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2021 자바스크립트 강좌 - 제로초
익명함수는 주로 콜백으로 쓰인다
함수를 호출할떄 넣은 값(argument)을 인수, 선언할떄 사용한 변수(parameter)를 매개변수라고 함
함수 내에서 arguments라는 값을 사용 가능 -> 호출시 넣은 parameter값을 볼 수 있음
그러나 화살표 함수 안에서는 argument를 사용 할 수 없음
자신의 매개변수나 내부변수(또는 상수)만 사용하는 함수를 순수함수라고 한다
객체의 속성값으로 함수를 넣었을때 이 속성을 메서드(method)라고 함
> {} === {}
< false
객체들은 모양이 같아도 생성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
따라서 같은 객체인지 비교하려면 기존 객체를 변수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
변수 b에 객체 a를 대입하면 객체 a를 변경해도 변수 b도 같이 변경된다.
-> '객체 간에 참조 관계가 있다'고 표현
CSS - BEM
css 방법론
Block
Element
Modifier
블럭이름__엘리먼트이름--상태
재사용 가능한 기능적으로 독립적인 페이지 컴포넌트
블럭을 구성하는 단위
자신이 속한 블럭 내에서만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뗴어다 다른 데 쓸 수 없음
블럭이름__엘리먼트이름
형식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element1
밑에 element2
가 있어도
block__element1__elemet2
처럼 블럭이름__엘리먼트이름__엘리먼트이름
형식으로 쓰지 않는다
block__elemet2
로만 씀
블럭이나 엘리먼트의 속성을 나타냄
ex) tab__item--focused
focused
가 true
라고 가정하고 사용
ex) title--color-gray
form-login--theme-nor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