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 Content Types 에서 Text 인코딩 설정 !

→ 만들 때 public 체크하면 class 만들어줌 !

→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하지 않거나 초기화하지 않은 경우에 왼쪽에 노란 경고 표시가 뜬다
// 정수형 변수 선언
byte bnum;
short snum;
int inum;
long lnum;
// 실수형 변수 선언
float fnum;
double dnum;
// 논리형 변수 선언
boolean isTrue;
// 문자형 변수 선언
char ch;
// 문자열 변수 선언
String str;

int number;
// String number; // 자료형이 달라도 변수명이 같으면 에러 발생
int NUMBER;
int Number;
// int 1age; → 불가능
int a1g2e3;
int _age;
int ag_e_;
int $age;
int a$ge$;
// int %age; → 불가능
// int age*; → 불가능
// int double;
// int class;
// int public;
// int void;
→ 다 불가능
byte bNum = 10;
short sNum = 12;
int iNum = sNum; // short -> int 자동 형 변환
long lNum = iNum; // int -> long 자동 형 변환
// float 타입이 long 타입보다 표현 가능한 수의 범위가 더 크기 때문에
// 자동 형 변환 가능
float fNum = lNum;
double dNum = fNum;
⛧ 더 큰 범위로 변환됨(값의 범위가 작은 자료형 → 값의 범위가 큰 자료형)
double dNum = 4.234567893456789;
float fNum = (float)dNum;
int iNum = fNum;
System.out.println("dNum : " + dNum);
System.out.println("fNum : " + fNum);
System.out.println("iNum : " + iNum);
System.out.println((byte)290);
System.out.println();
// int sum = (int)(iNum + dNum);
int sum = iNum + (int)dNum;
System.out.printf("sum : ", sum);
→ 값의 표현 범위가 큰 자료형 → 작은 자료형 강제 변환 !
System.out.print("안녕하세요.");
System.out.print(12345);
System.out.print(false);
System.out.println();
System.err.print("에러입니다.");

→ 에러 메시지는 빨간색으로 출력 !
System.out.printf("%f\t%f", 3.14, 4.12345);
→ 소수점 6자리로 나타내는데 부족한 경우 0으로 채우고 더 길 경우 반올림해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