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온디멘드 인스턴스(On-Demand Instances)

도은호·2025년 10월 6일
0

AWS SAA

목록 보기
5/46

약정/선결제 없이, 쓴 만큼(시간/초 단위) 지불하는 EC2 인스턴스 과금 방식. 예측이 어렵거나 짧게 쓰는 워크로드에 가장 단순


1) 핵심 포인트

  • 무약정·무선결제: 1년/3년 약정 없음, 선결제 없음
  • 사용량 기반 과금: 실행된 시간(일반적으로 초 단위, 최소 60초)에 대해 요금 부과
  • 간단한 운영: 예약/입찰/클러스터 운영 필요 없음 (기본값이 곧 온디멘드)
  • 유연성 최고: 시작/중지/종료 자유, Auto Scaling과 조합 쉬움
  • 단점: 단가가 가장 비쌈 (RI·Savings Plans·Spot보다)

참고: 인스턴스 중지/종료 시 컴퓨팅 요금은 멈추지만, 붙어 있는 EBS 볼륨·Elastic IP·스냅샷 등은 과금이 계속됨


2) 언제 쓰면 좋은가?

  • 트래픽/수요가 예측 불가하거나 짧게 쓰고 끝내는 작업
  • 개발/테스트, PoC, 버스트 처리
  • 장기 약정이 어려운 초기 단계 서비스
  • 즉시 용량 확보가 필요하지만(=지금 당장 띄워야 함) 예약/약정은 하기 싫을 때

3) 다른 구매 옵션과 비교

항목온디멘드RI(Reserved Instances) / Savings PlansSpot
약정없음1년/3년 약정없음
단가높음낮음(장기 약정 대가)매우 낮음
중단 가능성낮음(정상 운영)낮음중단 가능(2분 알림)
유연성높음중간(약정 제약)중간(중단 내성 필요)
운영 난이도낮음중간(약정/관리)중간(중단 설계 필요)

시험 포인트: 비용 최적화가 최우선이고 안정적 24x7 부하라면 → Savings Plans/RI.
초저가가 필요하지만 중단 내성이 있으면 → Spot.
단순/즉시/유연이 최우선이면 → On-Demand.


4) 테넌시·배치와의 관계(헷갈림 주의)

  • 온디멘드/RI/Spot구매 옵션(과금/계약)
  • Default/Dedicated Instances/Dedicated Hosts테넌시(격리 모델)
  • 서로 직교(독립) 개념입니다. 예: “On-Demand + Default 테넌시”, “On-Demand + Dedicated Host” 모두 가능(지원 타입/용량 제약 내).

5) 실무 팁

  • Auto Scaling 그룹의 기본 인스턴스는 온디멘드입니다. 비용을 줄이려면 온디멘드(베이스) + 스팟(버스트) 믹스 전략을 고려하세요.
  • 예측 가능한 코어 워크로드는 Savings Plans/RI로 깎고, 나머지 가변 부하는 온디멘드/스팟로 보완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 중지/재시작이 잦다면 EBS 요금, 탄력 IP 유휴 과금 등 주변 리소스 비용도 함께 체크!

6) CLI 예시

# 온디멘드는 별도 옵션이 필요 없습니다(기본).
aws ec2 run-instances \
  --image-id ami-xxxxxxxx \
  --instance-type t3.medium \
  --key-name mykey \
  --subnet-id subnet-xxxxxxxx \
  --security-group-ids sg-xxxxxxxx

# Spot은 '인스턴스 마켓 옵션'을 명시해야 합니다(온디멘드와의 차이점).
# --instance-market-options 'MarketType=spot' ...

7)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함정

  • 가장 단순하고 관리가 적은 방법?” → 대개 On-Demand
  • 장기적으로 비용 최적화”가 핵심? → Savings Plans/RI 쪽이 정답일 가능성 ↑
  • 초저가 + 중단 허용”이면 → Spot
  • 테넌시와 헷갈리면 감점” → 구매 옵션과 격리 모델은 별개!

결론

온디멘드는 운영이 가장 쉬운 기본 선택지. 다만 지속적으로 24x7 가동한다면 Savings Plans/RI로 비용을 낮추고, 버스트/비핵심 부하Spot로 혼합하는 게 베스트 프랙티스

profile
`•.¸¸.•´´¯`••._.• 🎀 𝒸𝓇𝒶𝓏𝓎 𝓅𝓈𝓎𝒸𝒽💞𝓅𝒶𝓉𝒽 🎀 •._.••`¯´´•.¸¸.•`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