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le 기본사용법

franc·2021년 8월 19일
9
post-thumbnail

빌드 자동화 도구에는 대표적으로 Maven,Gradle,Yarn,Npm 등이 있다.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들의 관리와 패키징 작업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

Gradle이란

그루비(Groovy)기반의 빌드 자동화 도구

  • 자바 진영에서는 Maven과 더불어 많이 쓰이는 빌드 툴이다.
  • XML 기반의 Maven보다 동적인 빌드를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다.
  • XML 기반의 Maven보다 가독성이 좋다.
  • Maven보다 성능이 좋다.


Gradle 명령어

명령어를 통해 Gradle 프로젝트 생성해보기

Gradle 설치가 끝났다면, 아래 명령어로 버젼을 확인할 수 있다.
$ gradle --version

1. Gradle 프로젝트 생성

$ gradle init [--type 타입명]

프로젝트에 필요한 초기 환경을 구성한다.
타입을 주지 않는 경우 아래의 절차대로 진행하며, 타입을 줄 경우 'build script DSL' 절차부터 진행된다. 예: 'gradle init --type java-application'

반드시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만들어, 그 안에서 작업할 것!

Select type of project to generate:
  1: basic
  2: application
  3: library
  4: Gradle plugin
Enter selection (default: basic) [1..4]

Select implementation language:
  1: C++
  2: Groovy
  3: Java
  4: Kotlin
  5: Scala
  6: Swift
Enter selection (default: Java) [1..6]

Split functionality across multiple subprojects?:
  1: no - only one application project
  2: yes - application and library projects
Enter selection (default: no - only one application project) [1..2] 1

Select build script DSL:
  1: Groovy
  2: Kotlin
Enter selection (default: Groovy) [1..2]

Select test framework:
  1: JUnit 4
  2: TestNG
  3: Spock
  4: JUnit Jupiter
Enter selection (default: JUnit 4) [1..4]

basic 타입으로 생성 시 프로젝트 구조
Gradle 프로젝트의 필수환경만 제공하며, 로우레벨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해야 한다.

. 
├── build.gradle
├── .gradle
├── gradle 
│     └── wrapper 
│           ├── gradle-wrapper.jar 
│           └── gradle-wrapper.properties
├── gradlew 
├── gradlew.bat 
├── settings.gradle 
  • .gradle 디렉토리
    • 작업(Task) 파일이 생성된다.
  • gradle 디렉토리
    • 'gradle-wrapper'관련 디렉토리
    • 'gradle-wrapper'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따로 정리
  • gradlew, gradlew.bat
    • gradle-wrapper 실행명령
    • 각각 리눅스(맥) 환경과, 윈도우의 실행명령이다.
  • build.gradle (중요)
    •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과 빌드처리 내용을 작성하는 파일
  • settings.gradle
    •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정보를 작성하는 파일

java-application 타입으로 생성 시 프로젝트 구조
Gradle 프로젝트 환경 + 자바 어플리케이션 환경이 구성되며, mainClass는 'App.java'로 설정된다. ("hello world!" 출력)

. 
├── .gradle
├── gradle 
│     └── wrapper 
│           ├── gradle-wrapper.jar 
│           └── gradle-wrapper.properties
├── gradlew 
├── gradlew.bat 
├── settings.gradle 
└── app
      ├── build.gradle
      └── src 
           ├── main
           │	 └── resources
           │     └── java
           │           └── App.java 
           └── test 
                 └── resources
                 └── java 
                       └── AppTest.java

2. 컴파일 및 실행 (java-application)

gradle에서 task는 프로젝트의 작업단위다.
gradle이 제공하는 task들이 있고, build.gradle에서 사용자가 직접 만들 수도 있다.
gradle이 제공하는 task의 경우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프로젝트 타입에 따라 제공되는 task가 다르다.)
$ gradle tasks


프로젝트 빌드
$ gradle build

  • 프로젝트를 컴파일(빌드)한다.
  • build.gradle에 apply plugin: 'java'가 추가된 경우 .jar파일로 패키징까지 된다.
  • 컴파일된 파일들은 'app > build' 폴더 안에 생성되며, .jar파일은 'build > libs'에 패키징된다.

