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알고리즘
- 정렬 :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 정렬
- 무작위 데이터 중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는 과정 * 반복
- 시간복잡도 : O(N²)
- 데이터가 10,000개 이상일 경우 속도 느리기 때문에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 쓰는 것이 나음 - sorted(array)

def selection_sort(array):
for i in range(len(array)):
for j in range(i+1, len(array)):
if array[j] < array[i]:
array[i], array[j] = array[j], array[i]
print(array)
삽입 정렬
- 정렬되어 있는 데이터 리스트에서 적절한 위치를 찾은 뒤, 그 위치에 삽입됨
- 거의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매우 빠르게 동작한다.

def insertion_sort(array):
for i in range(1, len(array)):
for k in range(i, 0, -1):
if array[k] < array[k-1]:
array[k], array[k-1] = array[k-1], array[k]
else:
break
print(array)
퀵 정렬
- 퀵 정렬 : 기준(Pivot)을 설정한 다음 가장 큰 수와 작은 수를 교환한 후 리스트를 반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동작함(재귀함수 사용)
- 시간복잡도 : O(NlogN) ~ O(N²)
- 데이터가 무작위로 입력되는 경우 빠르게 동작하지만, 이미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는 느리게 동작한다.
def quick_sort(array,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pivot = start
left = start + 1
right = end
while left <= right:
while left <= end and array[left] <= array[pivot]:
left += 1
while right > start and array[right] >= array[pivot]:
right -= 1
if left > right:
array[right], array[pivot] = array[pivot], array[right]
else:
array[left], array[right] = array[right], array[left]
quick_sort(array, start, right-1) # 왼쪽 부분
quick_sort(array, right+1, end) # 오른쪽 부분
return array
계수 정렬
- 계수 정렬 : 데이터의 크기 범위가 제한 되어 정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때, 인덱스에 해당하는 숫자의 개수를 세는 것이다.
- 시간복잡도 : O(N+k)

def count_sort(array):
count = [0] * (max(array) + 1)
for i in range(len(array)):
count[array[i]] += 1
for i in range(len(count)):
for j in range(count[i]):
print(i, end=' ')
print()
파이썬의 정렬 라이브러리
- sorted(array)
- array.sort()
- key를 이용한 정렬
def setting(data):
return data[1]
array2 = [('바나나', 2), ('사과', 5), ('당근', 3)]
result = sorted(array2, key=setting)
print(result)
정렬 문제를 푸는 방법 세 가지
- 정렬 라이브러리 사용 : 단순 라이브러리 사용법 숙지
- 정렬 알고리즘 원리 물어보는 문제 : 선택 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 더 빠른 정렬 필요할 때 : 계수 정렬 이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