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보다가 잠시 테스트
> const test = prompt("테스트");
< (prompt창 열림, 123 입력)
> test
< '123'
바로 prompt창 뜨고, 입력한 값이 test에 할당됨
> const test2 = () => {console.log("테스트")};
< undifined
> test2()
> 테스트
test2()
해야 콘솔이 뜸
> const test3 = console.log("123");
< 123
바로 123
이 뜸
실행하는 함수코드를 변수에 할당하느냐, 함수 자체를 할당하느냐 차이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