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 풀이 1 - hash를 사용하지 않은 풀이** > 문제를 처음 봤을 때 hash 보다는 문자열로 접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어 보였다. 문자열을 정렬해서 옆에 것과 비교하면 되겠다고 생각했다. 바로 옆의 문자열을 substr를 사용해 비교했다. 풀이 2 - hash를 사용한 풀이 > 어떻게 hash를 이용해야 고민하다가 해쉬에 저장해두고 부분문자열을 비교해봤다. hash에 저장된 값과 부분 문자열이 같을 때 false로 반환했다.
문제 코드 풀이 분류 자체가 hash를 활용하는 문제였기 때문에 map을 활용했다. > 1. [이름 : 횟수] 를 저장할 map을 선언하고, for문으로 map에 participant의 이름마다 1씩 증가하며 저장한다. for문으로 map에서 completion의 이름마다 1씩 가감한다.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의 hash는 0 이상의 숫자가 남아있기 때문에 if문으로 찾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