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톺아보기 - IoC, DI, Container

Janek·2022년 12월 28일
0

Spring 톺아보기

목록 보기
2/1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제공하는 김영한 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을 수강한 후 정리한 글입니다. 유료 강의를 정리한 내용이기에 제공되는 예제나 몇몇 내용들은 제외하였고,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 작성자인 저의 언어로 다시 작성한 글이기에 서술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해당 글은 개념에 대한 참고 정도만 해주시고, 강의를 통해 학습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제어의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객체는 의존 관계에 있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지만, 해당 인터페이스가 어떤 콘크리트 객체로 구현되는지 알 수 없다.
구현 객체에 대한 제어는 조립 객체(Assembler)가 담당하며, 각 구현 객체들은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을 담당하게 된다.

위의 그림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비지니스 객체(Business Object)는 서로 인터페이스만으로 의존할 뿐, 어떤 구현체를 의존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체 정보를 가진 조립 객체는 해당 정보를 메타 데이터(Configuration Metadata)로 제공하며, 해당 데이터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점(Runtime)에 각 구현 객체를 생성하여 연결한다. 이를 의존관계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이라고 한다.

의존관계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의존 관계를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라고 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실제 어떤 객체가 주입될지 알 수 있다.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 관계

의존 관계 주입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를 통해 생성/연결된 의존관계를 말한다. 의존 관계 주입을 사용할 경우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oC Container, DI Container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의존 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고 한다.(최근에는 의존 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춰 주로 DI 컨테이너라고 한다.) 이 외에도 어샘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

개발자가 직접 컨테이너 객체를 생성해서 의존관계를 주입(DI)하는 것이 아닌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주입하는 것을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Bean 어노테이션이 붙은 모든 메서드를 호출하여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Spring Bean)이라고 하며, 어노테이션 기반 자바 코드, XML, Groovy 등 다양한 설정 형식을 지원한다.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로,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getBean())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의 모든 기능을 상속받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빈을 조회하고 관리하는 기능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준다.

  • 메시지 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 환경변수 : 로컬, 개발, 운영 등 환경을 구분해서 처리
  •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
  • 편리한 리소스 조회 : 파일, 클래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BeanDefinition)

스프링이 다양한 형식의 설정을 지원할 수 있는 이유의 핵심은 BeanDefinition이라는 추상화에 있다. BeanDefinition빈 설정 메타 정보라 하며, 설정 파일의 @Bean이나 <bean> 을 읽어 각각 하나의 메타 정보를 생성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

BeanDefinition 정보

  • BeanClassName : 생성할 빈의 클래스 명(자바 설정과 같이 팩토리 역할의 빈을 사용하면 없음)
  • factoryBeanName : 팩토리 역할의 빈을 사용할 경우 그 이름(ex : appConfig)
  • factoryMethodName : 빈을 생성할 팩토리 메서드 지정(ex : memberService)
  • Scope : 싱글톤(기본값)
  • lazyInit :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빈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빈을 사용할 때 까지 최대한 생성을 지연처리 하는지에 대한 여부
  • InitMethodName : 빈을 생성하고, 의존관계를 적용한 뒤에 호출되는 초기화 메서드의 이름
  • DestroyMethodName : 빈의 생명주기가 끝나서 제거하기 직전에 호출되는 메서드의 이름
  • Constructor arguments, Properties : 의존관계 주입에서 사용한다.(자바 설정과 같이 팩토리 역할의 빈을 사용하면 없음)
profile
만들고 나누며, 세상을 이롭게 하고 싶습니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