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간고사 35%, 기말고사 45%, 과제 20%를 계산해서 점수를 내주고 저장하자.
그리고 찾고싶은 학생의 점수를 미리 target에 저장해놓고, 학생들의 점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각 학점은 N/10의 학생이 가질 수 있으니 이를 계산하고 점수를 계산해주면 된다.
grades = ['A+', 'A0', 'A-', 'B+', 'B0', 'B-', 'C+', 'C0', 'C-', 'D0']
T = int(input())
for test_case in range(1, T+1):
N, K = map(int, input().split())
scores = []
for i in range(N):
mid, final, assign = map(int, input().split())
result = mid * 0.35 + final * 0.45 + assign * 0.2
scores.append(result)
target = scores[K-1]
scores.sort(reverse=True)
cnt = N // 10
cnt_score = scores.index(target) // cnt
print(f'#{test_case} {grades[cnt_score]}')
