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23.06.05 월요일
- 장소 : Zoom (온라인)
🌱수업 후기
당근대장 정재용 기획자님으로부터 "서비스 기획"과 관련된 수업을 약 4시간 동안 들었다.
10주 완성 프로젝트 캠프의 일차적인 목표는 프로젝트 제작이지만, 개발자로서의 미래를 봤을 때 나만의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고 가치 있는 플랫폼을 만들 줄 아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이 수업을 통해 현재 성공한 서비스와 실패한 서비스의 사례를 공부하고, 어떻게 플랫폼이 변화해가는지를 배워 앞으로의 IT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내가 개발자로서 어떤 플랫폼을 기획할지 생각해볼 수 있는 수업이었다.
🌱수업 내용
플랫폼이란?
- 인간 관계에서 생성되는 교류의 정류장 역할 (ex) 구글, 인스타그램, 유튜브, 카카오톡 등...)
- 교류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소통,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업과 개인이 공동의 이익을 형성하는 곳
플랫폼의 진화
- 관계/수단
그 장소에서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냄 (수단의 강화)
- 개인화
내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디바이스는 해당 데이터를 보여줌 (서비스 강화)
- 프로세스화
ai가 내 생활 정보를 이해하고 제안함. (Life Style 강화)
- 자동화
ai가 창작의 영역으로 진입하여 인간은 그 결과에 대한 진위여부만 판단 (창작 활동 강화)
플랫폼의 설계
마인드맵 작성
- 사용 프로그램 : 프리마인드 (Freemind)
- 프리마인드 사용 시 Java 다운로드 필요
- Enter : 동일 수준 내용 추가
- Insert : 하위 수준 내용 추가
- 예시 (아래)

👉 플랫폼을 기획할 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내 머릿속에 있는 모든 아이디어를 전부 나열하고 그 이후 다듬는 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플랫폼 서비스의 성공과 실패
- 성공한 플랫폼 서비스
- 네이버 : 블로그, 실시간검색어
- 마켓컬리 : 새벽배송
- 쿠팡 : 로켓배송
- 쇠퇴한 서비스 플랫폼
- 다음 시대를 준비하지 못하거나 정체성을 변화시켜 고유의 콘셉트를 버리는 결과를 초례 (ex) 싸이월드, 네이트온)
- 앞서가던 플랫폼 서비스 성장이 멈춰진 이유
- Device의 변화
- 기술의 발달로 인한 신규 서비스 트렌드
- 독단적 서비스 콘셉트 변화
출처 : [수업자료] 1일차 교안자료 _ 세상 플랫폼의 정의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