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설치를 완료하고,
Hello.java 파일을 만들어서
Hello,world 메인 메서드를 입력했다
프로그램을 모두 작성했으면, 컴파일 해야하는데
이클립스에서는 자동으로 컴파일을 해주어서
상단에 실행을 누르면 된다
콘솔창에 보면 Hello, world가 출력된 것으로 보아
성공적으로 컴파일이 완료 되었다
이클립스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잘 실행됨
상단에 프로젝트 > build automatically를 보면 체킹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소스 파일을 저장할때 자동으로 컴파일 한다는 것이다.
원래 빌드는 소스파일로 부터 컴파일 하는 모든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클래스 파일은 package explorer 뷰 에서 확인이 안되는데
이는 소스파일 중심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클래스 파일은 navigator 뷰 로 확인가능하다
이클립스는 소스파일과 클래스 파일을 다르게 저장하고 있음이 보여진다
아래 사진에서 주황색의 *표시는 아직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고 알려주는 것이다
노란색으로 표시해놓은 것들은 String이 string으로 오류가 났는데, 오류난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4번째줄 왼쪽에는 X표시가 되어있고
소스 코드에는 빨간 밑줄이 표시된다
마우스를 가져다 놓으면 에러 메세지를 볼 수 있음
프로젝트 생성
메뉴에서 file> new> java project
클래스 생성
프로젝트 이름 위에서 우클릭 > new> class
소스파일 작성 후 저장
(그럼 자동으로 컴파일 됨)
실행
상단에 run (재생 버튼 처럼 생긴거)누르면
콘솔 창에 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