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MongoDB 에서 호스팅받고 셋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MongoDB와 서버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npm install mongodb@5
다음으로 MongoDB 에 접속하는 코드를 server.js 에 추가해줍시다. 여기서는 url 에 실제 DB 접속 URL 을 넣어주어야 합니다.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 MongoClient } = require("mongodb");
let db;
const url = "mongodb사이트에 있던 님들의 DB 접속 URL";
new MongoClient(url)
.connect()
.then((client) => {
console.log("DB연결성공");
db = client.db("forum");
})
.catch((err) => {
console.log(err);
});
app.use(express.static(__dirname + "/public"));
app.listen(8080, () => {
console.log("http://localhost:8080 에서 서버 실행중");
});
app.get("/", (req, res) => {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app.get("/news", (req, res) => {
res.send("Hello News!");
});
npm install dotenv
MONGO_URL="mongodb사이트에 있던 님들의 DB 접속 URL"
이제 server.js 에서 dotenv 관련 설정을 해주고, 서버를 실행하여 다시 DB연결성공 이라고 console 창에 출력되는 지 확인하면 됩니다.
//server.js
require("dotenv").config();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 MongoClient } = require("mongodb");
let db;
const url = process.env.MONGO_URL;
new MongoClient(url)
.connect()
.then((client) => {
console.log("DB연결성공");
db = client.db("forum");
})
.catch((err) => {
console.log(err);
});
app.use(express.static(__dirname + "/public"));
app.listen(8080, () => {
console.log("http://localhost:8080 에서 서버 실행중");
});
app.get("/", (req, res) => {
res.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app.get("/news", (req, res) => {
res.send("Hello News!");
});
지금까지 MongoDB와 서버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DB 데이터를 출력해서 보여주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