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Instance Store

도은호·2025년 10월 7일
0

AWS SAA

목록 보기
12/46

Instance Store는 EC2 물리 호스트에 직접 붙은 로컬(에페멀) 스토리지. 초저지연·초고성능이 장점이지만, 인스턴스 수명과 함께 사라지는 임시 저장소라는 점이 핵심


1) 특징 요약 (TL;DR)

  • 초고성능 로컬 NVMe/HDD: 매우 낮은 지연, 높은 IOPS/처리량
  • 에페멀(Ephemeral): 인스턴스 중지/종료/호스트 장애 시 데이터 유실(재부팅은 보통 유지)
  • 비용: 인스턴스 요금에 포함(EBS처럼 별도 GB-월 과금 없음)
  • 부착/이동 불가: 특정 인스턴스에 고정, 다른 인스턴스로 이동 불가
  • 가용성 영역 범위: 물리 호스트 로컬 → AZ 간 복제/스냅샷 기능 없음(직접 복사 필요)

2) 언제 쓰나? (대표 유즈케이스)

  • 캐시/버퍼/스크래치: Nginx 캐시, 임시 파일, 빅데이터 shuffle
  • 분산 시스템의 로그/데이터: Kafka, Elasticsearch, Spark/Hadoop(노드 상실을 레플리케이션으로 견디는 구조)
  • 고성능 임시 DB/큐: 장애 시 재구축이 가능한 워크로드

지속성·복구가 중요하면 EBS(gp3/io2) 또는 EFS/FSx를 고려하세요.


3) EBS와 뭐가 다른가?

항목Instance StoreEBS
위치인스턴스 로컬(호스트 디스크)네트워크 연결 블록 스토리지
지속성중지/종료/호스트 장애 시 유실, 재부팅은 보통 유지지속(DeleteOnTermination 해제 시)
스냅샷없음(직접 S3/EBS로 복사)스냅샷(증분) 지원
성능/지연매우 낮은 지연, 높은 IOPS/MB/s인스턴스/네트워크 한도 내 우수
비용인스턴스 요금에 포함GB-월 + IOPS/처리량 옵션 과금
이동성불가동일 AZ 내 Attach/Detach 가능

4) 지원 인스턴스 타입

  • 이름에 d(disk) 접미사가 붙는 계열: c5d/c6id/c7gd, m5d/m6id/m7gd, r5d/r6id/r7gd
  • I/O 특화: i3/i4i/im4gn/is4gen, 대용량 HDD d3/d3en

모든 타입에 있는 게 아님. 선택한 타입이 Instance Store를 제공하는지 스펙을 확인


5) 수명/동작 규칙

  • 재부팅(reboot): 대부분 데이터 유지
  • 중지(stop)·종료(terminate)·호스트 장애: 데이터 유실
  • 루트 디스크가 Instance Store인 AMI(레거시) → 정지 불가, 종료만 가능
  • 루트 EBS + 추가 Instance Store 구성은 흔함(정지 가능하지만 로컬 데이터는 유실)

6) 보안/암호화

  • Nitro 기반 인스턴스의 로컬 NVMe는 하드웨어 암호화(AWS 관리 키) 적용
  • 사용자 KMS 키로 직접 제어 불가(EBS와 차이) → 민감 데이터는 앱 레벨 암호화 고려

7) 운영 팁 (베스트 프랙티스)

  • 데이터 보호 전략: 중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EBS/S3로 내보내기(rsync/cron, 서비스 레벨 레플리케이션)
  • ASG에서 사용: 스케일 인/아웃 시 유실을 전제로, 부트스트랩 스크립트로 자동 초기화/데이터 재구축
  • RAID0(스트라이핑): 여러 로컬 NVMe를 RAID0로 묶어 처리량↑ (내결함성 없음)
  • 장애 도메인 설계: Kafka/ES 등은 레플리카·샤드로 노드 손실을 견디도록 설계
  • 모니터링: 로컬 디스크 가용 공간/쓰기 지연/IOPS를 CloudWatch 에이전트 등으로 수집

8) 식별·마운트 (Linux 예시)

# 1) 디바이스 확인 (NVMe 모델명으로 구분)
lsblk -o NAME,MODEL,SIZE,MOUNTPOINT
#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
# Instance Store: "Amazon EC2 NVMe Instance Storage"

# 2) 포맷 및 마운트 (예: XFS)
sudo mkfs.xfs /dev/nvme1n1
sudo mkdir -p /mnt/inststore
sudo mount /dev/nvme1n1 /mnt/inststore

# 3) 부팅 시 자동 마운트 (fstab)
echo '/dev/nvme1n1 /mnt/inststore xfs defaults,noatime,nofail 0 2' | sudo tee -a /etc/fstab

주의: 인스턴스가 중지/재시작되면 같은 디바이스 이름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UUID 기반 마운트 권장(blkid로 확인 → fstab에 UUID 사용).


9) 자주 나오는 시험 포인트

  • Instance Store = 에페멀: Stop/Terminate/호스트 장애 시 데이터 소실
  • 스냅샷 X → 백업하려면 EBS/S3로 복사
  • 초저지연/고성능 임시 저장소 용도(캐시/로그/분산 시스템)
  • 루트가 Instance Store인 AMI는 정지 불가
  • EBS와 비교 포인트(지속성/스냅샷/이동성) 확실히 구분

10) 설계 체크리스트

  • 데이터 유실 시 서비스가 자동 복구되나요? (레플리카/리빌드 절차)
  • 부팅 시 포맷/마운트/초기화 스크립트 준비됐나요?
  • ASG 스케일 인 전 데이터 플러시/드레인이 가능한가요?
  • 모니터링/알람(디스크 사용량/에러/지연) 설정했나요?

결론

Instance Store는 성능 최우선·임시성 전제의 스토리지. 지속성/스냅샷/이동성이 필요하면 EBS를, 공유 파일시스템이 필요하면 EFS/FSx를 선택. 올바른 워크로드(캐시/분산 로그/임시 처리)에 쓰면 가성비와 성능이 탁월

profile
`•.¸¸.•´´¯`••._.• 🎀 𝒸𝓇𝒶𝓏𝓎 𝓅𝓈𝓎𝒸𝒽💞𝓅𝒶𝓉𝒽 🎀 •._.••`¯´´•.¸¸.•`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