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s와 state

fromzoo·2020년 12월 18일
0

리액트 기본

목록 보기
3/3
post-custom-banner

Props 를 사용하는 방법

props 와 state는 리액트에서 데이터를 다룰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props부모자식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한다.

<Child value="value">

위처럼 하위 컴포넌트에게 value="value" 형태로 값을 넘겨준다.

모든 컴포넌트는 렌더함수가 있어야한다.

부모 컴포넌트 App.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import  MyName  from  './MyName';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MyName  name="react"  />;
	}
}

자식 컴포넌트 MyName.js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 {
	render() {
		return  <div>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this.props.name}입니다.</div>;
	}
}
export  default  MyName;

defaultProps

부모로부터 props값이 전달이 안될 때의 상황을 대비하여 자식 컴포넌트에서 defaultProps값을 설정해준다.

class  MyName  extends  Component {
	static defaultProps = {
		name:  '기본이름'
	};

	render() {
		return (
			<div>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b>{this.props.name}</b>입니다.
			</div>
		);
	}
}

class문법에서 default 값을 설정할땐 static내부에 선언해준다.

MyName.defaultProps  =  {
	name:  'velopert'
};

함수 외부에서도 defaultProps 설정해줄 수 있다.

내부에서 선언된 default 와 외부에서 선언된 default 는 값은 코드다.

static이 최신 문법

함수형 컴포넌트

다른 기능이 없고 props로 받아와서 보여주는 기능만 사용할 경우에 함수형 컴포넌트로 사용한다.

// 함수형 컴포넌트
const  MyName  =  ({ name })  =>  {
	return  <div>제 이름은 {name}입니다.</div>;
};

// 함수형 컴포넌트의 defaultProps
MyName.defaultProps  =  {
	name:  'velopert'
};

export  default  MyName;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하게 된다면 더이상 상단의 import에서 Component를 불러오지 않아도 된다.

비구조화 할당

위에서 보이는 ({ name })은 비구조화 할당 객체 내부에 있는 값을 이름으로 넘겨주는 것, 비구조화 할당 문법을 사용한 것이다.

const object = { a: 1, b:2 }
const a = object.a; 
const b = object.b;

객체를 다룰때 다루는 형식을 비구조화 할당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다룰 수 있다.

const {a,b} = object

console.log(a) // 1
console.log(b) // 2

비구조화 문법은 함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sayHello({ name ,age }) {
	console.log(name + '의 나이는' + age)
}

sayHello({ name : 'react' , age : '20' })

이렇게 전달해준 객체의 name과 age값을 하나하나 추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법이 비구조화 문법이다.

함수형 컴포넌트 vs class 컴포넌트

함수형 컴포넌트와 class형 컴포넌트의 주요 차이점은 함수형 컴포넌트는 state 기능이 없고 , 라이프사이클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함수형의 장점은?

  • 함수형은 초기 마운트 속도가 미세하게 빠르다.
  • 불필요한 기능은 없기 때문에 메모리 자원은 덜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어떤 값을 받아서 보여주기만 하는 용도이다. 이런 경우에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한다면 나중에 컴포넌트 수가 많아졌을때 속도가 최적화 될 수 있다.

하지만 컴포넌트 수가 엄청나게 많은게 아니라면, 사실상 성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컴포넌트 만드는것이 간단하다는 것과 또는 나중에 컴포넌트의 기능의 어떻게 보여지는지에 대해서 ( redux 배울 때) 차이점이 두드러진다.

State 를 사용하는 방법

props자식 입장에서는 읽기 전용이다.

  •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 있고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이다. 또한 값이 바뀔때마다 리렌더링된다.
  • 만약에 값의 변화가 필요하다할때 컴포넌트의 내장함수 중 하나인 setState()를 통해서 값을 변화해줘야한다.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Couter  extends  Component {
	state = {
		num:  0
	};

	handleIncrease  = () => {
		this.setState({
			num:  this.state.num  +  1
		});
	};

	handleDecrease  = () => {
		this.setState({
			num:  this.state.num  -  1
		});
	};
	
	... 생략

화살표 함수로 handleDecrease다룬 이유
내부에서 왜 render()함수처럼 함수를 정의하지 않고 화살표함수로 했을까?

만약 render함수처럼 정의했다면 this를 정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콘솔로 출력해조면 thisundefined로 출력된다.

만약 render함수처럼 정의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constructor에서 this를 재정의해줘야 한다.

constructor는 컴포넌트가 만들어질때마다 호출되는 함수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handleIncrease = this.handleIncrease.bind(this);
	this.handleDecrease = this.handleDecrease.bind(this);

이렇게 정의해준다면 화살표 함수처럼 this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화살표함수로 정의해준다면 이러한 과정을 생략해줘도 된다.

profile
프론트엔드 주니어 개발자 🚀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