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에 익숙해지기 위해 TIL에 간략하게 기록할 생각이다.
= 자바 가상 머신
바이트 코드 = 운영체제가 읽기 가능한 코드로 자바 컴파일러가 변환한 코드
인터플리터 = 코드 해석기
JIT 컴파일러 = 빠른 코드 해석기
메모리 영역 = 저장 공간
클래스 로더 = 운반기 (바이트 코드 > 메모리 영역)
가비지 컬렉터 = 쓰레기 청소기
JDK = 자바 개발 키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main 메서드
2. 자바 프로젝트는 먼저 클래스의 메인 메서드 실행 (JVM 약속)
3. void = 메서드 출력값의 데이터 타입 (아무것도 없다 > 출럭은 없다) / output
4. String[] args = 매개변수 자리 / input
5. args = 변수명 (아무거나 O)
System.out.println();
1. 객체 = 특징(속성 변수 / out) 행동(메소드 / println())
TIL, WIL 작성 시 고민의 흔적을 글로 남기기 !
에러 > 접근 > 해결 실마리 > 해결
'알고 있습니다!' > '해보았습니다!'
겸손함 갖기 (팀원들의 소중함 알기)
질문 시 문제 상황에 대해 세부적으로 질문하기 !
평소에 TIL, WIL을 작성할 때 특강에서 소개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작성하곤 했는데,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적용해서 TIL, WIL을 작성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