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 ch = 'A';
문자는 캐릭터 타입 변수에 넣을 수 있음
홑 따옴표 안에 문자를 넣어야함
char ch = 'AB' //에러
문자열이기 때문에 캐릭터 변수 타입에 들어가지 못하며
홑 따옴표 아닌 쌍 따옴표 사용해야함
string s = "ABC";
둘이상은 큰 따옴표로 해야하고
문자로 연속적으로 짜여있는 것을 문자열 or 문자열 리터럴이라고 부름
이런 문자열을 사용하려면 스트링 변수 타입에 넣어야함
스프링은 원래 자바에서 제공하는 class 여서
뉴 연산자를 써서 객체 생성해야하는데 이를 안함
string s2 = new String("AB");
근데 너무 자주 사용해서
기본형 변수에 값 넣는 표현 허용
string s1 = "AB"
(위 코드와 아래 코드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됨 = 악간 차이 있는데 이는 9장에서 배울 예정)
(아래 코드 형태로 거의 씀)
문자열은
1) 연속된 문자열 을 의미하지만
String s = "ABC";
2) 한 문자도 됨
String s = "A";
3) 빈 문자도 됨
String s = ""; //string + 큰 따옴표 + 빈문자 ㅇㅋ
char ch = ''; //char + 작은 따옴표 + 빈문자 에러
4) 결합 형태
Srting s1 = "A" + "B"; // "AB"
여기서 + 는 A랑 B를 결합하라는 뜻임
그래서 AB가 s1에 저장되는 것을 가르킴
Srting s1 = "" + "7"; // "7"
빈문자열 + 숫자 를 하면
숫자가 문자열로 변환된 다음에 대답되어 문자 7이 됨
문자열은 문자하고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숫자를 문자로 변환
프로그래밍 하다보면 숫자를 문자로 바꿔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법으로 사용 가능함
순차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때문에 순서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 값이 도출
_1) 빈문자열 + 7 +7
"" + 7 +7 >> "7" + 7 >> "7" + "7" >> "77"
_2) 7 + 7+ 빈문자열
7+ 7+ "" >> 14 + "" >> "14"
∴ 문자열 + any type = 문자열
any type + 문자열 = 문자열
캐릭터 타입 변수에 A를 넣은뒤에 > ch 출력하면 > A가 출력된다
int 타입 변수에 A를 넣은 뒤에 > i 를 출력하면 > 65가 나오는데, 이는 A 문자코드가 출력되는 것이다
stirng을 쓰면
빈문자
문자열 모두 가능하고 + 사용해서 결합하면
콘솔 창에 나와있듯이 결합되어서 결과가 도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