프로젝트 실행
$ gradle run

  • 컴파일 후 메인클래스를 실행한다.
  • 스프링부트의 경우 $ gradle bootRun을 통해 앱을 구동할 수 있다.

프로젝트 패키징
$ gradle jar

  • 프로그램을 .jar로 패키징
  • 'build > libs'에 생성된다.
  • apply plugin: 'java'가 추가된 경우 build명령으로 해결가능

프로젝트 클린
$ gradle clean

  • build 폴더를 제거하여, 빌드 이전 상태로 되돌린다.

gradle-wrapper

위와 같이 'gradle' 명령어로 프로젝트를 빌드할 수 있지만, gradle-wrapper의 실행명령으로도 task를 실행할 수 있다.
굳이 gradle 대신 wrapper를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

새로운 환경에서 gradle을 설치하지 않고도 빌드가 가능하다.
gradle 명령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gradle이 로컬에 설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또한 gradle 명령어로 빌드를 할 경우 로컬에 설치된 gradle 버젼으로 빌드되기 때문에, 개발 당시 버젼과 다를경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gradlew build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프로젝트를 만든 사람과 동일한 버전으로 빌드를 할 수 있으며, 심지어 gradle이 설치되지 않아도 빌드가 가능하다.

리눅스
$ ./gradlew [Task명]

윈도우
> gradlew [task명]



build.gradle

기본 스프링부트 환경 build.gradle 알아보기

아래는 스프링부트 웹 어플리케이션의 기본환경이다.

buildscript {
    ext {
        springBootVersion = '2.3.7.RELEASE'
        lombokVersion = '1.18.10'
    }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classpath("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springBootVersion}")
    }
}

apply plugin: 'java'
apply plugin: 'eclipse'
apply plugin: 'org.springframework.boot'
apply plugin: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group 'gradle.test.javaapp'
version '1.0-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8

repositories {
    mavenCentral()
    jcenter()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api '...'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lombokVersion"
    // runtimeOnly '...'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lombokVersion"

}

  • buildscript
    • gradle로 task 실행 시 사용되는 설정이다.
    • 즉 어플리케이션 빌드와는 별개의 설정이다.
      (위 처럼 repositories, dependencies를 따로 구현해야함.)
  • ext
    • 전역변수 블록
    • 전역변수는 $전역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 classpath
    • 라이브러리를 클래스 경로에 추가
    • 빌드에서 실행까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를 지정한다.
  • plugin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Gradle 플러그인을 추가한다.
      (위에 설정된 플러그인들은 부트 환경구성에 필요한 플러그인)
    • eclipse : eclipse IDE 에서도 해당 Gradle project를 개발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이 설치됨.
  • group / version / sourceCompatibility
    • 프로젝트 생성 시 groupId, 어플리케이션 버젼, 자바버젼
  • repositories
    •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할 저장소를 지정
    • 공개저장소(jcenter)와, maven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다.
    • 상호보완 되도록 둘 다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dependencies (compile, api, implementation)
    • 라이브러리 추가
    • compile, api
      • 모듈 수정 시, 해당 모듈을 의존하고있는 모듈을 모두 빌드 -> 느리다.
      • compile의 경우 Gradle 3.0부터는 사용안하는 것을 권장(api로 대체)
        A(api) <- B <- C 로 의존하는 구조라면, A 수정 시 B,C 모두 빌드
    • implementation
      • 모듈 수정 시, 해당 모듈을 직접 의존하는 모듈만 빌드 -> 비교적 빠르다.
        A(implementation) <- B <- C 로 의존하는 구조라면, A 수정 시 B 만 빌드
    • testImplementation
      • 테스트에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추가
    • annotationProcessor
      • 어노테이션 기반 라이브러리를 컴파일러가 인식하도록 함
        ex.) lombok, queryDSL 등
    • compileOnly
      • compile에만 필요하고, runtime에는 필요없는 라이브러리를 추가

이처럼 build.gradle을 작성해서, 본인이 원하는 환경의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위의 예제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여기서 직접 task 또는 빌드-잡을 구현하여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