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다가 텐서플로우를 설치 하려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해당 버전에 맞는 텐서플로우가 없다고 말하는것 같다.왠지 해결이 잘 안될듯 하다... ㅠㅠ윈도우면 프로그램 추가/삭제 에서 삭제하고 맥이면 파이썬 폴더 찾아들어가서 디렉토리 통쨰로 삭제하면 된다. 삭제후
아래와 같이 dense_2 (Dense) 레이어의 Output Shape가 2D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tensorflow.keras.layers.Flatten() 으로 원하는 데이터 형태가 되었다.원래 2D 형태의 이미지(\[1,2,3,4],\[5,6,7,8]...
자세히 보면 같은 데이터의 중복이다.1000번만 돌리자. 노트북 뜨거워진다...영어점수 9점, 평점 4는 있지만 3.5는 없다. 그러나 3.6~3.9 구간의 합격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위치에서 기울기를 따라 목표값을 향하여 계속 낮은 곳으로 반복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념을 잘 모르고(사실은 수학을 모른다가 맞겠지) 덤비려니 어려움이 많다. 반복 학습을 통해 얻어낼 수밖에...
https://www.python.org/ 에 접속하여 다운받고 설치하자. 맥OS의 경우 brew로 설치 가능하다.이것때문에 텐서플로우 최신버전이 계속 다운로드가 안되었던것 같다. 아래 명령어로 업그레이드 하자.에러 안나면 설치 완료다.사실 예전부터 건드리고
붙여넣기(MAC 의 경우)대충 이런식으로 하면 로그인시 캡챠는 피할 수 있다고 한다. 키 조합은 얼마든지 가능하니... 응용해 보면 되겠다.
네이버 뉴스와 다음 뉴스를 부분 캡쳐해서 이미지로 저장해 보겠다.소스 먼저...스크린샷은 이렇게 저장된다저장된 이미지
셀레늄 import, 드라이버 세팅 driver.save_screenshot 전체 스크린샷 element.screenshot 선택된 요소 스크린샷 이건 좀 신박했다. driver.execute_script 스크립트 실행
driver.getwindowsize() 창의 너비/높이 구하기 driver.setwindowsize() 창 크기 조절 쌉가능 driver.getwindowposition() 스크린 상에서의 창 좌표 driver.maximize_window() 창 크기 최대화
html 파일 2개를 생성하자.driver.switch_to.frame(iframe)driver.find_element(By.TAG_NAME, 'button').click()driver.switch_to.default_content()
셀레늄을 설치하고 대충 돌려 봤으니 이번에는 기본적인 기능부터 조져볼 것이다.현재 로드된 URL을 리턴한다.F5를 눌러 새로고침 한것과 똑같은 효과를 낸다.title 태그의 텍스트를 리턴한다.현재 띄우고 있는 창의 핸들러를 리턴한다.새로운 탭 또는 창을 띄울 수 있다.
셀레늄(selenium) 이란게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한번 설치도 해보고 찍먹도 해보자.일단 크롬 버전 확인부터 하자크롬드라이버 공식 홈페이지 접근https://chromedriver.chromium.org/downloads본인의 버전에 맞는 드라이버 선택O
보통 웹사이트는 구현해놓은 그대로 응답을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네이버나 카카오같은 대형포털은 접속할때마다 메인 배너나 상위 뉴스, 검색 순위 등 매번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이렇게 무식하게 할 것 같지는 않았다.네이버 메인 접속을 20번 연속으로 하면서 응답
"맥북프로" 로 검색한 목록을 뷰티풀수프로 꺼내 보겠다.글목록을 가져올때 현재 페이지와 글 갯수를 지정할 수 있더라... 물론 50개 이상은 불가능하다.글 갯수를 50개로 하고 텍스트에 2020을 포함하는 목록만 취득하였다. 이렇게 하면 맥북프로 2020 판매글을 찾을
네이버 스포츠 야구 메인페이지의 "야구 경기 일정결과" 부분을 크롤링 하고싶다.아... SSG 졌네 ㅠㅠ
일단 순위 페이지로 이동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곳을 찍자 ![](https://images.velog.io/images/exoluse/post/f0b27df1-84a2-469f-a48b-18f0c62c3180/%E1%84%89%E1%85%B3%E1%84%8F%E1%8
.parents는 선택된 soup 의 부모 엘리먼트를 쭉~찾아 가는 기능이다. 기존에 다뤘던 기능들과 사실상 차이가 없다.이전 BeautifulSoup 포스팅을 참조해 볼 수 있다.https://velog.io/@exoluse/series/python-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