고 내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공유해주세요.

AI (예상 응답): 
"물론입니다. 지식 베이스에 따르면: 팀을 위한 작업 관리 앱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앱 플로우는 사용자 가입 -> 대시보드 보기 -> 프로젝트 및 작업 생성입니다. 기술 스택은 프론트엔드용 Next.js, 백엔드용 Supabase(인증 및 데이터베이스)입니다. 핵심 기능은 프로젝트 생성, 작업 할당, 보고 대시보드를 포함합니다. 범위 내 기능: 작업 CRUD, 사용자 역할, 이메일 알림; 범위 외: 실시간 협업. 디자인은 Tailwind CSS로 깔끔한 기업 스타일을 따라야 하며, 반응형이어야 합니다. 백엔드는 다중 테넌트 데이터 분리를 위한 행 수준 보안과 함께 Supabase를 사용합니다..."

이런 종류의 AI 요약은 사양을 올바르게 흡수했음을 확인해줍니다. 만약 무언가를 오해했다면, Chat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확인되면, (AI가 이제 전체 계획을 "알고" 있는 상태로) 구축을 진행합니다.

PRD 작성과 지식 베이스 채우기는 추가적인 사전 작업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개발 전반에 걸쳐 큰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AI가 항상 앱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류와 AI 환각을 줄입니다. 한두 개의 프롬프트로 구축할 수 없는 더 큰 프로젝트에 특히 도움이 됩니다. 이를 머릿속에 있는 것과 동일한 이해로 AI를 시드하는 것으로 생각하세요.

마지막으로, 프로젝트가 발전함에 따라 지식 베이스를 유지하세요. 주요 기능을 추가하거나 범위를 변경한다면, PRD/지식 베이스 문서를 업데이트하세요. 이렇게 하면 향후 프롬프트가 새로운 정보를 고려할 것입니다. 매번 컨텍스트를 다시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쉽습니다. 본질적으로, 지식 베이스 + PRD는 당신의 AI 프로젝트 핸드북입니다 - 구축하고 있는 것과 방법에 대해 모든 사람(당신과 AI)이 같은 페이지에 있도록 유지합니다.


결론

Lovable의 프롬프트 라이브러리는 AI 기반 개발에서 효율성과 정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입니다. 각 시나리오별로 최적화된 프롬프트 패턴을 활용하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원하는 결과를 더 빠르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시작부터 배포까지, 이러한 프롬프트 전략들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여 AI와의 협업을 통해 고품질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세요. 특히 지식 베이스와 PRD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은 단순히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AI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 가이드의 패턴들을 참고하여 여러분만의 효율적인 개발 워크플로우를 구축해보세요.

profile
Always be passionat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