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or는 html의 구체적인 요소를 타겟한다. 그 종류엔 다음 것들이 있다.
p {
color: red;
}
.클래스 속성값 {
text-transform: uppercase;
}
클래스 속성값으로 한가지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css응용도 가능하다.
#아이디이름(id 속성값) {
}
img[src*=''] {
color: magenta;
}
p:hover {
background-color: lime;
}
** ID 선택자가 가장 구체적인 선택자고 그 다음이 class 선택자, 그 다음이 type 선택자이다. 스타일을 쉽게 편집하려면 타입선택자를 사용하고 그게 안된다면 클래스 선택자, id선택자를 이용한다.
<h2 class='destination heading-background'>3. Seoul, South Korea</h2>
destination 을 클래스 값으로 갖는 h2를 선택하고자 할 때
h2.destination {
font-family: Tahoma;
}
<ul class='main-list'>
<li> ... </li>
<li> ... </li>
<li> ... </li>
</ul>
main-list를 클래스 값으로 갖는 요소의 자손요소(li)를 선택하고자 할 때
.main-list li {
color: blueviolet;
}
** 선택자가 여러개 붙을수록 선택자 구체성(specificity)이 증가하며 우선시된다.
<li><h4 class='destination'>Jackson Hole, Wyoming</h4></li>
li 요소 안에 있는 h2를 선택하고자 할 때
li h4 {
color: gold;
}
** 콤마(,)를 이용하여 코드 반복 작성을 줄일 수 있다.(두가지 이상의 요소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h5, li {
font-family: monospa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