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데이터 모델

eunsiver·2022년 3월 11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3/9
  • 관계 데이터 모델의 개념
  • 무결성 제약조건
  • 관계대수

관계 데이터 모델의 개념

  1. 릴레이션
  2. 릴레이션 스키마와 인스턴스
  3. 릴레이션의 특징
  4. 관계 데이터 모델

1. 릴레이션: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용어한글 용어비고
relation릴레이션, 테이블"관계"라고 하지 않음
relation data model관계 데이터 모델
relation database관계 데이터베이스
relation algebra관계대수
relationship관계

2. 릴레이션 스키마와 인스턴스

  • 스키마의 요소

    • 속성(attribute): 릴레이션 스키마의 열
    • 도메인(domian):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type)
    • 차수(degree): 속성의 개수
  • 스키마의 표현

    • 릴레이션 이름(속성1: 도메인1, 속성2: 도메인2, 속성3: 도메인3...)
      ex) 도서(도서번호, 도서이름, 출판사, 가격)
  • 인스턴스 요소

    • 투플(tuple): 릴레이션의 행
    • 카디날리티(cardinality): 투플의 수

3. 릴레이션의 특징

  1. 속성은 단일 값을 가진다.
  2. 속성은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진다.
  3. 한 속성의 값은 모두 같은 도메인 값을 가진다.
  4. 속성의 순서는 상관없다.
  5. 릴레이션 내의 중복된 투플은 허용하지 않는다.(릴레이션은 하나의 집합이다.)
  6. 투플의 순서는 상관없다.

4. 관계 데이터 모델

  •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인 릴레이션으로 표현함
  • 릴레이션에 대한 제약조건과 관계 연산을 위한 관계대수를 정의함

무결성 제약조건

  1. 무결성 제약조건
  2. 무결성 제약조건의 수행

1. 키(중복 X, NULL X)

  • 특정 투플을 식별할 때 사용하는 속성 혹은 속성의 집합
  • 릴레이션은 중복된 투플을 허용하지 않음 -> 각각의 투플에 포함된 속성들 중 어느 하나(혹은 하나 이상)는 값이 달라야함. 즉 키가 되는 속성(혹은 속성의 집합)은 반드시 값이 달라서 투플들을 서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함.
  • 키는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맺는 데도 사용됨

슈터키

  • 투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하나의 속성 혹은 속성의 집합(null x)
profile
Let's study!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