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상태
- 일어니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며 무한히 대기하는 현상
상대방이 가진 자원을 기다리기만 하다가 실행 한 번 못하는 상황이 벌어짐
교착 상태 발생 조건
1)상호배제
-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없을 때
2)점유와 대기
-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할당받기를 기다리는 상태
3)비선점
- 그 자원을 이용하는 프로세스의 작업이 끝나야만 이용할 수 있음
4)원형 대기
- 프로세스들이 원의 형태로 자원을 대기하는 것
1) 교착 상태 예방
방법 - 교착 상태의 발생 조건(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원형 대기) 중 하나를 충족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
2) 교착 상태 회피
방법 -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양만큼만 자원을 배분하는 방법
3) 교착 상태 검출 후 회복 - 교착 상태 발생을 인정하고 사후에 조치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