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바스크립트 개발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것이 console.log()가 아닐까 싶다. console.log()로 ()안의 값을 콘솔창에 출력하는데, 출력된 값을 확인하여 디버깅(오류를 찾고 수정 )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console에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console.log()를 포함한 다양한 메서드들이 있다.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console의 주요 매서드들에 대해 알아보자.
log 메서드는 콘솔에 메세지를 출력하게 한다. 메세지는 문자열, 숫자, 객체 등이 될 수 있다.
🔎 console.log()를 출력했을 때 undefined가 나오는 이유
console.log()는 return 값이 없다. 특정 return 값을 반환하는 것이 아닌 입력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s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치환할 수 있다.
📌 하지만 ES6부터 주로 백틱(`)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치환한다.
%c를 사용하여 스타일을 지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console.warn()은 콘솔창에 경고 메세지를 출력한다.
console.error()은 콘솔창에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
console.info()는 콘솔창에 정보 메세지를 출력한다.
console.assert()는 주어진 조건이 false일 때만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
console.clear()은 콘솔에 출력된 내용을 지운다.
📌 콘솔창 지우기 단축키
Ctrl + L (windows)
Command + K (macOS)
console.dir()은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속성들을 출력한다.
<body>
<p onClick="makePink()">Click Me</p>
<script>
function makePink() {
const p = document.querySelector('p');
p.style.color = '#F8BBD0';
p.style.fontSize = '50px';
}
</script>
</body>
📍 console.log()와 console.dir()의 차이점
DOM 객체에서 console.log()는 HTML 태그 자체를 출력하지만
console.dir()은 객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속성을 출력한다.
console.group()은 콘솔에 그룹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console.groupEnd()로 그룹을 종료한다.
console.count()은 몇 번 호출되었는지 카운트한다.
console.time()은 작업이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한다.
console.timeEnd()로 종료하고, 콘솔창에 측정한 시간을 출력한다.
console.time()과 console.timeEnd()에 동일한 label을 지정해야 한다.
console.time()은 데이터를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한다.

참고 사이트
https://courses.wesbos.com/account/access/630ef22c88db94aff320bc95/view/194129876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console
콘솔도 여러가지가 있었다니!! 새롭게 또 알아가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