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ow function은 ES6에서 나온 문법이다. ES6가 무엇인지 잠깐 짚고 넘어가자면, > ES는 ECMA Script의 줄임말로, ECMA Script는 JavaScript를 표준화 시키려고 탄생한 것이다. 현재는, ES10버전까지 나왔고 주로 쓰이는 것
삼항 연산자란? 👉 JavaScript에서 세 개의 피연산자를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연산자이며 보통 if 명령문의 단축 형태로 쓰인다.
Instagram 클론코딩을 진행하면서 나를 많이 괴롭혔던(?) 그래서 많이 배웠던 몇 가지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event.target 이였다!
📖 BOM(Browser Object Model) 1. BOM의 정의 >웹 서비스 개발은 브라우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모든 서비스는 사실 브라우저를 바탕으로 실행되기 때문이다. 이때 브라우저와 관련된 객체들의 집합을 Browser Object Model 이라고
나는 이미 CSS를 통해서 많은 class를 만나왔지만 이번에는 그것과는 전혀 다른, 연관 없는 새로운 Class에 대해서 배울 것이다. Class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객체 지향 프로그램이란 무엇이냐? 객체지향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기본적으로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는 undefined 타입이며, 이 타입은 변수 자체의 값 또한 undefined 이다. 즉, 정의되지 않은 것, 초기화되어 있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객체의 프로퍼티 및 존재하지 않는 배열의 원소값에 접근하려고 할때 얻어지는 변수의
객체! 객체!!! 객체!!!! 과연 그 객체란 무엇인가?'객체'라는 단어는 프로그래밍을 배우면서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단어가 아닌가 싶다. 그만큼 중요하고 잘 알아두어야 하는 부분일 것이다.객체는 중괄호로 감싸져 있고,콜론으로 구분 된 이름/ 값의 쌍들이 쉼표로 분리된
Hoisting(호이스팅)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끌어올린다'는 의미로 변수나 함수의 선언을 스코프의 위로 끌어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