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는 유튜브 채널 '드림코딩 by 엘리'의 '깃, 깃허브 제대로 배우기 (기본 마스터편, 실무에서 꿀리지 말자)' 를 정리한 글임을 밝힙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9dvM7qgN9s&t=30s)
- git이 관리하지 않도록 하고 싶은 파일들을 설정하는 방법
- .gitignore라는 파일을 만든 뒤, 파일에 git이 관리하지 않길 원하는 파일들을 명시
log.log *.css build/*.log
- git status의 명령은 default로 -long 옵션을 사용함
- git status -s : 간략한 git status를 출력
A : added (staging area)
?? : untracked (working directory)
M : modified (working directory)- git status -h 을 통해 사용가능한 option들을 확인 가능함
- commit history를 출력하는 명령
git log
- -p 옵션을 통해 commit log과, commit 전후의 diff를 같이 확인할 수 있음
git log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