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2 TIL

potato·2021년 8월 2일
0

🪴 In to Programming

Debug

오류를 찾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컴파일 언어 / 스크립트 언어


고수준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프로그래밍 언어가 해당되는데 프로그래밍 언어는 총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 컴파일 언어
  • 스크립트 언어
언어 종류컴퓨터에서 바로 인식이 되는가내용종류
컴파일 언어X기계가 바로 인식을 못하기 때문에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바꿔주는 과정인 '컴파일' 과정을 거쳐야 한다.Java, C 같은 무거운 언어
스크립트 언어O기계가 바로 인식한다 => 컴파일 과정 필요 XJS, Python과 같은 유연한 언어


Build

빌드는 컴파일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 Build
    : 작성한 코드를 가볍고 군더더기 없는, 필요한 경우엔 분석하기 어렵도록 만들어
    PC/모바일에 저장/설치 or 서버에 올라가서 실행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 "최종 포장" 되어 나오는 형태

  • "build 중이다!"
    배포되기 전 마지막 작업을 하는 중이구나!


FrameWork

"특정 SW 만들기 키트" => "조립형 집짓기 키트"
ex) spring / django / rails

  • 프레임 워크
    : 기업 / 개인이 서버 프로그램 등을 어느정도 틀을 만들어놔서
    다른 사람들이 가져다 확장해 쓸 수 있도록 공개
종류내용
Library"개별적인 조합" - 특정 기능들 코딩한 것
FrameWork"기초적인 틀" - 특정 기능들 코딩한 것을 조합해 제품 종류마다 어느정도 기본적인 뼈대 갖춘 것

Hosting - 서버 호스팅

  • 서버
    : 서비스 제공해주는 컴퓨터
    => "적당한 집 한채에 월세를 두고 생활하는 것"..?
    • 데이터 센터 시설에 설치되어 인터넷 통해 외부에서 접속해 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개발자는 원격 프로그램을 통해 이 컴퓨터(=서버역할)에 프로그램형 SW를 깔고 실행한다.
  • '서버 호스팅' 서비스
    호스팅 업체에서 서버로 사용할 컴퓨터 마련해두고 일정 금액 받고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 서버 세팅이 필요
    (+ 호스팅 업체 : "장기 출장 온 사람들에게 집 대여해주는 사람들")

  • AWS (클라우드 서비스)
    => 웬만한 건 다 세팅되어 있음 (돈이 듦)
    (⬇️ 다양한 AWS 기업들 => 클라우드 컴퓨팅 ⬇️)


  • 각 서버 사용량에 따른 적합한 서비스들

    종류적합한 서비스 특징이유
    클라우드 컴퓨팅서버 사용량이 오르내리는, 일정하지 않은 서비스들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유연하기 때문



IP주소 / 도메인

  • IP주소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라우터에 부여되는 고유 번호
    (웹사이트도 IP주소 갖고 있다.)

  • 도메인
    : IP주소 일일히 기억 어려우니 도메인으로 저장

  • DNS
    : Domain Name Server - 도메인 저장하는 서버

  • 도메인이 컴퓨터, DNS, 서버에서 작동하는 방법

  1. Client - 컴퓨터에서 도메인(ex. www.naver.com) 입력
  2. 컴퓨터는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DNS 서버로부터 입력한 도메인에 해당하는 IP주소 받아온다.
  3. 브라우저는 그 IP에 해당하는 서버로 'HTTP'란 형식의 요청 보낸다.

http/https

Client <--> 서버가 주고 받는 데이터의 형태다.

도메인 앞에 http/https가 붙는 건 보내진 데이터를 http/https 형식으로 해석하라고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

  • 데이터
    : 브라우저에 표시된다. => 네이버 홈화면이 표시되는 것처럼.
    html, css, js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 브라우저(우리가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모습으로 변환해준다.) --> 네이버창

  • Client <---> Server

    • Client ---> Server
      http/https 형식으로 "요청" 보냄.
    • Client <--- Server
      Client 연결 수립. 해당 사이트에 데이터 보냄 => "응답"

IDE

통합 개발 환경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크로스 브라우징

각각의 브라우저마다 다른 결과물이 보여지지 않도록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하는 기술, 방법 등을 말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