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그러나 아래 처럼
메모리 공간이 숫자로 지정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가 있음
메모리 주소 착오하기 쉬움
그래서, 이를 age 등과 같은 특정 메모리 영역에
메모리 주소 대신에 이름을 이용해서
메모리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된 것이 바로 변수
변수는 하나의 값만 저장가능 하기 때문에
새로운 값이 오면 이전 값은 지워짐
메모리 값지정하려면 변수 선언을 먼저 해줘야함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값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는것
변수 선언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
예시 ) int age ; //정수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변수 타입은 변수에 어떤 값을 저장하는지에 따라 달라짐
여기서 int는 정수를 의미한다
세미콜론 까지 모두 잊지 말고 붙여줘야함
int age; //정수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 25; //변수 age에 25를 저장
(수학에서=는 등호이지만, 자바에서 =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것으로 대입연산자라고 함)
int age = 25; // 위 두줄 한줄로
(이는 age 메모리 공간인 ㅁ > age ㅁ에 25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 것)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 변수의 초기화
모든 변수는 적절한 값으로 초기화 하는 것이 좋음
그래서 보통은
int x = 0; // 변수 x를 선언후, 0으로 초기화
int y = 5; // 변수 y를 선언후, 5로 초기화
int x = 0; , y = 5; //위 의 두줄을 한줄로
맨 아래에 위의 두줄을 한줄로 합칠 수 있을 때에는
변수 타입(int)이 같을때
콤마(,)로 연결시켜서 사용
변수의 종류에는
1) 클래스 변수 (6장 부터 사용)
2) 인스턴스 변수 (6장 부터 사용)
3) 지역 변수 (특히 영어로 자동 초기화 되지 않기 때문에, 꼭 초기화해야함 > 안그럼 컴파일 시 에러남)
변수의 값이 필요한 곳에 변수의 이름을 적는다
int year = 0, age = 14;
year = age + 2000;
year 14 + 2000;
year = 2014;
System.out.print(year); 가 실행되면
2014겠징?
age = age +1; // 변수의 값을 1 증가시키는 방법
age = 14 +1;
age = 15;
이후 코드
System.out.print(age); 가 실행되면
15 출력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