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액트를 시작으로 여러 라이브러리들의 공식문서를 보면서 바로 써보기
- 이해 해보기, 두가지 방식을 썩어서 연습
- 반복해보자
공식문서 -> 라이브러리 설명서
공식문서 읽기 -> 리액트로 시작 후 반복 숙달
VSCODE -> IDE
node, npm, npx -> create-react-app
VSCODE 설치 - node.js 설치 - VSCODE 실행 - 터미널 클릭 후 npx create-react-app my-app
cd my-app
npm start
새로운 React 앱 만들기
https://ko.reactjs.org/docs/create-a-new-react-app.html
JSX 없이 사용하는 React
https://ko.reactjs.org/docs/react-without-jsx.html
JSX -> React.createElement 표현식
Components와 Props
https://ko.reactjs.org/docs/components-and-props.html
Props -> 컴포넌트에 전달되는 단일 객체
순수함수처럼 동작 -> Props 자체를 수정해서는 안됨
컴포넌트 합성 -> 여러 컴포넌트를 모아서
컴포넌트 추출 -> 여러곳에서 사용되거나 / 복잡한 경우
State and Lifecycle
https://ko.reactjs.org/docs/state-and-lifecycle.html
컴포넌트 내의 상태 -> 자신의 출력값을 변경
Class component -> State LifeCycle
Functional component -> 훅으로 관리
유의사항 -> 직접 수정 X / 비동기적일 수도 있음
React.Component
https://ko.reactjs.org/docs/react-component.html
constructor -> state 초기화 및 데이터 바인딩
componentDidMount -> Dom 노드 초기화 및 데이터 fetch
componentWillUnmount -> 타이머 제거 및 요청 취소 및 구독 해제
Functional Component -> hook으로 대부분 구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