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뒤 입사를 앞두고 미리 공부를 해보고자 간단한 할일 관리 API를 만들어봤다.2월 MS AI School 수료 후 오랜만에,, 거의 4개월 만에 Python을 다시 만져보는 거라 기초부터 차근차근 진행했는데, 생각보다 FastAPI가 정말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웠
오늘은 JWT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 구현하기.이전에는 Python에 Django 썼어서, JWT 기반은 Java에서만 써봤더랬다.회원가입/로그인: 사용자 계정 관리JWT 토큰: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토큰 기반 인증비밀번호 해싱: bcrypt로 비밀번호 저장라우트:
Cursor AI 사용 후기. 첫 출근, 실무 환경에서 Cursor AI를 쓰게 돼서, 첫 적응 중.
문제 상황 FastAPI와 Pydantic을 사용해서 API를 만들던 중,,, 프론트엔드와의 협업을 위해 응답(JSON)은 camelCase로, 파이썬 내부에서는 snake_case로 리팩토링을 하던 중이었다. Pydantic alias_generator 기능을 활용해
회사 스크래핑 프로젝트를 이해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스크래핑 공부 및 실습을 하던 중,,, 문제 상황 아마존 상품의 카테고리(category)를 스크래핑해서 DB에 저장하려고 함 스크래퍼에서 category를 잘 파싱해서 객체에 넣었고, Mongoose 스키마에도 ca
함수 주석, 왜 써야 할까? 인수인계를 받아보니,,, "이 함수가 뭐 하는 함수지?" 싶은 순간이 꽤 많다. 함수 위에 친절하게 설명이 달려있는 경우, 아주 땡큐베리감사. 이런 설명을 Docstring이라고 하는데, 함수, 클래스, 모듈 어디든 쓸 수 있고, 커서를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