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 Clone Project
KakaoTalk Clone Github
position relative, absolute, fixed 를 사용하여 status bar, screen header, top bar of view page, nav bar 등을 구현했습니다.
transform, transition을 함께 사용하여 message animation, chat animation, splash screen 등을 구현했습니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스크린의 사이즈가 620px이 넘어가면 사이즈를 축소 안내 스크린을 구현했습니다.
status bar(상단 고정), login form을 구현했습니다.
splash screen, screen header(상단 고정), BEM을 사용한 user component class(프로필 사이즈 변경 코드 간소화), nav bar 을 구현했습니다.
css animation과 animation-delay를 통해서 서로 채팅을 주고 받는 모습을 구현했습니다.
message 창을 클릭했을 때 창이 확대되는 애니메이션을 구현했습니다.
.reply .reply__column:first-child,
.reply .fa-smile-wink,
.reply button {
transition: opacity 0.3s ease-in-out;
}
.reply:focus-within .reply__column:first-child,
.reply:focus-within .fa-smile-wink,
.reply:focus-within button {
opacity: 0;
}
.reply input:focus {
width: 94vw;
transform: translateX(-15%) translateY(-80px);
}
.reply:focus-within {
transform: translateY(80px);
}
상단 nav, posts를 구현했습니다.
icon row, recommended friends, open-chat을 구현했습니다.
wallet, ghibli now를 구현했습니다.
첫 웹 개발 그리고 첫 클론 코딩이었다. 전에도 html과 css의 기초적인 개념은 알고 있었지만, 클론 코딩을 몰랐던 나는 어떻게 접근하면서 공부해야 할지 몰랐다. UX/UI 디자인도 모르고, 웹의 보편적인 구조도 몰랐기 때문에 더더욱 맨 땅에 헤딩 하는 기분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클론 코딩이라는 공부 방법은 정말 내게 딱 맞구 짜릿하구... 재밌구.. 막 너무 좋았다.
다만 아쉬운 부분이 많다. 만들고 보니 나는 심플하고 미니멀 한 것을 좋아하는데 완전 덕지덕지... 그리고 아직 HTML과 CSS만 사용해서 그런지 웹이 많이 투박하다. 이제 JS를 배우러 갈 것이다. 오히려 좋다 왜? 배울 것이 아직 많다는 것이니까 ㅎㅎ 그럼 다음에 다시 돌아오겠다. 뿅! 😋
Nomad Coders 강의를 수강하며 클론코딩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