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문법 정리

이장훈·2022년 2월 15일
0

1. 변수

1.1 개요

  • variable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여러번 바뀔 수 있는 데이터
  • 반대개념 : 상수(constant)

ex) 나이 = 현재년도 - 태어난 년도 + 1
여기서 나이, 현재년도, 태어난 년도는 변수, 1은 상수가 됩니다.

1.2 변수 선언 규칙

변수를 선언한다 :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변수라는 것을 구분 짓고, 컴퓨터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행위

ex) 나이 = 현재년도 - 태어난 년도 + 1
var age
var currentYear
var birthYear

1.3 변수선언하기

var : 변수선언 예약어
방식 : var birthYear, age; 등으로 (,로 구분하여 변수 할당 가능)

2. 데이터 유형

  • 동의어 : 데이터 유형, 데이터 타입, 데이터형

2.1 자료형

2.2 숫자형

  • 정수 : 소숫점이 없는 숫자
  • 실수 : 소숫점이 있는 숫자
    주의할 것은 자바스크립트는 2진수로 변환하여 계산하면서 소숫점이 엄청 길어지므로 정확한 실수계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2.3 문자열

  • string
  •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묶은 데이터 입니다.
  • 숫자도 따옴표로 묶여있으면 문자열로 인식합니다.
  • 큰 따옴표 안에 다른 문자열을 넣기 위해서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면 구분됩니다.

2.4 논리형

  • 동의어 : boolean(불린)
  • 참(true), 거짓(false)로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입니다.

2.5 undefined 와 null

  • undefined : 자료형이 정의되지 않았을 때의 데이터 상태
    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으면 해당 오류가 지정됩니다.
  • null : 데이터의 값이 유효하지 않은 상태
    변수에 할당된 값이 유효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2.6 배열(array)

  •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한다.
  •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 값을 하나의 배열 이름으로 묶어 선언한다.
  • 대괄호([])로 묶고, 콤마(,)로 값을 구분한다.
  • 대괄호 안에 빈 배열을 넣으면 빈 값으로 배열을 선언한 것이다.

ex) var season = ["봄", "여름", "가을", "겨울"]

  • 값들은 각각 index번호를 부여받고, 0부터 시작합니다.
    0 = 봄
    1 = 여름

  • 활용도 : for를 통해서 각 요소의 값을 꺼냄, length 프로퍼티를 사용해 크기를 확인.

3. 연산자

3.1 산술연산자

  • 연산자는 연산을 지시하는 명령어 입니다.

  • 연산이란 숫자계산 뿐 아니라, 값의 비교, 문자열 연결 등도 모두 포함합니다.

  •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이 되는 값입니다. 숫자나 변수입니다.

  • 종류 : 나머지(%), 피연산자 1증가(++), 피연산자 1 감소(--)

var a = 10
var b = a++ + 5

이때 a는 11, b는 15가 나옵니다.
변수++의 경우, 연산자를 먼저 실행하고, 변수의 증가를 가져옵니다.

var a = 10
var b = ++a + 5
이때 a 11, b = 16입니다.
++변수의 경우, 변수를 먼저 증가시키고 연산자를 실행시킵니다.
둘은 반드시 구분해야합니다.

3.2 할당연산자

  • assignment operator
  • 연사자(또는 연산식) 오른쪽의 실행 결과를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로 대입 연산자라고도 합니다.
  • 활용도 : 변수에 값을 할당하거나, 연산식의 결과를 변수에 저장할때 사용
  • 할당연산자와 산술연산자를 합쳐 하나의 할당 연산자로 만들수도 있다.

연산자 오른쪽의 값을 왼쪽 변수에 할당합니다.

  • 변수 = 값
  • y += x (y = y + x)

3.3 연결연산자

  • 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
  • 동의어 : 문자열 연산자

3.4 비교연산자

  • comparsion operators
  • 피연산자 2개의 값을 비교해서 참이나 거짓으로 결괏값을 반환한다
    두 값을 비교하므로 어떠한 조건을 체크할 때 사용합니다.
  • == : 두 값이 서로 같으면 true
  • === : 두 값이 서로 같고 자료형도 같으면 true
  • != : 두 값이 서로 같지 않으면 true
  • !== : 두 값이 서로 같지 않거나 자료형이 같지 않으면 true
  • < : 왼쪽 피연산자가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작으면 true
  • <= : 왼쪽 피연산자가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3.4.1 ==와 ===의 차이

  • 기본적으로 ==과 !=은 피연산자의 자료형을 자동으로 변환해서 비교합니다. 아래 식에서 숫자 3과 문자열"3"을 비교하면 왼쪽의 숫자 3을 문자열로 변환해서 비교합니다.
    따라서
3 == "3" // true
3 != "3" // false

하지만, ===과 !==은 자료형을 변환하지 않습니다.

3 === "3" // false
3 !== "3" // true

그래서 프로그램에서 값을 비교할 때 자료형을 자동으로 변환하지 않기위해서 ===와 !== 연산자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문자열의 비교
컴퓨터는 ASCII 아스키 코드를 통해서 문자열을 비교합니다.
결국 문자열을 비교하더라도 숫자로 변환하여 비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4. 논리연산자

  • 논리연산자는 불리언(bollean)이라고하며, true, false를 처리하는 연산자입니다.
    || : OR 연산자
    && : AND 연산자
    ! : NOT 연산자

5. 조건연산자

  • if (조건) {
    True 일때 실행할 명령
    } else {
    false 일때 실행할 명령
    }

  • (조건) ? true일 때 실행할 명령 : false일 때 실행할 명령

switch 문
switch(조건)
{
case 값 1: 명령 1
break
case 값 2: 명령 2
break
...

default: 명령 n // 아무것도 일치하지 않으면 default 명령을 실행하며, break가 없다.
}

  • parseInt() : 입력받은 값을 정수로 변환합니다.
profile
개발자가 꿈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