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status?user_id=ssvely3&problem_id=14502&from_mine=1
인체에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유출되었다. 다행히 바이러스는 아직 퍼지지 않았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연구소에 벽을 세우려고 한다.
연구소는 크기가 N×M인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직사각형은 1×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소는 빈 칸,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
일부 칸은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이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빈 칸으로 모두 퍼져나갈 수 있다. 새로 세울 수 있는 벽의 개수는 3개이며, 꼭 3개를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연구소가 생긴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0은 빈 칸, 1은 벽, 2는 바이러스가 있는 곳이다. 아무런 벽을 세우지 않는다면, 바이러스는 모든 빈 칸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2행 1열, 1행 2열, 4행 6열에 벽을 세운다면 지도의 모양은 아래와 같아지게 된다.
바이러스가 퍼진 뒤의 모습은 아래와 같아진다.
벽을 3개 세운 뒤, 바이러스가 퍼질 수 없는 곳을 안전 영역이라고 한다. 위의 지도에서 안전 영역의 크기는 27이다.
연구소의 지도가 주어졌을 때 얻을 수 있는 안전 영역 크기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8)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의 모양이 주어진다. 0은 빈 칸, 1은 벽, 2는 바이러스가 있는 위치이다. 2의 개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빈 칸의 개수는 3개 이상이다.
출력
첫째 줄에 얻을 수 있는 안전 영역의 최대 크기를 출력한다.
입출력 예
- 벽을 임의로 3개 세우는 모든 경우의 수 구함.
- 벽을 세운 후 바이러스를 흩뿌린다.
- 안전영역 0을 카운트해서 answer변수에 담는다.
- 반복해서 가장 큰 안전 영역을 구함.
import sys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 M = map(int, input().split())
matrix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 바이러스 퍼뜨리기
def virus(x,y):
global temp
dx = [-1, 1, 0, 0]
dy = [0, 0, -1, 1]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nx < 0 or nx >= N or ny < 0 or ny >= M:
continue
if visited[nx][ny]:
if temp[nx][ny] == 0:
temp[nx][ny] = 2
visited[nx][ny] = False # 방문표시
virus(nx, ny)
# 벽 3개를 세우는 경우의 수
lst = []
answer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matrix[i][j] == 0:
lst.append((i,j))
for c in set(combinations(lst, 3)):
temp = [item[:] for item in matrix]
visited = [[True]*M for _ in range(N)]
# 벽 세우기
for a,b in c:
temp[a][b] = 1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temp[i][j] == 2:
virus(i, j)
cnt = 0
for i in range(N):
cnt += temp[i].count(0)
answer = max(answer, cnt)
print(answer)
이 문제는 정말 시간과의 싸움이었다.
시간초과를 줄이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택했다.
1. 0, 1 배열보다 False, True 배열이 더 빠르다.
원래는 visited배열을 0으로 만든 후 방문표시를 1로 체크했다.
이것을 visited배열을 True로 만든 후 방문표시를 False로 체크 하자 6884ms로 시간초과를 해결했다.
▼
2. 2차원 배열을 복사할 때 deepcopy()보다 for문으로 받아오는 것이 더 빠르다.
temp = [item[:] for item in matrix]
6884ms -> 5904ms로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제는 코딩테스트를 처음 공부했을 때 접했던 문제다.
bfs/dfs 개념도 제대로 모르고 재귀함수도 잘 모른채로 풀려고 해서 손도 못 댔던 문제다.
해설을 이해도 못해서 bfs/dfs는 어렵구나하고 bfs/dfs공포를 심어준 문제이자 코딩이 안맞나까지 진지하게 고민하게 했던 문제인데 이제는 풀어냈다.
겨우 풀어냈지만, 결국 이렇게 포스팅까지 하니 뿌듯하다.
제대로 공부해보지도 않고 섣부르게 나와는 맞지 않다고 겁먹었던 과거의 반성과 내가 점차 나아가고있음을 확인받은 것 같은 성취감을 느꼈다.
이 문제를 통과했을 때의 지금 내 감정을 남기고 싶어서 주절주절 남겨보았다.
지금의 어려움도 후에는 풀어낼 수 있을정도로 계속 성장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