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이언트에게 정적 컨텐츠가 아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서비스 = 비즈니스 로직)
복잡한 로직을 수행해서 다양한 동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e.g.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어야 하는 페이지,단순 JSON 형식의 데이터)
템플릿 형식의 페이지에 데이터를 주입해서 완성된 페이지를 만들기가 가능
Node.js web frameworks, J2EE Services㏖w/ web server like
Tomcat㏗, Python web frameworks㏖w/ WSGI
주로 웹 개발 분야에서의 백엔드 개발은 WAS 코드 개발을 일컫는다.
5) 서버와의 통신 규약
컴퓨터와 컴퓨터 간 통신할 때 사용되는 규약 : 우리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때는 이러한 법칙을 가지고 진행하자!
통신 프로토콜은 구두 전달!
주로 접하게 되는 프로토콜 - HTTP/HTTPS - SSH - FTP/SFTP - WebSocket - DNS - SMTP & IMAP/POP3 - DHCP - MQTT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
->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라이브러리일 수도 있고
통신 시에 일정 규칙에 맞춰서 요청을 날리는 방식이 될 수 도 있다.
-> REST API(RESTful API)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HTTP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기본 method들(GET POST PUT DELETE) 을 사용해서 두 머신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