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로 다른 유형의 두 변수의 값 비교'===' : 엄격하게 값과 자료형 모두 비교 != (자료형 비교 X)!== (자료형 비교 O)NaN (not a number)은 어떤 것과도 같지 않다
<실행 결과>😮 map() 함수와는 다르게 검색 조건으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해준다!
currentValue : 배열 내 현재값indexarray : 현재 배열thisArg : 콜백함수 내에서 this로 사용될 값
고차 함수 > 🔥 목표 : 항상 고차함수가 헷갈렸는데 여러가지 실험을 해 보면서 고차 함수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하고자 함 고차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다! 아래의 내용들을 살펴보자! 변수에 함수 자체를 대입하기 아래 코드의 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